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이 인지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조리외식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4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school-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competition with graduates from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college classification, college locations,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fields of major, careers desired and reasons for selection of maj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support, and 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our-year college students than by two-year college students.
      3 sub-factors of school support(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3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with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than by those with no experience.
      Friend·senior support of school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and goal set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than by those majoring in culinary art.
      Self-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than by local college students, but learning persistence was more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Professor support and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 of school support were significantly more reported from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than those that want to enter university, or establish a business. Meanwhile, job information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observed among students who want to enter university than those that want to get a job, or establish a busines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nc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Keyword :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 Learning Persistence.
      번역하기

      Today, school-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competition with graduates from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

      Today, school-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competition with graduates from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college classification, college locations,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fields of major, careers desired and reasons for selection of maj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support, and 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four-year college students than by two-year college students.
      3 sub-factors of school support(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3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information retrieval, self-assessment and goal setting),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with experience in attending major-related classes before entrance into colleges than by those with no experience.
      Friend·senior support of school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and goal set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than by those majoring in culinary art.
      Self-assess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than by local college students, but learning persistence was more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Professor support and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 of school support were significantly more reported from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than those that want to enter university, or establish a business. Meanwhile, job information and goal setting that are sub-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significantly more observed among students who want to enter university than those that want to get a job, or establish a busines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nc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Keyword :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 Learning Persist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다양한 교육훈련기관과의 경쟁이 심화된 시점에서 대학교의 조리·외식계열학과 전공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으로 구성된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외식계열 학과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대학분류, 대학위치, 입학 전 전공 관련 수업 경험 유·무, 전공분야, 희망진로, 전공 선택이유에 따른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친구·선배지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분류에서는 4년제 대학생이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 대해 2년제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 입학 전 전공 관련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결과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및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이 입학 전 수강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전공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외식계열 대학생이 조리계열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의 위치에 따른 차이검증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자기평가에서는 수도권대학 학생들이 지방대학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학습지속의향은 지방대 학생들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진로에 따른 차이검증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교육환경지원에서는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이 진학 또는 창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서는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창업과 취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속의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교만족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만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학교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학교 구성원과 환경적 지원만으로는 학습을 지속시킬 수 없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교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장치와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만 학습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학습지속의향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다양한 교육훈련기관과의 경쟁이 심화된 시점에서 대학교의 조리·외식계열학과 전공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으로 구성�...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다양한 교육훈련기관과의 경쟁이 심화된 시점에서 대학교의 조리·외식계열학과 전공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으로 구성된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외식계열 학과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대학분류, 대학위치, 입학 전 전공 관련 수업 경험 유·무, 전공분야, 희망진로, 전공 선택이유에 따른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친구·선배지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대학분류에서는 4년제 대학생이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 대해 2년제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 입학 전 전공 관련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결과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친구·선배지원,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자기평가, 목표설정 및 학교만족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이 입학 전 수강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전공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친구·선배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에서 외식계열 대학생이 조리계열 대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의 위치에 따른 차이검증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자기평가에서는 수도권대학 학생들이 지방대학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학습지속의향은 지방대 학생들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진로에 따른 차이검증결과에서는 학교지원의 하위요인인 교수지원, 교육환경지원에서는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이 진학 또는 창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환경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목표설정 그리고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서는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창업과 취업하려는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학교지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속의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지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교만족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만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학교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조리·외식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학교 구성원과 환경적 지원만으로는 학습을 지속시킬 수 없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교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장치와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만 학습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학습지속의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차 ⅱ
      • 표 목차 ⅲ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차 ⅱ
      • 표 목차 ⅲ
      • 그림 목차 ⅳ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연구범위와 방법 및 구성 5
      • 1) 연구범위와 방법 5
      • 2) 연구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학교지원 8
      • 1) 학교지원 개념 8
      • 2) 학교지원의 구성 요소 9
      • 3) 학교지원에 관한 선행연구 13
      •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14
      • 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개념 14
      •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 16
      •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선행연구 17
      • 3. 학교만족 20
      • 1) 학교만족의 개념 20
      • 2) 학교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22
      • 4. 학습지속의향 24
      • 1) 학습지속의향의 개념 24
      • 2)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선행연구 26
      • Ⅲ. 연구 1: 대학생의 일반특성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관련 변수간의 연구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7
      • 2. 연구대상 및 방법 29
      • 1) 표본 설계 29
      • 2) 조사도구 개발 및 분석 31
      • 3. 실증 분석 3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4
      • 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36
      • 3)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인 간 차이검증 분석 45
      • 4. 요약 및 결론 58
      • Ⅳ. 연구 2: 대학생이 인지한 학교만족 및 학습지속의향 관련 변수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60
      • 2. 연구내용 및 방법 62
      • 1) 연구모형 62
      • 2) 연구가설 설정 64
      • 3) 분석 방법 67
      • 3. 실증분석 68
      • 1) 측정모형분석 68
      • 2) 상관관계분석 및 타당성 분석 71
      • 3) 연구가설 검증 73
      • 4. 요약 및 결론 82
      • Ⅴ. 결론 및 제언 85
      • 1. 요약 및 결론 85
      • 2.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89
      • 참고문헌 92
      • 부록 107
      • 부록 1. 설문지 107
      • Abstract 1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정충영, 최이규, 무영경영사, , 2011

      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 아카데미, , 2012

      3. 교사의 학교 만족도 관련 요인, 김천기, 임순일, 최원진,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9(3): 79-99, , 2009

      4.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박동열 ( Dong Yeol Park ), 김대영 ( Dae Young Kim ),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6(1): 1-32, , 2006

      5.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이성주,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5(2): 569-588, , 2015

      6. 한국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성태제, 정진철, 최정윤, 이정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08

      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서울: 청람, , 2014

      8.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0

      9. 청년실업과 우리나라 고용시장의 미래, 김용성, 충남발전연구원, 충남경제 3: 3-13, , 2010

      10.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황여정,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6(2): 181-203, , 2006

      1.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정충영, 최이규, 무영경영사, , 2011

      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 아카데미, , 2012

      3. 교사의 학교 만족도 관련 요인, 김천기, 임순일, 최원진,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9(3): 79-99, , 2009

      4.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박동열 ( Dong Yeol Park ), 김대영 ( Dae Young Kim ),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6(1): 1-32, , 2006

      5.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이성주,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5(2): 569-588, , 2015

      6. 한국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성태제, 정진철, 최정윤, 이정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08

      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서울: 청람, , 2014

      8.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0

      9. 청년실업과 우리나라 고용시장의 미래, 김용성, 충남발전연구원, 충남경제 3: 3-13, , 2010

      10.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황여정,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6(2): 181-203, , 2006

      11.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2. 조리과 고등학생의 교육과정의 실태 분석, 홍영옥, 한국외식산업경영학회, 외식산업경영연구 6(1): 133-147, , 2010

      13. 대학생용 학업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전보라, 김정섭,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 연구 21(3): 53-83, , 2015

      14.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21세기사, , 2014

      15. 대학생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김수경, 이숙정,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한국산림 휴양학회지 20(2): 33-40, , 2016

      16. 학습지속의향 관련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윤경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17. 동기적으로 적응적인 웹기반 수업 설계 방안의 고찰, 송상호,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6(2): 37-53, , 2000

      18.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지심,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19. 사이버교육에서 지각된 현존감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 향, 김정겸, 최은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4): 553-573, , 2010

      20.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김경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8-387, , 2011

      21. 대학교육에서 e-러닝 학습 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최명숙, 박혜정, 교육공학 연구 24(1): 27-53, , 2008

      22.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류혜숙,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7(2): 215-239, , 2016

      23. “대학교육 중요도 만족도 분석 및 교육만족도 제고방안 탐색”, 권성연, 신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45: 55-85, , 2012

      24.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영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14(2): 125-145, , 2008

      25.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 규명, 유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26.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윤희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27. 학교 구성원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비교 분석, 이정미, 이길재, 김효정,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1): 183-209, , 2013

      28.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비스품질을 중심으로, 이공섭, 경영정보연구 26: 231-259, , 2008

      29. 간호대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양선이,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7): 334-345, , 2014

      30. 우리나라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박혜정, 최명숙, 교육공학연구 24(1): 27-53, , 2008

      31.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양유정, 정미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22(2): 101-126, , 2016

      32. 대학생의 소명과 학과만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육정원 ( Jung Won Yook ), 김지선 ( Jee Sun Kim ), 김이준 ( Yi Jun Kim ), 김봉환(Bong-Whan Kim),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7(1): 249-264, , 2016

      33.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박현미, 장석진, 한국가족치료학회,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21(1): 1-21, , 2013

      34. "여자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확신,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임지선, 장인온,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미래청소년학회지 12(1): 49-67, , 2015

      35. 공과계열 대학생들의 학업지속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규명, 이정민, 이명화, 한국교육공학회, 한국 교육공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5(1): 117, , 2015

      36. 대학의 진로교육 실천방안. 선진패러다임을 위한 진로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철영, 김재호, 서울: 교육과학사, , 2011

      37.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학습몰입, 교과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예측, 임연욱, 손현수, 주영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구 13(3): 101-122, , 2010

      38.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 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정애경, 최혜리, 주영주, 대한전자공학회, 전자공학회논문지 49(1): 30-38, , 2012

      39. 교수-학생 상호작용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 특성 및 대학 초기 경험 분석, 최보금,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3(1): 185-208, , 2016

      40.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교만족 재입학 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주성, 김종호, 신용섭, 마케팅연구 4(4): 51-74, , 2003

      41.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재학 기간을 중심으로, 김지효,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연구 29(1): 123-139, , 2016

      42. 원격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학업성취과정과 교육결과에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성기선, 신나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3(2): 117-134, , 2003

      43. 서울 경기지역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의 중요 대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IPA)분석, 오왕규, 김준희, 구본길, 한국식품영양학회,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6(4): 967-974, , 2013

      44. 전문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순화, 류남애, 정애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8(12): 535-558, , 2011

      45. 대학부설 평생교육 참여지속 과정에 따른 학습자와 교육기관 요인의 영향력 비교, 이숙원, 평생교육학연구 9(1): 117-147, , 2003

      46. 외식관련 대학의 창업지원 교육과정이 학교만족과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재희, 강진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8(2): 201-224, , 2013

      47. 초 중기 청소년 직업체험학습이 진로계획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가열, 미래청소년학회, 미래청소년학회지 5(3): 115-130, , 2008

      48.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집단별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오인수, 김신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5(1): 29-52, , 2014

      49.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실재감, 학습효과 간의 관계 규명, 이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50.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김우경 ( Woo Kyung Kim ), 김응준 ( Eung Joon Kim ), 한국체육교육학회,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2): 65-77, , 2012

      51.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심우진, 김가연, 주영주, 김지연,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5(2): 151-175, , 2009

      52. 여학생의 무용학습경험이 친구 간 의사소통과 수줍음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강용, 천은영,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32(1): 165-180, , 2015

      53.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현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3(4): 103-127, , 2014

      54. 마이스터고 신입생의 성취목표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지통제의 매개효과, 김경애, 윤채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73-195, , 2016

      55.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수의 문제해결지원을 중심으로, 김혜영, 유지현, 이숙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51-170, , 2016

      56.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 효과, 김태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3(4): 123-141, , 2012

      57. 사이버대학에서 인지된 고립감,조직의 지원,만족도,학습지속의향 간 구조적 관계규명, 주영주, 이상희(Sang-Hoi Yi), 정애경, 유나연, 대한전자공학회, 전자공학회논문지 49(10): 240-250, , 2012

      58.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지각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봉환,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8(4): 1453-1465, , 2007

      59.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김종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797-814, , 2016

      60. 테레사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 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문화 정체성의 매개효과, 김수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585-607, , 2016

      61. 전문대학생의 시간관리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연진, 심의경,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42(2): 213-230, , 2016

      62.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전영미 ( Young Mee Jeon ), 한국공학교육학회(구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공학연구 18(1): 61-73, , 2015

      63.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진로의사결정, 진로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숙자, 김희배,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 논문집 21(1): 33-66, , 2015

      64. 대학서비스에 대한 외식 조리전공 학습자인식요인이 만족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본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65.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관계에서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박인주(Park,In-joo), 김화진(Kim, HIwa- J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관광연구 29(6): 83-101, , 2015

      66.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요인과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연구: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김윤성,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7(1): 189-214, , 2003

      67.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허정철,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12(10): 227-236, , 2012

      68.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주영주, 이유경, 최혜리, 이영희, 한국정보교육학회,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4(3): 341-353, , 2010

      69. CRM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의 지각된 관계적 편익과 관계몰입의 매개적 역할, 이학식, 임지훈,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32(5): 1317-1347, , 2003

      70. 대학생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동기, 자아인식, 학습전략, 학습상황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5(2): 71-91, , 2015

      71.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복남, 엄태영, 김교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7(2): 69—85, , 2009

      72. 서비스산업 종사원의 감정부조화, 소진,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콜센 터 상담직원을 중심으로, 송지준,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고객만족경영연구 13(2): 103-123, , 2011

      73.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74.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관계 분석, 윤성혜, 강명희, 구진아,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 학연구 14(4): 787-806, , 2010

      75. 조리 외식 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차이연구, 최원식, 이수범, 서경화, 관광레저연구 28(5): 367-391, , 2016

      76.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서보람,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77.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임연욱(Yeon-Yook Im), 하영자(Young-Ja Ha),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한국HRD연구 5(4): 49-67, , 2010

      78. 조리 외식경영전공 대학생의 진로개발이 학습몰입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DISC행동유형을 조절변수로, 오혜지,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6

      79. "특성화고교생의 경제적 스트레스, 학교소속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만족도의 관계규명", 주영주(Joo Young Ju), 김동심(Kim Dong Sim),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5(1): 73-95, , 2014

      80. 공업계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흥미-전공 일치도, 직업흥미 -포부 일치도,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김장희, 장성수,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연구 29(3): 1-18, , 2012

      81.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송윤희(Song, Yun Hee), 유지원(You, Ji W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4(4): 123-145, , 2013

      82.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도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류은정, 강지혜, 한국교육공학회,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015(2): 148-159, , 2015

      83. 사이버교육생의 자기효능감, 내적통제소재, 조직의 지원, 몰입,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가연, 주영주, 김나영,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 연구 26(1): 25-55, , 2010

      84. 호텔·외식·관광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슬기, 이형룡(Lee Hyung-Ryong),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연구 13(1): 70-105, , 2010

      85.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불확실성 불관용, 진로탐색 행동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노윤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86. 조리실습 교육서비스가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산업전공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신정, 동북아관광학회, 동북아관광연구 12(1): 257-275, , 2016

      87.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유병민(Byeong Min Yu), 박혜진(Hye-Jin Park),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649-674, , 2014

      88.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유지원, 송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3(3): 91-112, , 2013

      89. 서비스지향성과 서비스가치가 학생만족과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육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심규열, 오상현, 송종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마케팅논집 19(4): 23-42, , 2011

      90. 진로상담: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도의 관계모형 검증, 조명실, 최경숙, 상담학연구 8(3): 1085-1099, , 2007

      91. 기업 내 e-Learning 의 반응, 학습성과 및 전이 성과 간 관계: 교육참가자의 개인특성 및 조직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 으로, 임효창, 박경규, 이인석,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28(3): 1-32, , 2004

      92. 웹기반 멘토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부 특수 학급 학생들의 진로계획 능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 송은주, 이숙향,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 교육저널 12(3): 91-114, , 2011

      93. 전문대 공학계열생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학습성과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 에 관한 연구, 이영희 ( Young Hee Yi ), 정애경 ( Ae Kyung Chung ), 주영주 ( Young Ju Joo ), 이광희 ( Kwang Hee Lee ), 한국공학교육학회(구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공학교육연구 14(1): 32-39, , 2011

      94.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 사회적 지원,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관계분석, 박성열, 차승봉,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2): 1-23, , 2016

      95. 외식조리 전공자가 지각한 진로장벽요인에 따른 진로결정여부의 판별분석-충청도에 위치한 2년제와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나태균,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 연구 5(2): 299-317, , 2012

      96.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전공 관련만족도 및 자원봉사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병덕, 신원우,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3): 293-314, , 2016

      97. 교육서비스품질, 학교만족, 관계품질, 그리고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자립형 사립고등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철형, 조용석, 배수원, 송동효, 김하균, 한국자료분석학회지 9(6): 1229-2354, , 2007

      98.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소진, 학과환경특성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A 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를 중심으로, 김영갑, 전혜진,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연구 15(2): 77-93, , 2012

      99. 진로자기효능감의 선행요인인 가족지지, 심리적 독립, 진로장벽이 진로 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비교, 임통일,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00.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종백 ( Jong Baeg Kim ), 김남희 ( Nam Hee Kim ), 한국교육심리학회,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101. 학습자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및 학습 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학점은행제 직업전문학교 외식계열 전공자 대상으로-, 문숙정,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02.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대학생(4년제) 및 전문대학생(2-3년제) 간의 다집단 분석, 이지민 ( Ji Min Lee ), 한혜림 ( Hye Rim Han ),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54(2): 197-206, ,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