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5890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05-434(30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나, "현행 교원평가의 실태와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유아교원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9 (49): 175-204, 2011
2 김경철,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23-344, 2010
3 성기옥, "학교평가 체제 개선방향과 과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 강수경, "유치원 평가의 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37-260, 2010
5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규모별 시범적용 연구" 교육과학기술부․경기도교육청 2013
6 윤진주,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내용 이해도와 적합성에 대한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209-238, 2012
7 조운주, "유치원 교원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37-63, 2011
8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경쟁체제 구축방안" 23-49, 2008
9 최민수, "유아교원평가 시스템 구성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61-393, 2009
10 김경철,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초등교육연구원 21 (21): 67-83, 2010
1 김안나, "현행 교원평가의 실태와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유아교원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9 (49): 175-204, 2011
2 김경철,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23-344, 2010
3 성기옥, "학교평가 체제 개선방향과 과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 강수경, "유치원 평가의 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37-260, 2010
5 조부경,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규모별 시범적용 연구" 교육과학기술부․경기도교육청 2013
6 윤진주,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내용 이해도와 적합성에 대한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209-238, 2012
7 조운주, "유치원 교원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37-63, 2011
8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경쟁체제 구축방안" 23-49, 2008
9 최민수, "유아교원평가 시스템 구성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61-393, 2009
10 김경철,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초등교육연구원 21 (21): 67-83, 2010
11 최미숙,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39-162, 2009
12 임승렬,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21 (21): 87-116, 2001
13 이선미, "선진국가의 유아교원평가의 구성방향. 유아 교원평가 구성방향, 그 시행은 언제 어떻게!" 169-188, 2008
14 김지혜, "단일학급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15 염지숙,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95-310, 2011
16 이선민, "교원평가제의 평가내용 및 평가주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7 교육인적자원부,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공청회 자료집" 교육인적자원부 2005
18 김동규, "교원평가제 : 외국의 사례와 비교․분석" 18 (18): 1-16, 2005
19 오경녀,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원감 및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1-58, 2009
20 오혜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시범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심한숙,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국·공립 유치원 교원의 인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2 최재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3 강효선,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4 이성국,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초등교사의 전문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5 신미영, "교원능력개발평가 평가지표의 타당도와 적절성에 대한 공립유치원교사들의 인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6 김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실시에 따른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7 신숙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이후 교원들의 인식 연구 : 경기도 중등교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강용옥, "교원능력개발평가 내용에 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29, 2009
29 전선미, "교원 평가 제도에 대한 초등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0 임효정, "교원 전문성 향상 관련 교육정책의 효과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김이경, "교원 다면평가 시범운영의 효과와 기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47-170, 2006
32 김희규, "교사평가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143-164, 2005
33 전화주,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4 전제상, "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 18 (18): 173-211, 2001
35 김이경, "교사평가 시스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6 오진환, "교사능력개발평가제의 쟁점에 관한 교원 및 학부모의 인식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37 민경심, "공립유치원 교사평가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8 교육인적자원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4
39 김덕현, "「교원능력개발평가」 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 경기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0 Otilia C., "Teacher perceptions on teacher evaluation : the purpose and the assessors within the assessment process" 29 : 158-163, 2011
41 Beerens, D. R., "Evaluating teachers professional grows: Creating a culture of motivation and learning" Crowin Press 2000
42 교육부, "2013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시범운영계획" 교육부 2013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와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의 안전지식 및안전문제해결사고의 차이
유아의 의도적 통제,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자기의식 수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이해를 위한 교수(TfU)를 적용한아버지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