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수행 분석 = An Analysis on the Role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in Korean Large Corpo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7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and to analyze the rol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in large corpora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ro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structed the draft on the HRD areas, and the roles and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identified the HRD areas, and the roles and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with 12 panelists, and analyzed the rol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in large corporations using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identified 5 HRD areas, and 19 roles and 56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were highly valid by Delphi panelists.
      Second, as regards the importance of role, the role of HRD strategist marked highest scores. As of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in individual development areas and the role of administrator, which were the major roles of HRD practitioners in the 1990s, indicated high scores of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meaning that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expertise of HRD practitioners in other HRD areas needs to be developed.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importance of role,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male HRD practitioners mostly scored higher than female HRD practitioners in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and to analyze the rol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in large corpora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ro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structed the draft on the HRD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and to analyze the rol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in large corporations based on the identified ro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structed the draft on the HRD areas, and the roles and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identified the HRD areas, and the roles and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with 12 panelists, and analyzed the role performance of HRD practitioners in large corporations using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identified 5 HRD areas, and 19 roles and 56 key actions of HRD practitioners were highly valid by Delphi panelists.
      Second, as regards the importance of role, the role of HRD strategist marked highest scores. As of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in individual development areas and the role of administrator, which were the major roles of HRD practitioners in the 1990s, indicated high scores of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meaning that the roles of HRD practitioners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expertise of HRD practitioners in other HRD areas needs to be developed.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importance of role,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male HRD practitioners mostly scored higher than female HRD practitioners in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HRD 담당자의 역할을 구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수행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RD 영역, HRD 담당자 역할 및 핵심활동을 구안하였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최종 확정을 위하여 연구경험과 경력을 갖춘 HRD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국내 30대 그룹 HRD 조직에 속해 있는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 수행빈도, 수행수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안된 5개 HRD 영역, 19개 HRD 담당자 역할, 56개 HRD 담당자 역할별 핵심활동은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에서 HRD 전략가 역할의 중요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수행빈도에서 90년대 선행연구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 개인개발 영역의 역할들과 행정담당자의 역할이 높은 수행빈도를 보인다는 점은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다변화가 필요하며, 아직 전략적 수준으로 HRD 기능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수행수준에서도 개인개발 영역의 역할들과 행정담당자 역할의 수행수준이 높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수행수준이 낮은 경력개발, 조직개발, 성과관리 등 다른 HRD 영역의 HRD 담당자 역할에 대한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역할 중요도, 수행빈도, 수행수준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있어서 역할 수행빈도에서 대부분의 역할이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HRD 담당자의 역할을 구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수행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RD 영역, HRD 담당자 역할 및 핵심활...

      이 연구의 목적은 HRD 담당자의 역할을 구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수행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RD 영역, HRD 담당자 역할 및 핵심활동을 구안하였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최종 확정을 위하여 연구경험과 경력을 갖춘 HRD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국내 30대 그룹 HRD 조직에 속해 있는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 수행빈도, 수행수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안된 5개 HRD 영역, 19개 HRD 담당자 역할, 56개 HRD 담당자 역할별 핵심활동은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에서 HRD 전략가 역할의 중요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수행빈도에서 90년대 선행연구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 개인개발 영역의 역할들과 행정담당자의 역할이 높은 수행빈도를 보인다는 점은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다변화가 필요하며, 아직 전략적 수준으로 HRD 기능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대기업 HRD 담당자의 역할 수행수준에서도 개인개발 영역의 역할들과 행정담당자 역할의 수행수준이 높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수행수준이 낮은 경력개발, 조직개발, 성과관리 등 다른 HRD 영역의 HRD 담당자 역할에 대한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역할 중요도, 수행빈도, 수행수준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있어서 역할 수행빈도에서 대부분의 역할이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한국의 기업교육 전문가 역할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2 유재철, "퍼포먼스컨설턴트로서 인적자원개발관리자의 역량중요성 인식과 수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6

      3 장정훈, "조직문화 변화를 위한 수행공학 실천가의 역할 및 역량 정의에 대한 델파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4 이동배, "조직 성과향상을 위한 WLP(Workplace Learning & Performance)전문가의 역할과 필요능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0

      5 Gilley, J. W, "인적자원개발론" 학지사 2003

      6 강대석, "인적자원개발 원리와 적용" 한경사 2007

      7 김진모,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6 (36): 115-138, 2004

      8 김현수,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직무능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9 이진구,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조직 역할 인식 유형에 따른 수행공학가로서의 역량 중요성 지각 및 보유 수준의 차이" 고려대학교 2003

      10 류주현,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1994

      1 김영수, "한국의 기업교육 전문가 역할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2 유재철, "퍼포먼스컨설턴트로서 인적자원개발관리자의 역량중요성 인식과 수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6

      3 장정훈, "조직문화 변화를 위한 수행공학 실천가의 역할 및 역량 정의에 대한 델파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4 이동배, "조직 성과향상을 위한 WLP(Workplace Learning & Performance)전문가의 역할과 필요능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0

      5 Gilley, J. W, "인적자원개발론" 학지사 2003

      6 강대석, "인적자원개발 원리와 적용" 한경사 2007

      7 김진모,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6 (36): 115-138, 2004

      8 김현수,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직무능력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9 이진구,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조직 역할 인식 유형에 따른 수행공학가로서의 역량 중요성 지각 및 보유 수준의 차이" 고려대학교 2003

      10 류주현,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1994

      11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12 신동호, "기업내 HRD 부문의 변화가 HRD 담당자 역할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2005

      13 강용근, "기업교육 담당자의 역할 수행 저해요인 규명" 2005

      14 류지용, "기업 인적자원개발지원 담당자의 역할과 직무능력에 관한 인식조사:한국산업인력공단의 근무자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7

      15 주용국, "기업 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 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16 이성, "국가인적자원개발 사업평가를 위한 BSC기반 ROI분석 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17 김영길, "구조조정기 HRD담당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99

      18 Pinto,P.R., "What do training and development professionals really do?" 20 (20): 58-64, 1978

      19 Rothwell, W. J, "What CEOs expect from corporate training" New York: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003

      20 Rothwell,W.J, "The workplace learner:how to align training initiatives with individual learning competencies" AMACOM 2002

      21 Chalofsky,N, "The seminal foundation of the discipline of HRd: People, learning and organization" 18 (18): 431-442, 2007

      22 McLagan,P.A, "The models:Models for HRD practice" Alexandria VA:ASTD 1989

      23 Wang, X, "The dilemma of defining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6 (6): 66-108, 2007

      24 O'Brien,G, "The development of irish HRD profesionals in comparison with european professionals:roles,outputs,and competencies" 3 (3): 250-268, 1999

      25 Rothwell,W.J., "The ASTD reference guide to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Present and future roles and competencies Volume I, II (3rd ed.)" HRD press 2000

      26 Yorks,L,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Mason" OH:South-Western 2004

      27 Gilley, J. W,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mbridge,Mass:Preseus Books 1989

      28 You,S.W, "Perceptions of kore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toward selected roles and competency standards" University of Maryland 1993

      29 U.S.Civil Commission, "Occupations of federal white collar worker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6

      30 McLagan,P.A., "Models for excellence:the results of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tency study" 37 (37): 10-20, 1983

      31 McLagan,P.A., "Models for excellence: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tency study" ASTD 1983

      32 McLagan,P.A, "Models for HRD practice" 43 (43): 49-59, 1989

      33 Duke,C.R., "Measuring service quality: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6 : 55-58, 1996

      34 Elkeles,T, "Lead to succeed in learning" 2007

      35 Martilla,J.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 (4): 13-17, 1977

      36 Noe, R. A, "Human resource management: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6th Ed.)" NY: Mcgraw-Hill/Irwin 2008

      37 Wilson,J.P, "Human resource development: Learning & training for individual & organizations (2nd ed.)" Kogan Page 2005

      38 Delahaye,B.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ult 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2nd ed.)" John Wiley & Sons 2005

      39 Jacobs,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n interdisciplinary body of knowledge" 1 (1): 65-71, 1990

      40 Werner,J.M., "Human resource development (5th ed.)" South-Western, a part of Cengage Learning 2009

      41 문영무, "HRD조직의 역할인식과 HRD담당자의 역량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8

      42 이규영, "HRD 담당자의 자질에 관한 연구:HRD 부서의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1994

      43 이강봉, "HRD 담당자의 역할과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숭실대학교 2009

      44 Powell,T., "HRD competencies and roles for 2000:A pilot study of the perceptions of HRD practitioners" 1014-1022, 1999

      45 McLagan,P.A, "Great ideas revisited:creating the future of HRD" 50 (50): 60-65, 1996

      46 Swanson,R.A.,,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2nd ed.)"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009

      47 Watkins,K.E, "Five metaphors: alternative theorie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ystems theory applied to human resource develo" ASTD Press 167-184, 1989

      48 Barney,J.B,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17 (17): 99-120, 1991

      49 Noe,R.A, "Employee training and development (5th Ed.)" New Youk: McGraw-Hill 2010

      50 Harbison,F., "Education,manpower and economic development: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cGraw-Hill 1964

      51 Nadler, L, "Developing human resources (3rd ed.)" Jossey-Bass 1989

      52 Houston Nadler,L, "Developing human resources" TX:Gulf 1970

      53 Abdullah,H, "Definitions of HRD: Key concepts from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 10 (10): 486-495, 2009

      54 Ruona,W.E.A, "Core belief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A journey for the profession and its professionals" 2 (2): 1-27, 2000

      55 Pfeffer,J,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Unleashing the power of the workfor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4

      56 Gilley, J. W, "Comparing the roles, responsibilities, and activities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HRD professional" 15 (15): 23-44, 2002

      57 Wallick,W.G, "CEOs' perceptions of trainer roles in selected multihospital healthcare system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01

      58 McLagan,P.A, "As the HRD world churns" 63 (63): 20-30, 1999

      59 Laird, D, "Approaches to training and development (3rd ed.)" Cambridge, MA: Perseus Books Group 2003

      60 Laird,D, "Approaches to training and development (2nd ed.)" Perseus Books Group 1985

      61 Lee,Y.H, "An investigation and critique of competencies needed by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master's degree graduates in Korea"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006

      62 Rothwell, W. J, "ASTD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STD 1999

      63 Rothwell,W.J, "ASTD models for Human Performance Improvement:Roles,Competencies,outputs" ASTD 1996

      64 Piskurich,G.M., "ASTD Model for Learning Technologies.Alexandria" VA:ASTD 1998

      65 김진모, "21세기 인적자원 개발의 목적,개념,역할 및 역량에 관한 연구" 8 (8): 209-221, 2001

      66 Bernthal, P. R, "2004 ASTD competency study: mapping the future" ASTD Pres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