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년기 가족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 간에 미치는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Middle-aged Family's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between Weekend Family Activity and Family Heal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2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ekend activity and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on family health as middle-aged family leisur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between weekend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ekend activity and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on family health as middle-aged family leisur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between weekend family activity and family health.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rried men and women aged 40-64 years from April 20 to April 30, 2018. A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339 data. The main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parameter), and the first stage criterion was satisfied. Second,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mily health (dependent variable), meeting the criterion of the second stage. Third, as a result of injecting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and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parameter) at the same time, the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and the effect of weekend family activity was partially reduced. Thus, the third stage of the criterion for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was met. In conclusion, middle-aged family’s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with weekend family activity. In addition, the family’s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can play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weekend family activity and family health. In the future,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healthy family life of the middle-aged generation if the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as family leisure is more active and complementary with various weekend family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가족여가로서 주말활동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 사이에서 발휘되는 일상의 차와 커피 음...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가족여가로서 주말활동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 사이에서 발휘되는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40-64세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활용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말가족활동은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로써 1단계 준거가 충족되었다. 둘째, 주말가족활동은 가족건강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2단계 준거 역시 충족하였다. 셋째, 주말가족활동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을 동시에 투입한 결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은 가족건강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주말가족활동의 영향은 일부 감소하여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부분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3단계 준거가 충족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족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은 주말가족활동과 더불어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자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을 중개하는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으로 가족여가로서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을 보다 활성화하여 다양한 주말가족활동의 이행과 상호보완을 이루도록 한다면 중년 세대들의 건강한 가족의 삶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재, "캠핑참여 가족들의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2015

      2 오승영, "초등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2015

      3 최성범,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유형이 가족건강성과 역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1 (11): 345-356, 2013

      4 이민아,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 중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준민,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61-172, 2005

      6 최배영, "중년기의 배우자역할중요도와 부부 차생활 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 차생활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차학회 24 (24): 1-10, 2018

      7 최배영, "중년기의 가족저녁식사와 가족건강성 간 가족차생활의 매개효과" 국제차문화학회 44 : 155-187, 2019

      8 진명훈, "중년기 남성의 여가활동유형과 인구사회적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9 심지, "중년기 기혼남녀의 여가활동 실태와 여가활동 변인이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15

      10 통계청, "주민등록인구"

      1 김의재, "캠핑참여 가족들의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2015

      2 오승영, "초등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및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2015

      3 최성범,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유형이 가족건강성과 역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1 (11): 345-356, 2013

      4 이민아,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 중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준민,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61-172, 2005

      6 최배영, "중년기의 배우자역할중요도와 부부 차생활 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 차생활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차학회 24 (24): 1-10, 2018

      7 최배영, "중년기의 가족저녁식사와 가족건강성 간 가족차생활의 매개효과" 국제차문화학회 44 : 155-187, 2019

      8 진명훈, "중년기 남성의 여가활동유형과 인구사회적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9 심지, "중년기 기혼남녀의 여가활동 실태와 여가활동 변인이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15

      10 통계청, "주민등록인구"

      1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2 문숙재, "여가문화와 가족" 도서출판신정 133-134, 2007

      13 성제환, "여가로서 다도(茶道)활동 참여에 관한 연구" 국제차문화학회 40 : 71-96, 2018

      14 한영숙,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15 김민정, "부모의 주 5일 근무 여부에 따라 가족여가활동 유형과 가족여가활동 정도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지영숙, "도시가정의 가족여가 유형" 19 (19): 153-165, 2001

      17 최성준, "농촌관광 현장체험이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2019

      18 문화체육관광부,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 보도자료"

      19 오은지,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이의미 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2016

      20 차승은, "기혼 취업자의 주말여가패턴: 2009 생활시간자료를 중심으로" 여가문화학회 9 (9): 61-90, 2012

      21 김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 부부의 가족건강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22 유영주,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12 : 25-42, 1994

      23 최혜정, "가족의례와 아내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4 어은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6, 1995

      25 문숙재, "가족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 만족도 분석- 가정지향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31-39, 2005

      26 홍성화, "가족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주5일 근무제 실시집단을 중심으로" 1 (1): 57-71, 2003

      27 김양희, "가족과 생활문화" 양서원 68-69, 2009

      28 유혜은, "가족 차생활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8

      29 어은주, "韓國 都市 家族의 健康性 및 關聯 變因 硏究"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6

      30 Otto, H. A, "What is strong family" 24 : 77-80, 1962

      31 Stanford, Beverly Hardcastle, "Valuing families: Traits of a healthy family" 71 (71): 189-, 1995

      32 Marks, S. R, "Toward a systems theory of marital quality" 51 : 15-26, 1989

      3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4 William J. Doherty, "The intentional family: Simple rituals to strengthen family ties" Harper Collins 67-68, 1999

      35 Zabriskie,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 patterns o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50 (50): 281-289, 2001

      36 Fukukawa, Yasuyuki, "The impact of health problems on depression and activitie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 and social interactions as moderators" 59 (59): 19-26, 2004

      37 Steptoe A, "The effects of tea on psychophysiological stress responsivity and post-stress recovery: A randomised double-blind trial" 190 : 81-89, 2007

      38 Oshio, Takashi, "The association between involvement in family care giving and mental health among middle-aged adults in Japan" 115 : 121-, 2014

      39 Huang, Ko-Hsun H., "Social interaction design in cultural context: A case study of a traditional social activity" 2 (2): 81-96, 2008

      40 Stinnett, N.,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11 (11): 3-11, 1977

      41 Hozawa A, "Green tea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lower psychological distress in a general population: The Ohsaki Cohort 2006 Study" 90 : 1390-1396, 2009

      42 Shimbo M, "Green tea consumption in everyday life and mental health" 81 : 1300-1306, 2005

      43 Fiese, B. H., "Development of the family ritual questionnaire: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ation studies" 6 : 290-299, 1993

      44 Orthner, D. K., "Benefits of leisure" Venture 215-301, 1991

      45 Smith, Kevin M., "An examination of family communication within the core and balance model of family leisure functioning" 58 (58): 79-90, 2009

      46 Bloom, B. L, "A factor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family functioning" 24 : 225-239, 1985

      47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3 0.5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