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 ◯초등학교 5, 6...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7675
2017
Korean
집단음악치료 ; 저소득층 ; 일상생활스트레스 ; 스트레스대처행동 ; 사회적지지 ; 자아존중감 ; 자아탄력성 ; Group music therapy ; Low-income group ; Daily stress ; Stress-coping behavior ; Social support ; Self-esteem ; Self-resilienc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5(1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 ◯초등학교 5, 6...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권자 와 차상위 계층에 속하는 저소득층 아동 중 연구에 동의한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45분씩 총 20회의 집단음 악치료를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 감,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와 측정시기 간의 차이 및 집단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음악치료는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 부모 관련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 료가 저소득층 고학년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 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from low-income groups. The subjects are 37 children selected from among 139 fifth and sixth grade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tress, coping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from low-income groups. The subjects are 37 children selected from among 139 fifth and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Jeonju. The selected students either belong to the near-poverty group or a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mong them, 10 students were selected again with the consent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But the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as reduced to nine because one student was excluded due to low attendance rate. A group music therapy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20 times,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inventories that were designed to check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ily stress, stress-coping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group music therap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aily stress level of the subjects and some of their stress-coping factors. The therapy served to improv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may be used as a valuable intervention method to facilitate the psycho social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 from the low-income group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이상 심리학" 학지사 2012
2 임혜경, "한 부모 가정의 모-자녀 집단 활동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자존감과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효과" 13 (13): 5-28, 2012
3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77-95, 1998
4 전미숙,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행동, 우울과 공격성과의 관계" 17 (17): 270-281, 2013
5 박진아,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과 행동 문제간의 관계" 22 (22): 107-122, 2001
6 Yalom I. D., "최신 집단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하나의학사 2001
7 유은애,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적응의 관계" 1 : 82-103, 2008
8 김성희, "집단음악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147-167, 2009
10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7 (7): 221-237, 2011
1 권석만, "현대 이상 심리학" 학지사 2012
2 임혜경, "한 부모 가정의 모-자녀 집단 활동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자존감과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효과" 13 (13): 5-28, 2012
3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77-95, 1998
4 전미숙,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행동, 우울과 공격성과의 관계" 17 (17): 270-281, 2013
5 박진아,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과 행동 문제간의 관계" 22 (22): 107-122, 2001
6 Yalom I. D., "최신 집단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하나의학사 2001
7 유은애,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적응의 관계" 1 : 82-103, 2008
8 김성희, "집단음악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조은희, "집단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147-167, 2009
10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7 (7): 221-237, 2011
11 조경애, "집단음악심리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2 정현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계층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6 (6): 163-186, 2002
13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4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방임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8 : 137-169, 2009
15 김미선,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강해선,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 경향과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최보가,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31 (31): 41-53, 1993
18 오현숙,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 및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민하영,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척도 개발"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83-96, 1998
20 정현주, "인간 행동과 음악" 학지사 2011
21 임은희, "음악치료학개론" 푸른북 2007
22 문지연, "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6
23 최애나,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4 정혜인, "아동의 학교 적응성 탐색을 위한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 23 (23): 361-382, 2010
25 박선영,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6 기채영,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7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8 이영옥, "아동·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지각한 환경, 심리적 문제에 관한 발달 단계별 차이연구" 6 (6): 53-79, 2011
29 이재연, "빈곤 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12 (12): 71-93, 1997
30 홍주영, "부부갈등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청소년의 또래관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1 송명자, "발달 심리학" 학지사 2008
32 김수주,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및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3 김선하, "리듬악기합주 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11 (11): 40-59, 2009
34 박소연, "대처 행동에 따른 음악 활동 참여가 스트레스 감소와 이완 상태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9 (9): 51-67, 2013
35 홍종숙, "놀이 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5
36 이경희, "그룹 음악치료를 통한 여가 활동이 후기성인 장애인의 우울 감소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13 (13): 85-103, 2011
37 Sharma M., "Use of music therapy for enhancing self-esteem among academically stressed adolescents" 27 (27): 53-64, 2012
38 Friborg O., "Resilience as a moderator of pain and stress" 61 (61): 213-219, 2006
39 Higgins, R. O,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the capacity for intimacy" Harvard Graduate School Education 1983
40 Bremberg S., "Health promotion in school age children" 26 (26): 81-84, 1999
41 Bruscia K. E., "Defining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1998
42 Dubow E. F.,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18 (18): 52-64, 1989
43 조정은, "ADHD학생을 위한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 즉흥연주를 중심으로" 9 (9): 169-188, 2009
44 Hakvoort L., "A music therapy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forensic offenders" 17 : 74-81, 2002
45 보건복지부, "2013 아동 종합 실태 조사 주요결과"
그림 형제의 민담 <작은 빨강모자>에 나타나는 이야기 전개와 상들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부모 가정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관계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4-1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예술치료학회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IKA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