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위한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위한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alker의 자연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강령단계, 숙의단계, 교수체제개발단계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격 및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은 창조세계에서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알아가고, 기하로 이루어진 창조세계에 관심을 갖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기하의 근원 및 발견 역사에 관심을 갖고, 기하개념을 기초로 수학적 성향을 기르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기하의 창조와 발견, 기하개념, 그리고 기하의 활용 및 방향성이며, 교수-학습은 관심갖기, 알아가기, 나아가기 세 단계로 상호작용의 원리, 맥락중심의 원리, 공동체 중심의 원리, 개인차 존중의 원리, 탐구놀이의 원리, 의미 부여의 원리, 통합의 원리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대한 사전사후 총괄평가, 그리고 교과가 기독교적으로 재구성 된 정도에 대한 질적인 평가이다. 이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유아기하교육에 기독교적 관점을 제공하여 유아를 둘러 싼 환경을 기하학적 창조세계로 파악하고, 현대 유아수학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위한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alker의 자연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강령단계, 숙의단계, 교수체제개발단계에 ...

      이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위한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alker의 자연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강령단계, 숙의단계, 교수체제개발단계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격 및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은 창조세계에서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알아가고, 기하로 이루어진 창조세계에 관심을 갖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기하의 근원 및 발견 역사에 관심을 갖고, 기하개념을 기초로 수학적 성향을 기르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기하의 창조와 발견, 기하개념, 그리고 기하의 활용 및 방향성이며, 교수-학습은 관심갖기, 알아가기, 나아가기 세 단계로 상호작용의 원리, 맥락중심의 원리, 공동체 중심의 원리, 개인차 존중의 원리, 탐구놀이의 원리, 의미 부여의 원리, 통합의 원리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대한 사전사후 총괄평가, 그리고 교과가 기독교적으로 재구성 된 정도에 대한 질적인 평가이다. 이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유아기하교육에 기독교적 관점을 제공하여 유아를 둘러 싼 환경을 기하학적 창조세계로 파악하고, 현대 유아수학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This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is program were defined as teaching children of their position and role in the Whole Creation and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the creation world that was formed by geometry. The goal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increasing children’s interest in the origin of geometry and the history of its discovery, enabling them to apprehend geometry concepts based on space and figure activities, and developing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based on geometry concept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creativity and discovery of geometry, location and visualization as space elements, shapes and transformation as figure elements, and the utilization and direction of geometry knowledge and skil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integrating a Christi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ere the process, strategies, and materials of teaching-learning. The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 learning were interaction, context, community, individual differences, emphasis, exploration, and integrati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involved getting the children’s attention, obtaining knowledge, and movement. Storytelling, cooperative learning, reconstruction, and emotional evaluation regarding activities were used as teaching strategies. The creation story, photos, pictures, models, and data produced by infants were used as teaching materials. The program evaluation methods were chosen as formal and informal methods.
      The study identifi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ants as a geometric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provided a Christian perspective on infant mathematics disposition and infant geometric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ants as a geometric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provided a Christian perspective of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Christian perspectiv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This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This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is program were defined as teaching children of their position and role in the Whole Creation and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the creation world that was formed by geometry. The goal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increasing children’s interest in the origin of geometry and the history of its discovery, enabling them to apprehend geometry concepts based on space and figure activities, and developing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based on geometry concept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the creativity and discovery of geometry, location and visualization as space elements, shapes and transformation as figure elements, and the utilization and direction of geometry knowledge and skil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integrating a Christi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early childhood geometry education progra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were the process, strategies, and materials of teaching-learning. The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 learning were interaction, context, community, individual differences, emphasis, exploration, and integrati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involved getting the children’s attention, obtaining knowledge, and movement. Storytelling, cooperative learning, reconstruction, and emotional evaluation regarding activities were used as teaching strategies. The creation story, photos, pictures, models, and data produced by infants were used as teaching materials. The program evaluation methods were chosen as formal and informal methods.
      The study identifi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ants as a geometric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provided a Christian perspective on infant mathematics disposition and infant geometric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ants as a geometric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provided a Christian perspective of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Christian perspect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론적 배경
      • Ⅲ.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 모형
      • Ⅳ.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 Ⅴ.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구성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론적 배경
      • Ⅲ.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 모형
      • Ⅳ.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 Ⅴ. 기독교적 유아기하교육 프로그램 구성
      • Ⅳ.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rt, R. D, "흔들리지 않는 고전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7

      2 서향미,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능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이송희, "한국과 인도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289-308, 2011

      4 손봉호, "하나님을 사랑한 철학자 9인" IVP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2005

      5 문명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성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차금안, "평면미술활동과 입체미술활동이 유아의 공간 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89-308, 2009

      7 김만, "탐구 중심 수활동에 의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변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8 이규남, "컴퓨터 활동과 블록 활동이 유아의 공간 인식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205-239, 2003

      9 김정희, "초등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디자인 분석"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5 (15): 17-26, 2014

      10 박묘상, "중학교 기하수업에서 수학사 활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 Hart, R. D, "흔들리지 않는 고전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7

      2 서향미,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능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이송희, "한국과 인도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289-308, 2011

      4 손봉호, "하나님을 사랑한 철학자 9인" IVP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2005

      5 문명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성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차금안, "평면미술활동과 입체미술활동이 유아의 공간 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89-308, 2009

      7 김만, "탐구 중심 수활동에 의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변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8 이규남, "컴퓨터 활동과 블록 활동이 유아의 공간 인식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205-239, 2003

      9 김정희, "초등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디자인 분석"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5 (15): 17-26, 2014

      10 박묘상, "중학교 기하수업에서 수학사 활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최미숙, "주제탐색을 통한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조망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 계획하기, 평가하기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57-278, 2012

      12 권덕수, "조망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3 윤숙희, "정보 표상 중심 유아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4 김용운, "재미있는 수학여행" 김영사 1996

      15 이영환, "입체조형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675-692, 2007

      16 Lynch, M, "인간 인터넷" 사회평론 2016

      17 김미영,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93-413, 2009

      18 황해수, "유치원 수학교육의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이혜경, "유아의 포괄적 공간능력 증진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0 윤세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21 안진경, "유아 기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6

      22 최석란, "유아 기하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독립개신교 교육위원회,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 성약출판사 2011

      24 김은정, "움직임을 통한 공간능력 향상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45-366, 2009

      25 계영희, "우리아이 수학 가르치기" 경문사 2003

      26 최보미, "어머니의 수학 교수 효능감, 가정의 수학교육환경 및 유아의 수학적 성향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7 정단비,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28 박소영, "수학퍼즐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29 윤경선, "수학 관련 CD-Rom Title을 활용한 통합 교육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3 : 109-124, 2004

      30 Cully, I. V, "성경과 기독교 교육"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31 Dooyeweerd, H, "서양문화의 뿌리"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4

      32 Wolterstorff, N, "샬롬을 위한 교육" SFC 2014

      33 임수경, "반성적 사고 중심 수학 멘토교육이 초등학교 아동의 반성적 사고 및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4 김은정,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활동 구성 및 적용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5 배유리, "명화에 기초한 도형 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67-87, 2011

      36 임경례, "명화감상을 통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공간능력과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37 지성애,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39-358, 2010

      38 조수희,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13 (13): 201-225, 2011

      39 박미자, "동화를 활용한 극화놀이에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3 : 51-70, 2004

      40 오세경, "도형을 활용한 공간요소 중심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1 정영옥, "네덜란드의 초등학교 기하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현실적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197-222, 2007

      42 이나영, "기하학의 발달사와 기하교육에 대한 연구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43 김태윤, "기독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초등학교 생태교육 수업자료 개발"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4 Harvey, "기독교적 고전교육" 꿈을 이루는 사람들 2008

      45 Van Dyk, J, "기독교적 가르침, 그게 뭔가요" 교육과학사 2012

      46 이해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7 Calvinus, I, "기독교 강요" 생명의 말씀사 2009

      48 권재원, "그 많은 똑똑한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식프레임 2015

      49 박미정, "구성주의에 기초한 점토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입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24, 2011

      50 김인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미술도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37-162, 2008

      5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1992

      52 Walker, D. F, "교육과정과 목적" 교육과학사 2004

      53 이선우, "공간체험 중심의 쌓기활동이 유아의 공간시각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61-189, 2012

      54 Van Dyk, J, "가르침은 예술이다" IVP 2003

      55 Clements, D. H, "The earliest geometry" NCTM 82-86, 2000

      56 Balfanz, R, "The Big Math for little kids :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gram" 264-268, 2003

      57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58 김지영,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59 Clements, D. H,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ian Publishing Co., INC 420-464, 1992

      60 Copley, J. V, "Geometry and spatial sen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NAEYC 6 (6): 2000

      61 Freudenthal, H, "Five years IOWO" 7 (7): 187-367, 1976

      62 Clements, D. H,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the case do geometry" 14 : 133-148, 2011

      63 Katz, L. G, "Dispositions as goals for teacher education" 1 (1): 301-307, 1985

      64 김대현,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내 – 숙의와 교육과정 연구" 문음사 2006

      65 강민정,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수학교육 활동 내용 분석 : 누리과정 관련요소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35-452, 2013

      6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