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38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와 그 유아를 담당 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 코칭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칭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 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과 관계역량 영역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역량과 의식역량 및 성장역량은 상대적으로 설 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의사소통 및 관계역량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저비용의 코칭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기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리고,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해 코칭교육의 기회를 높이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에 소재...

      본 연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와 그 유아를 담당 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 코칭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칭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 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과 관계역량 영역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역량과 의식역량 및 성장역량은 상대적으로 설 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의사소통 및 관계역량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저비용의 코칭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기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리고,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해 코칭교육의 기회를 높이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y level influences infant’s leadership development.
      The sample of this study is the parents and teachers of 336 infants at the ages of 3 to 5 years ol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for Windows.
      The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parent’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aching competency are important for enhancing infant’s leadership.
      Seco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level is, the higher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e with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is. Thus,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training program and the facilitation of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required. This study has contributed in revealing that parent’s coaching competency can increase the infant’s leadership. Therefore, the enhancement of coaching through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be supported by the social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y level influences infant’s leadership development. The sample of this study is the parents and teachers of 336 infants at the ages of 3 to 5 years old. Collected data w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y level influences infant’s leadership development.
      The sample of this study is the parents and teachers of 336 infants at the ages of 3 to 5 years ol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for Windows.
      The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parent’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aching competency are important for enhancing infant’s leadership.
      Seco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level is, the higher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e with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is. Thus,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training program and the facilitation of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required. This study has contributed in revealing that parent’s coaching competency can increase the infant’s leadership. Therefore, the enhancement of coaching through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be supported by the social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 코치 자격 과정 매뉴얼"

      2 "한국코칭학회"

      3 도미향, "코칭학개론" 신정 2014

      4 한허정, "조직 중간관리자의 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6 정현희, "유아코칭에서의 주도성 향상을 위한 위인동화의 활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7 문경희, "유아의 용기와 행복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조희정, "유아의 사고방식으로서의 셀프 리더십 요인과 수업활동 프로그램 구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41-263, 2006

      9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0 홍희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 도미향, "한국코칭학회 전문 코치 자격 과정 매뉴얼"

      2 "한국코칭학회"

      3 도미향, "코칭학개론" 신정 2014

      4 한허정, "조직 중간관리자의 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6 정현희, "유아코칭에서의 주도성 향상을 위한 위인동화의 활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7 문경희, "유아의 용기와 행복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조희정, "유아의 사고방식으로서의 셀프 리더십 요인과 수업활동 프로그램 구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41-263, 2006

      9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0 홍희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이은미,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김경진, "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3 김주희,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정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코칭역량이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5 김금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노인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7 조명옥,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어머니의 코칭역량"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김정연, "아버지의 놀이성, 양육행동, 유아의 리더십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9 김채하,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0 도미향, "성격과 코칭의 이해" 신정 2011

      21 정대현,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검사도구 개발: 유아기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179-209, 2012

      22 정대현, "부모코칭역량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공감능력간의 상관"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83-100, 2014

      23 김난숙,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4 이미선,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5 김차미, "부모코칭 프로그램을 통한 모-자녀 상호작용 변화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26 김민숙, "부모의 코칭역량 및 부모역할지능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7 이소희, "부모교육에서의 코칭 접근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탐색적 연구" 5 (5): 21-50, 2008

      28 도미향, "부모 자녀관계코칭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3 (3): 69-89, 2006

      29 이소희, "멋진응원" 신정 2008

      30 도미향, "맞벌이 어머니 지지를 위한 코칭기법의 적용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213-230, 2007

      31 한찬희, "만 2세 영아의 문해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가정문해환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강기정, "다문화가족 모(母)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111-125, 2009

      33 이은경,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34 남희숙, "누리과정 예술영역에 기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35 김민선,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6 이채호,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3-37, 2008

      37 김수진, "가정환경변인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38 Vytgosky. L. S., "Thought and language" MTT press 1962

      39 Borba. Michele, "Nobody likes me, everybody hates me : the top 25 friendship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Jossey-Bass 2005

      40 Rychen, D, S., "DeSeCo Aymposium-Discussion paper" 2002

      41 왕경수, "AP Now 부모코칭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16 (16): 71-9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