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2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사 그림책과 달리 짧은 글과 문장, 시화로 구성된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공감 능력과 언어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

      본 연구는 서사 그림책과 달리 짧은 글과 문장, 시화로 구성된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공감 능력과 언어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S시 만 5세 M어린이집의 실험집단(20명)과 N어린이집의 비교집단(20명)이며,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은 주 2회 7주 동안 총 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일반적인 문학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에 비해 공감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일반적인 문학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에 비해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 단어 수와 문장 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 그림책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아 문학교육에서 감상 활동의 중요성과 통합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which are composed of short sentences, a piece of writing, and poetry, on the empathy and linguistic-expression abilities of 5-year-ol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which are composed of short sentences, a piece of writing, and poetry, on the empathy and linguistic-expression abilities of 5-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experimental group (20 people) of M daycare Center aged 5 years old and the comparison group (20 people) of N daycare Center in S city. The appreciation activity using the poetic picture book was conducted twice a week, 14 times over seven wee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etic ability among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compar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general literary activiti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that are sub-factors of linguistic-expression ability among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poetic picture books compared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solely general literary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use in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icture 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광규, "흰 눈" 바우솔 2016

      2 김태미, "협동적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3 이송은,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유영미, "통합적 동시 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박숙영, "통합적 동시 활동이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배미란, "텍스트 변용을 통한 시 감상 지도 방법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채인선, "큰 사과나무와 작은 사과나무" 시공주니어 2000

      8 천정철, "쨍아" 창비 2008

      9 백 석, "준치가시" 창비 2006

      10 서윤아, "존 버닝햄의 그림책을 통한 공감 능력 신장 미술수업 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엄은나,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265-290, 2007

      12 김청연, "이달의 책, 이달의 저자 - "그림책의 이해 1, 2" 낸 현은자, 김세희" 100-101, 2005

      13 임미성,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마음이해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01-215, 2010

      14 고영순,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공감 능력에 따른 시 그림책 반응양상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5 송진숙, "유아의 마음에 대한 이해와 환상그림책의 가치" 동화와번역연구소 (20) : 155-170, 2010

      16 김향미, "유아의 공감능력 및 언어표현능력 수준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7 서정숙,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013

      18 황은순,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2013

      19 고문숙, "유아를 위한 문학교육" 정민사 1999

      20 임석재, "영치기 영차" 웅진주니어 2005

      21 윤동재, "영이의 비닐우산" 창비 2009

      22 김백균, "어린이 책에서 시와 그림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하여" 1 (1): 272-280, 2003

      23 최수랑,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공감 수준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나선희, "아동의 그림책 읽기에서의 공감의 양상과 의미" 인문학연구원 (54) : 341-374, 2014

      25 박동화,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6 장영희, "아동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5

      27 선주원, "아동문학교육론" 박이정 2013

      28 김유대, "시적 행간의 그림책 표현에 관한 연구-어린이 시 그림책 ⌜선생님 과자⌟를 통하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29 권윤덕, "시리동동 거미동동" 창비 2010

      30 박혜숙, "시 속의 그림, 그림책 속의 시에 대하여" 동화와번역연구소 (18) : 105-126, 2009

      31 김미혜, "시 그림책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국어국문학회 (165) : 183-212, 2013

      32 최윤정, "시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동화와번역연구소 (27) : 259-284, 2014

      33 조용훈, "시 그림책의 미적 가치와 특성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327-348, 2011

      34 전연우, "시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반응"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73-96, 2016

      35 장명용, "선생님 과자" 샘터 2009

      36 김태경, "생태적 감수성으로 읽는 시그림책"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97-124, 2014

      37 정순희, "새는 새는 나무자고" 창비 2009

      38 鄭南美, "사회적 역할놀이가 유아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미치는 효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7

      39 이해인, "밭의 노래" 샘터 2014

      40 최미숙, "미디어 시대의 시 텍스트 변화 양상과 시 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24) : 33-61, 2007

      41 김효정, "문학 수용에서의 공감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2 이윤영, "명화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99-118, 2010

      43 정정순, "매체 변환을 활용한 시 감상 교육 연구 - 시 그림책 『낮에 나온 반달』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3) : 203-224, 2008

      44 이명희, "만 5세 유아의 동시 읽기 활동이 정서 조절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5 김종도, "둥그렁 뎅 둥그렁 뎅" 창비 2008

      46 채종옥,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47 최순혜,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8 : 233-257, 2006

      48 최순혜,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9 김영옥, "동화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0 고지운, "동시와 그림의 상호매체성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1-18, 2010

      51 박영아, "동시를 통한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2 인현주, "동시낭송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3 송미영, "동시 활동이 유아의 정서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4 홍서연, "동시 감상을 통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및 동시 감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55 이정록, "달팽이 학교" 바우솔 2017

      56 안상화,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 및 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57 김향주, "노래로 부르는 동시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58 윤석중, "낮에 나온 반달" 창비 2008

      59 인 강, "길로 길로 가다가" 창비 2005

      60 황옥진,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1 홍지원,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2 김은숙,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 놀이 활동이 공감 능력과 마음 이론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63 김민정, "그림책의 장르에 따른 아동의 다시 말하기(retelling)반응 분석 : 만 6, 7, 9세 아동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64 이미상, "그림책을 활용한 표상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5 조성원,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언어활동이 영아의 언어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6 송성은,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3 (3): 121-138, 2010

      67 황주연,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21, 2012

      68 박유미,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영아의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5-29, 2013

      69 서현, "그림책을 활용한 마음이해 활동이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5-84, 2014

      70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425-452, 2014

      71 우자영,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증진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2 조수연,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교육이 유아의 공감 능력과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3 장문희,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교육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74 최지선,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75 심향분, "그림책 읽기 맥락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탐색: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25-350, 2011

      76 이찬종, "공감, 정서 그리고 행복의 관계" 호남학연구원 (49) : 187-214, 2011

      77 박성희, "공감, 공감적 이해" 원미사 1994

      78 김은지,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79 공광규, "[단행본] 구름 : 또 뭘 만들지?" 바우솔 2013

      80 Paul, L., "The children's book business : Lessons from the long eighteenth century" Routledge 2010

      81 Gorrell, N., "Teaching empathy though ecphrastic poetry : Entering of curriculum of peace" 89 (89): 32-41, 2000

      82 Harper, L. J., "More alike than different : Promoting respect through multicultural books and literacy strategies" 86 (86): 224-233, 2010

      83 Kemple, K. M., "Let’s be friends: Peer competence and social inclusio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Teachers College Press 2004

      84 Denham, S. A., "Dealing with feeling : Foundation and consequ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12 (12): 5-1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