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4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소명의식은 5점 환산 기준으로 평균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소명의식은 5점 환산 기준으로 평균 4.18로 4점(그렇다)보다 높은 수준 으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사의 개인 특성 변인별로 보면, 성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별, 학력별, 근무지역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은 5점 환 산 기준으로 평균 3.66으로 3점(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사의 개인 특성 변인별 로 보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근무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도시에 근무 하며, 소명의식이 높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소명의식, 직무만족 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연구에서 사용한 개인특성 변인 외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개인 및 조직특성 변인을 가지고 직무만족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소명 의식,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에 대해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초등교사의 소명 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nse of calling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call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 average of 4.18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nse of calling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call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 average of 4.18 on a 5-point conversion basis, which was higher than 4 poi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cademic background, age, work area. Seco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 average of 3.66 on a 5-point conversion basis, which was higher than 3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ge, work area.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worked in the city, and had a high sense of calling,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sense of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job satisfaction with variou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Thir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needed for the study on the sense of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educational method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the sense of call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소명의식과 직무만족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1. 소명의식과 직무만족
      • 2.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조사 도구
      • 3. 자료 분석
      • Ⅳ. 연구 결과
      • 1. 소명의식 수준
      • 2. 직무만족 수준
      • 3.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47-872, 2012

      2 김기은,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로 교사의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 류근관, "통계학(제3권)" 법문사 2005

      4 김성규, "초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및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안남선,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문상호,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교사요인 및 학교요인의 영향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7 백정은,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업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8 김나연, "초등교사의 입직초기와 현재 직무만족도 변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9 河在潤, "초등교사의 인간관계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0 서연주, "초등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박경화, "초등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수준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김종득,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3 김윤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김태선, "초등교사 소명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31 (31): 1-27, 2018

      15 조주연, "초등 교직적성검사(TAPST) 타당화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61-182, 2007

      16 이은경,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15-140, 2011

      17 정지애, "진로와 직업 분야 소명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현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19-145, 2018

      18 안윤정, "재직자의 개인목표와 소명의식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3263-3274, 2013

      19 정회욱, "인구사회학적요인, 학교조직요인 및 교사의 사회심리학적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7 (37): 75-96, 2006

      20 김동원, "의료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과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221-244, 2012

      21 김경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09-128, 2009

      22 김경령,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17-139, 2014

      23 차정주,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5-25, 2015

      24 홍지웅,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69-180, 2020

      25 김하나,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 소명실행과 내재적 동기를 매개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백경애,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 및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19

      27 김효순, "보건교사의 소명의식, 직무수행, 학교조직몰입간의 관계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28 이석범, "도·농간초등교사의 직무 만족 요인과 직무 만족도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29 김신숙,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보상만족과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59-182, 2014

      30 홍기칠, "교직적성ㆍ인성 검사도구의 적용연구" 22 (22): 113-135, 2006

      31 이상만, "교직을 택한 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9 : 105-124, 1988

      32 이형행, "교육학개론" 양서원 2011

      33 김창걸, "교육조직행위론" 형설출판사 2003

      34 신명희,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0

      35 노종희, "교원 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19 (19): 163-181, 2001

      36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37 김영동,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경북북부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8 이항재, "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6 : 107-126, 1998

      39 이규식,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 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0 박봉준, "교사의 역할수행에 따른 갈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1 장진이,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23-146, 2014

      42 박상아, "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관계갈등의 매개효과와 소명실행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43 송미경, "교사의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간의 관계" 교육연구원 32 (32): 197-218, 2016

      44 이수란, "교사의 소명의식,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 소명실행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문과학연구소 55 : 173-201, 2021

      45 나종남,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7

      46 강경석,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19-142, 2006

      47 윤지영, "교사가 지각한 학교윤리풍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8 정해인, "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49 박은경, "교사가 인식하는 소명의식 유형 : Q방법론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50 卞昌淳, "中等敎師의 召命意識과 職務滿足에 관한 연구"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51 Duffy, R. D., "The salience of a career calling among college students : Exploring group differences and links to religiousness, life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59 (59): 27-41, 2010

      52 Duffy, R. D., "Research on calling :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are we going" 83 : 428-436, 2013

      53 Davidson, J. C.,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33 : 135-147, 1994

      54 Smith, H. C.,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McGraw-Hill 1955

      55 Murphy, K. R.,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 Inc 1991

      56 Van de Ven, A. H.,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Wiley 1980

      57 Bentley, R. R., "Manual for the Purdue Teacher Opinionnai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70

      58 Wrzesniewski, A., "Jobs, careers, and callings :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31 : 21-33, 1997

      59 Hoppock, R., "Job satisfaction" Harper 1935

      60 Ma, X., "Influences of Workplace Condition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93 (93): 39-47, 1999

      61 Hirschi, A., "Callings in career : A typological approach to essential and optional components" 79 (79): 60-73, 2011

      62 Elangovan, A. R.,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76 (76): 428-440, 2010

      63 Dik, B. J.,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 Definitions and prospects" 37 : 424-450, 2009

      64 Duffy, R. D.,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 It's not about having it, it's about living it" 60 (60): 42-52, 2013

      65 "2020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66 Kyungryung Kim, "(The)study on character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