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릿-S 척도 문항의 타당성 및 차별기능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4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그릿의 측정 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간편형 그릿 척도(Short Grit Scale, Grit-S)의 문항에 대해 그 타당성을 문항반응이론인 Rasch 모형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릿의 측정 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간편형 그릿 척도(Short Grit Scale, Grit-S)의 문항에 대해 그 타당성을 문항반응이론인 Rasch 모형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에서는 초 · 중 · 고 학생 703명을 대상으로 문항 적합도, 문항 응답범주 및 문항 난이도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성별 및 학교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그릿은 두 하위요인 즉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으로 구분되었으며, 흥미유지 요인 중 3문항과 노력지속 요인 중 1문항의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 응답범주에서는 흥미유지 요인 중 1문항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5점 범주보다 4점 범주의 척도에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험자 특성×문항 난이도 분포에서 흥미유지 요인의 경우 하위권과 상위권 피험자, 노력지속요인의 경우 최상위권 피험자의 능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학교급 간 차별기능문항을 분석한 결과 노력지속 요인 중 1문항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균일한 차별기능이 나타났고,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요인 각 1문항에서 초 · 중 · 고 학교급에 따라 균일하지 않은 차별기능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Grit-S (Short Grit Scale), using the Rasch model of the item response theory. We analyzed responses from 7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appropriateness of item-fit, item response ca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Grit-S (Short Grit Scale), using the Rasch model of the item response theory. We analyzed responses from 7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appropriateness of item-fit, item response categories, and item difficulty. Additionally,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was analyzed based on gender and school level. Results showed that grit was found to have two distinctive sub-factors, interest (consistency of interest) and effort (perseverance of effort). In the analysis for the item-fit, we found issues in three of the items of interest, and one item of effort. The analysis of response category showed that a 5-point category was appropriate on all items, except for one item of interest. The item difficulty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ability of the higher and lower-ranked subjects of interest, and the highest-ranked subjects of effort were not appropriately measured. Finally, the DIF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uniformly scored higher on one item of effort, and responses from one item of interest and one item of effort were non-uniformly different from the schoo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명, "한국판 아동용 끈기(Grit) 척도의 타당화" 교육연구원 35 (35): 63-74, 2015

      2 이웅, "한국판 GRIT 척도 :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 연구" 대한불안의학회 15 (15): 53-60, 2019

      3 이희준, "폴 댄스 운동 참여자들의 그릿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20

      4 정지은,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2 (22): 321-346, 2021

      5 최찬혁,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그릿(GRIT)특성이 운동 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2019

      6 김미숙, "초·중·고 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7-322, 2015

      7 임현희,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95-523, 2018

      8 오현수,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2020

      9 이익섭,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73-295, 2007

      10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1 김희명, "한국판 아동용 끈기(Grit) 척도의 타당화" 교육연구원 35 (35): 63-74, 2015

      2 이웅, "한국판 GRIT 척도 :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 연구" 대한불안의학회 15 (15): 53-60, 2019

      3 이희준, "폴 댄스 운동 참여자들의 그릿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20

      4 정지은,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학업지연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2 (22): 321-346, 2021

      5 최찬혁,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그릿(GRIT)특성이 운동 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2019

      6 김미숙, "초·중·고 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7-322, 2015

      7 임현희,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95-523, 2018

      8 오현수,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그릿(GRIT)이 창의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2020

      9 이익섭,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73-295, 2007

      10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11 홍세희,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Rasch 평정척도모형의 적용"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865-880, 2006

      12 정지혜,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삼원 그릿 척도" 2018

      13 민유선, "생활 체육 수영참여자의 그릿(GRIT)이 운동 지속 의도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2020

      14 정은이, "삼원 그릿 척도(Triarchic Grit Scale)의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31-1255, 2019

      15 박찬호, "부모의 학업관여, 그릿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9

      16 성태제,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16

      17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18 이성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그릿, 진로결정수준, 진로탐색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원광대학교 2020

      19 임효진, "그릿의 요인 및 성차와 연령차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58 (58): 25-54, 2020

      20 김정은, "그릿과 열정 간의 변별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검증 : 다집단 분석을 이용한 비교문화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8

      21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소 18 (18): 169-192, 2017

      22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 및 초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잠재평균의 차이" 한국교육학회 55 (55): 87-113, 2017

      23 임효진, "그릿(Grit) 척도에 나타난 성장 특성 확인: 문항의 변화민감도 분석을 중심으로" 2020

      24 한수연, "그릿 종단변화의 개인적․사회적 예측요인과 그릿 증진 프로그램 효과 탐색" 충남대학교 2019

      25 임효진,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한국교육심리학회 33 (33): 317-339, 2019

      26 Credé, M., "What shall we do about grit? : A critical review of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47 (47): 606-611, 2018

      27 Strayhorn, T. L., "What role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 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18 (18): 1-10, 2014

      28 Clauser, B. E., "Using statistical procedures to identify differentially functioning test items. An NCME instructional module" 17 (17): 31-44, 1998

      29 Smith, R. M., "Using item mean squares to evaluate fit to the Rasch model"

      30 Vecchione, M., "The role of personal values and basic traits in perceptions of the consequences of immigration : A three-nation study" 103 (103): 359-377, 2012

      31 Eskreis-Winkler, L., "The grit effect :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36 (36): 1-12, 2014

      32 이정오, "Rasch모형을 적용한 한국형 스포츠심상질문지 타당화"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770-781, 2016

      33 지은림, "Rasch 모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0

      34 서은철, "Rasch 모형을 적용한 태권도 선수의 삼원그릿 척도 타당도 증거"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225-240, 2020

      35 강동균, "Rasch 모형을 적용한 그릿 척도의 문항 적합성 : 조정 선수를 대상으로" 한국체육과학회 30 (30): 1013-1020, 2021

      36 정혁, "Rasch 모형: 서열척도 분석의 대안적 방법" 한국코칭능력개발원 7 (7): 133-141, 2005

      37 Hong, S., "Rasch rating scale modeling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65 (65): 124-139, 2005

      3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2015

      39 Wanzer, D., "Predictors of grit: A multilevel model examination of demographics and school experiences"

      40 Flaming, N., "Personality and gender: Gri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2017

      41 Usher, E. L., "Perseverant grit and self-efficacy : Are both essential for children’s academic success" 111 (111): 87-902, 2019

      42 McNamara, T. F., "Measur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Longman 1996

      43 Midkiff, B., "Measuring grit among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 A psychometric analysis" 2016

      44 Wolters, C. A.,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10 (10): 293-311, 2015

      45 Muenks, K., "How true is grit? Assessing its relations to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regul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109 (109): 599-620, 2017

      46 Tyumeneva, Y., "Grit: Two related but independent constructs instead of one. Evidence from item response theory" 35 (35): 469-478, 2019

      47 Morell, M., "Grit: The long and short of it" 113 (113): 1038-1058, 2021

      48 Giordano, M. J., "Grit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language learning : Instrument validation using the Rasch model" 23 (23): 38-42, 2019

      49 Datu, J. A. D., "Grit and determination : The triarchic model of grit is linked to academic success and well-being among Filipino high school students" 33 (33): 428-438, 2018

      50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51 Hambleton, R. K., "Fundamentals of item response theory" Sage 1991

      52 Asparouhov, T.,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6 (16): 397-438, 2009

      53 Angoff, W. H.,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Routledge 3-23, 1993

      54 Duckworth, A. 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91 (91): 166-174, 2009

      55 Dorans, N., "DIF detection and description : Mentel-Haenszel and standardization" Erlbaum 1993

      56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57 Lim, H., "Construct or item wording effect? Evidence from a multidimensional item factor analysis of the Grit-S" 2019

      58 Bond, T. G.,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Routledge 2015

      59 Lamprianou, I., "Applying the Rasch model in social sciences using R" Routledge 2019

      60 Hammond, S. M., "An IRT investigation of the validity of non-patient analogue research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11 (11): 14-20, 1995

      61 Andrich, D., "A rating formulation for ordered response categories" 43 (43): 561-573, 1978

      62 Hong, S., "A psychometric revision of the European American Values Scale for Asian Americans using the Rasch model" 37 (37): 194-207, 2005

      63 Zumbo, B. D., "A handbook on the theory and method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National Defense Headquarters 1999

      64 Kim, Y., "A clash of constructs? : Re-examining grit in light of academic buoyanc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