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lf reliance of youths in the residental care: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의 관계에 자아탄력성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의 관계에 자아탄력성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시설청소년 143명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 친구 지지가 자립의지 하위 변인 자신감을 42.3% 설명하였고, 자아탄력성 하위 변인 낙관성이 자립의지 하위 변인 자아통제를 49.8% 설명하는 등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모두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함이 검증되었다. 특히, 자립의지 하위 변인인 근로의욕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설청소년의 성공적인 자립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자립 대상이 자립 상황을 인지하고 자립하려는 의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보호가 종결되기 전에 자립에 필수적인 적응력과 의지의 기반이 되는 자아탄력성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지지가 자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lf reliance of youths in the residental care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self resiliency especially. Survey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social support, self resiliency,...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lf reliance of youths in the residental care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self resiliency especially. Survey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social support, self resiliency, and self reliance were handed out to youths in 10 residental care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and 143 repli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highly correlated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self resiliency, and self reliance. Second, social support and self resiliency had important effect on self reliance as friend support variable explained 42.3% of self confidence and optimism explained 49.8% of self control. Fourth, self resiliency affected on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as a moderating variabl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ird, Self 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and the tendency was clearly observed in "the will to work" sub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uccessful reliance of youths in the residental care depends on the will to perceive their situations positively and live their own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can be practical help for self reliance of youths in the residental care through supplying effective programs of developing self resil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353-371, 2006

      2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3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87-1108, 2005

      4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자립통계 알리미 서비스"

      5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자립통계 알리미 서비스"

      6 박선정, "자립준비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 생활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09

      7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자립 정보 북" 아동 자립지원 사업단 2012

      8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아동양육지원 퇴소, 연장아동의 자립지원 실태 보고서" 2012

      9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아동양육지원 퇴소, 연장 아동의 자립지원 실태 보고서"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2013

      10 신혜령, "아동양육시설 퇴소. 연장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 조사" 보건복지부.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2012

      1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353-371, 2006

      2 배주미,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69-96, 2011

      3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87-1108, 2005

      4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자립통계 알리미 서비스"

      5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자립통계 알리미 서비스"

      6 박선정, "자립준비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 생활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09

      7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자립 정보 북" 아동 자립지원 사업단 2012

      8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아동양육지원 퇴소, 연장아동의 자립지원 실태 보고서" 2012

      9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아동양육지원 퇴소, 연장 아동의 자립지원 실태 보고서"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2013

      10 신혜령, "아동양육시설 퇴소. 연장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 조사" 보건복지부. 아동자립지원 사업단 2012

      11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2 나미나,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3 조기곤,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1 : 91-122, 2009

      14 김인아,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자립생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13): 21-39, 2008

      15 이혜연,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실태와 적응 과정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28, 2007

      16 신혜령,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 프로 그램 개발연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17 신혜령, "시설퇴소아동 자립생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 (1): 167-194, 2003

      18 정경미, "시설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 및 자립준비의 관계" 2 (2): 33-50, 2009

      19 김미숙, "시설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자립의지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636-641, 2012

      20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지원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29-49, 2011

      21 이경상,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실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41-362, 2011

      22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 실태 연구" 1 : 170-212, 2002

      23 김명성, "시설청소년의 자립과정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12

      24 손혜옥, "시설청소년의 자립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185-203, 2008

      25 김동현, "시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26 강은진, "시설보호청소년의 탄력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7

      27 홍영미, "시설보호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87-209, 2010

      28 우희경, "시설보호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29 박경진, "시설보호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30 한지현,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내외통제소재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우울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8 (28): 155-168, 2007

      31 현은민,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9-29, 2005

      32 김지현, "시설보호 청소년의 사회적지지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 4 (4): 1-13, 2013

      33 문지윤, "시설보호 아동의 기질, 사회적 지지 및 긍정적·부정적 정서" 고려대 학교대학원 2010

      34 강복정, "시설 청소년을 위한 자립준비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적응 및 건강가정형성교육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33-48, 2002

      35 박영애,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보호시설 청소년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0

      36 최종혁, "빈곤층의 자립의지에 관한 연구" 14 (14): 165-200, 2012

      37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10-357, 1985

      38 Thoits. P. A.,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36 : 53-79, 1995

      39 O`Connell-Higgins, R.,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the capacity for intimacy. Qualifying paper,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7 (7): 1-56, 1983

      40 Sarason, B. 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60 : 273-287, 1991

      41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42 Atsushi, 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35 : 57-65, 2002

      43 Klohnen, E. 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17 (17): 1067-1079,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