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3868
2017
-
보육교사 ; 감정부조화 ; 직무소진 ; 자아탄력성 ; 직무만족도 ; nursing teacher ; emotional dissonance ; job burnout ; ego-resiliency ; job satisfaction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1-138(2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군포시의 264개원 어린이집 중 가정,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 52개원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 였다. 연구방법은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로분석을 진행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심할수록 직무소진이 높아졌으며, 둘째,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 간에 있어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 간에 있어 직무만 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motional dissonance affects job burnout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w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re. To perform the research, a total of 35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motional dissonance affects job burnout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what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re. To perform the research, a total of 350 childcar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52 out of 264 different private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n the city of Goonpo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 descriptive statistic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o confirm the research model, a path analysis was utilized. Also,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 sobel test was conducted. Firstly, result showed that the worse the emotional dissonance was, the worse the job burnout was. Secondl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Lastly, the stud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In conclusion, the developing of a practical program to reduce job burnout for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is research is highly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라,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85-203, 2010
2 안대희,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부조화가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35-345, 2009
3 이형권, "호텔종사원들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133-153, 2014
4 김헌형,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분석" 29 : 127-144, 2008
5 여소소, "호텔 종사원의 감정 부조화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6 임유석,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소진의 영향관계: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해양환경안전학회 22 (22): 328-334, 2016
7 홍경미, "학교전문상담사의 직무만족이 자기효능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대학원 2015
9 배수경, "카지노 직원들의 조직몰입,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101-116, 2008
10 김현미,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 자활동자기효능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소 15 (15): 173-194, 2010
1 이유라,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85-203, 2010
2 안대희,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부조화가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335-345, 2009
3 이형권, "호텔종사원들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133-153, 2014
4 김헌형,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분석" 29 : 127-144, 2008
5 여소소, "호텔 종사원의 감정 부조화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6 임유석,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소진의 영향관계: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해양환경안전학회 22 (22): 328-334, 2016
7 홍경미, "학교전문상담사의 직무만족이 자기효능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대학원 2015
9 배수경, "카지노 직원들의 조직몰입,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101-116, 2008
10 김현미,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 자활동자기효능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소 15 (15): 173-194, 2010
11 허찬영, "철도여행인솔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81-102, 2014
12 최선경,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2
13 김미라,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성매매방지기관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1
14 변성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1) : 51-75, 2016
15 이숙희, "중등학교 교사의 교과별 직업적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최원석, "중등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조직몰입,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인과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9 (19): 38-47, 2017
17 쩡쯔지엔, "중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관광산업학회 40 (40): 285-308, 2015
18 김성환, "주취자에 의한 경찰공무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23 (23): 9-32, 2014
19 배인열, "주얼리 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4
20 김정원, "조직지원인식과 감정부조화가 몽골 고객접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경영학회 14 (14): 63-91, 2017
21 강정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4
22 유성경,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89-206, 2002
23 김효진, "유치원 원감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이은화, "유아보육교사론" 양서원 1996
25 이진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99-210, 2007
26 신은희, "요양보호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9) : 43-64, 2013
27 김영실,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4 (14): 73-90, 2014
28 박서연,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7-32, 2010
29 최광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방사선과학회 39 (39): 669-681, 2016
30 김경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성결대학교 2016
31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CCTV 확인 점검 결과 보고서(2.5)" 2016
32 다리마, "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33 권지은,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4 김낙흥,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15-337, 2010
35 이재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소 10 (10): 51-82, 2016
36 정지언,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12 (12): 111-132, 2016
37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소 36 (36): 81-104, 2005
38 이정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559-570, 2009
39 유은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0 최미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분석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41 정현아,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2015
42 심순애,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3 이세나,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61-84, 2007
44 방해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309-332, 2017
45 방해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87-107, 2016
46 정경진,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6) : 129-152, 2016
47 오미형,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교사의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99-211, 2008
48 박경화, "민간보육시설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9 최홍식, "리조트 직원의 감정부조화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객 접점과 비접점 부서 직원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50 김주연,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51 김주연, "국외여행인솔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중심 감정노동과 종업원중심 감정노동의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52 김주연, "국외여행인솔자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및 소진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305-324, 2013
53 김인숙, "교사의 팔오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 자아탄력성,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54 박경,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내․외현적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22, 2013
55 박종연, "건강지원사업의 고객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56 이주연,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91-200, 2012
57 방병문,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실증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05-213, 2015
58 Baron, R. M, "The Modertator-Mek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59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7
60 Bakker. A. B, "The Crossover of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mong Working Couples" 58 (58): 661-689, 2005
61 McNeely, R. L, "The Content of our character Shelby Steele" 22 : 3-, 1995
62 Garmezy, N,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McGraw-Hill 43-84, 1983
63 Grayson, J. L, "School Climate Fa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A Mediator Model" 24 (24): 1349-1363, 2008
64 Manlove, E. E, "Multiple Correlates of Burnout in Child care Workers" 8 : 499-518, 1993
65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6
66 Wolfgang, A. P, "Job Stress, Coping, and Dissatisfac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A Comparison of Nurses and Pharmacists" 6 : 213-226, 1991
67 Dormann C, "Job Condi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11 (11): 257-283, 2002
68 Block, J, "IQ and Ego-resiliency: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70): 349-361, 1996
69 Reilly, N. P, "Exploring a paradox:Commitment as a Moderator of the Stressor Burnout Relationship" 24 (24): 397-414, 1994
70 Heuven, E,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among cabin attendants" 12 (12): 81-100, 2003
71 Brotheridge, C. M, "Emotional Labor and Burnout: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Eople Work" 60 : 17-39, 2002
72 Yong, Z, "Causes for Burnout among Secondary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ventive Strategies" 40 (40): 78-85, 2007
73 정효선, "A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사)한국조리학회 19 (19): 94-108, 2013
74 Seffrin, B. A, "A Model of Caring Labor:New Hope in the Battle Against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of Case Managers" Ohio State University 2002
75 "2014년 12월 말 보육통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이 인지하는 부모의 다문화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