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의 중다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0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능력, 이타성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SEM)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로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중다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팬텀모형(phantom model)을 구성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다문화수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을 통해 다문화수용성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한 매개변인인 대인관계능력은 다문화수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이타성에 영향을 미쳐서 간접적으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직면해 있는 한국사회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정에서부터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부모양육태도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능력, 이타성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능력, 이타성과 다문화수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SEM)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로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중다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팬텀모형(phantom model)을 구성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다문화수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을 통해 다문화수용성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한 매개변인인 대인관계능력은 다문화수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이타성에 영향을 미쳐서 간접적으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직면해 있는 한국사회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정에서부터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부모양육태도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능력과 이타성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between parental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ltruis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and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South Korean youth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In addition, a phantom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itudes were shown to not only 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was shown to have no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was shown to affect altruism thereby indirectly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youth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a parenting attitude to understand and accept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home. And it suggest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ability and altruis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between parental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ltruis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and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between parental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ltruis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and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South Korean youth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In addition, a phantom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itudes were shown to not only 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was shown to have no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was shown to affect altruism thereby indirectly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ltruism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youth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a parenting attitude to understand and accept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home. And it suggest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ability and altru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2 강희연,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23-148, 2006

      3 박주희,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21, 2008

      4 이계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최지영,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11, 2015

      6 장인실,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3 (3): 55-87, 2010

      7 이건남,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14, 2013

      8 이민영,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행동통제특성과 내외통제소재 및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3-218, 2011

      9 김학령,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6) : 261-288, 2011

      10 이현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0

      1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37-157, 2006

      2 강희연,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23-148, 2006

      3 박주희,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21, 2008

      4 이계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최지영,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11, 2015

      6 장인실,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3 (3): 55-87, 2010

      7 이건남,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14, 2013

      8 이민영,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행동통제특성과 내외통제소재 및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3-218, 2011

      9 김학령,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6) : 261-288, 2011

      10 이현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0

      11 윤정연,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성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2 유안나,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21-228, 2018

      13 정석원, "청소년의 다문화 교육경험과 사회적 친밀감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51-68, 2012

      14 한국염, "지자체의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프로젝트의 실상과 과제"

      15 박현정, "중학생의 부모화 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 지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35-49, 2011

      16 이자형,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53-77, 2013

      17 박혜숙, "중고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43-469, 2018

      18 윤인성, "일반아동의 다문화가정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19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대한 일연구" 19 : 195-204, 1980

      20 조화태,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

      21 이지연, "이타주의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또래 수용도" 11 (11): 15-29, 2007

      22 이복주, "유아의 인기도와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3 천혜경, "유아의 또래수용도와 친구관계 개념에 관한 연구" 仁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4 전정미,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5 이순자,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와 공감능력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6 (6): 333-353, 2004

      26 김태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귀인성향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27 천영옥, "아동의 이기심과 이타심 정도에 따른 정신건강 및 적응과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28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9 김미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69-88, 2010

      30 고아라, "수도권 초등학생의 인종 편견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1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95

      32 설은정,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91-114, 2012

      33 김길자,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4 김희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5 오성심,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36 강금주,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대인관계만족의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2015

      37 손남숙, "부모양육태도가 만4세-6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49-78, 2008

      38 이미란, "부모-자녀 및 친구관계가 청소년의 자존감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39 Shaffer, D. R.,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

      40 윤혜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1 장임숙,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인권 정책에 대한 태도"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77-199, 2012

      42 강혜정,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35-57, 2012

      43 이선주,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과 다각적 협력체계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44 김승경,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중언어요인, 이중문화요인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47-176, 2012

      45 전경숙, "다문화 교육 정책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청 2008

      46 홍정미,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7 민경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편견 : 대학생집단을 중심으로" 4 (4): 146-168, 1989

      48 강준기, "군 병사의 내현적 자기애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4

      49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2005

      50 양계민,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59-79, 2009

      5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52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8, 2000

      53 서병곤, "공감훈련이 청소년의 공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4 조효진, "공감능력과 이타성향간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5 류정임,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 유아의 인기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6 柳鍾烈, "가족환경 요인이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급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57 송은경,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성격특성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8 林善和, "子女가 知覺한 父母의 養育態度와 子女의 自我槪念 및 社會的 適應과의 관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59 Furnham, A., "Young people's understanding of society" Routledge 1991

      60 Carlson, J. M., "The transmission of racial attitudes from fathers to sons : A study of Blacks and Whites" 20 : 233-237, 1985

      61 Eisenberg, N.,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2 Sinclair, 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acial 41, 283-289. attitudes and children's implicit prejudice" 41 (41): 283-289, 2005

      63 Eisenberg & Miller.,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101 (101): 91-119, 1987

      64 Dunn, J. F., "The reaction of first-born children to the birth of a sibling : Mother's reports" 22 (22): 1-18, 1981

      65 Hoffman, M. L.,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Academic Press 1982

      66 Sandling, K. M.,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preadolescent friendship"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80

      67 Egeland, B., "Resilience as a process" 5 : 517-528, 1993

      68 Joireman, J. A., "Relationships between dime nsions of attachment and empathy" 4 : 63-80, 2001

      69 Nesdale, D., "Psychology and society" Australian Academic Press 92-110, 1999

      70 Youniss, J., "Parents and peers in social developm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71 Hoffman, M. L.,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25" University of Nebraska 1987

      72 Kurtines, W. M.,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1" Allyn & Bacon 1995

      73 Batson, C. D., "Is empathy-induced helping due to self-other merging?" 73 (73): 495-509, 1997

      74 Schlein, S. P.,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75 Gruse, J. E., "Household work and the development of concern for others" 32 : 999-1007, 1996

      76 Emily, A. I., "Giving up and giving in : The cost and benefit of daily sacrifice in intimate relationships" 89 (89): 327-344, 2005

      77 Bar-Tal, D., "Futher evidence regarding the sequential development of helping behavior" 180-592, 1979

      78 Mannarino, A. P., "Friendship patterns and altruistic behavior in preadolescent males" 12 (12): 555-556, 1976

      79 Feshbach, N. D., "Empathy in children :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5 : 25-30, 1975

      80 Barntt, M. A.,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6-162, 1987

      81 Hughes, D., "Correlates in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s racial socialization behaviors" 63 (63): 981-955, 2001

      82 Kagman, J., "Change and continuity in infancy" John Wiley 1971

      83 Batson, D. D., "Altruistic and helping behavior: Social, personality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09 2.5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