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of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of Small-sc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0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상관관계와 분산적 리더십...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상관관계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단위 소규모 초등학교(11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 212명이고, SPSS 26.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나, 자원연계활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 활동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를 통해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와 연계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선행요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측면의 잡 크래프팅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셋째, 소규모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가 연동되는 학문적·실천적 연구의 확산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Maeul edu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 linking ac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small-scale schools(11 classes or less) nationwid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re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ut not on sense of commu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ut job craft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ource-linking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it was foun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resource-linking activity through mediating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ollow-up studie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re needed to revitalize Maeul educational communities in connection with small-scale schools. Second, activation of job crafting research on the teacher sid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prea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that connects small-scale schools and Maeul educational commu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순정, "확산이론(Theory of diffusion)에 근거한 혁신학교 확산 의미 탐색: 경기도 S시 혁신학교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53-180, 2016

      2 임명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181-206, 2014

      3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4 유일한, "한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37-65, 2019

      5 박찬,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6 진동섭, "학교 변화의 새로운 요인 탐색 : 폐교 위기를 극복한 J초등학교 D분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345-371, 2014

      7 오현아, "진성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학회 8 (8): 21-60, 2017

      8 서철현,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2009 성주 참외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47-466, 2011

      9 박태영,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39-668, 2012

      10 박미진,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03-231, 2017

      1 권순정, "확산이론(Theory of diffusion)에 근거한 혁신학교 확산 의미 탐색: 경기도 S시 혁신학교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53-180, 2016

      2 임명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181-206, 2014

      3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4 유일한, "한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37-65, 2019

      5 박찬,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6 진동섭, "학교 변화의 새로운 요인 탐색 : 폐교 위기를 극복한 J초등학교 D분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345-371, 2014

      7 오현아, "진성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학회 8 (8): 21-60, 2017

      8 서철현,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2009 성주 참외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47-466, 2011

      9 박태영,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39-668, 2012

      10 박미진, "지역사회복지관 조직풍토와 사회복지사의 자원연계기술과의 관계: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03-231, 2017

      11 양현명,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자원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12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1-232, 1998

      13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23-50, 2006

      14 이영원, "지역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389-416, 2016

      15 민병성, "지속가능한 마을학교 형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 국회교육희망포럼 61-71, 2017

      16 한재명, "지방교육재정 운용 분석 : 학생수 감소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서 2016

      17 교육부, "적정규모 학교 육성 강화 및 폐교 활용 활성화. (2016년 7월 5일 보도자료)"

      18 홍기표, "작은학교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교사의 생각" 국회교육희망포럼 45-53, 2017

      19 서길원, "작은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청의 역할과 과제" 국회교육희망포럼 72-84, 2017

      20 정바울, "자생적 학교 혁신의 확산 경로와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313-338, 2011

      21 성민정, "임파워링 리더십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2 이정화,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일가치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6 (26): 193-207, 2019

      23 정운기, "스스로 농촌학교로 간 도시교사들의 기대와 갈등"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79-104, 2013

      24 임연기, "소규모학교 성공사례 분석연구. (2013년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지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25 홍세영,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2

      26 박선형, "분산적 지도성: 학문토대와 개념정의 및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35, 2018

      27 문성윤,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28 김병진, "부사관 계열 학생이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른 응집력 및 공동체의식과 임관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2018

      29 이정호,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적 접근방안 연구" 국립사회복지연수원 1995

      30 강순화, "메가이벤트 개최지의 사회자본과 사회적 가치, 공동체의식 및 협력의사 간의 영향관계연구" 경기대학교 2016

      31 강영택,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 학교와 마을, 두 바퀴로 움직이는 학교공동체 이야기" 민들레 2017

      32 "마을교육공동체의 활동체제 분석: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교육문제연구소 40 (40): 73-92, 2018

      33 이병곤, "마을과 학교, 서울과 경기 활동 공유회: 마을교육공동체로 서로 물들다" 서울시교육청·경기도교육청 3-9, 2016

      34 김의용, "대구지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의 교육복지네트워크 활동수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서울연구원 17 (17): 143-160, 2016

      35 성희자,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15-332, 2013

      36 조승우, "농촌의 소규모 학교를 선택한 아이들을 지도하는 교사의 삶과 교직문화-들꽃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27, 2019

      37 이두휴, "농어촌지역 학교의 교직문화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69-100, 2004

      38 이덕난, "농어촌지역 학교의 교원 확보 실태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011

      39 이형빈,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기전문화연구소 41 (41): 93-116, 2020

      40 이동성, "농어촌지역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한 현장교사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28, 2016

      41 이동성, "농어촌지역 소규모 마을학교의 운영 기제 탐색: 초중등 교원들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25, 2017

      42 김용우,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경영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43 교육과학기술부,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과 적정 규모 학교 육성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6

      44 송금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교와 지역사회간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45 정영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 실태 및 영향요인 관련 연구: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3 : 99-128, 2007

      46 고희정, "교원의 잡 크래프팅 수준 및 전략분석" 경기대학교 2018

      47 장경원, "교사용 직무재창조 프로그램 개발" 교육연구소 25 (25): 227-251, 2019

      48 배현순,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이 정서경험, 지역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자원연계활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19

      49 정민석, "‘농어촌 작은학교’ 정책의 비일관성에 따른 갈등원인분석 : 적정규모육성(통폐합)정책과교육복지(육성)정책을 중심으로" 1 (1): 183-199, 2014

      50 Blankenship, L., "What are community resources? : Let’s find out! communities" Rosen Publishing 2018

      51 Peterson, N. A.,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36 (36): 61-73, 2008

      52 Etzioni, A., "The third way to a good society" Demos 2000

      53 Mamonov, S., "The role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network sites" 20 (20): 470-498, 2016

      54 Slemp, G. R.,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3 (3): 126-146, 2013

      55 Lyons, P., "The crafting of jobs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 : 25-36, 2008

      56 Gronn, P., "The Sage handbook of leadership" Sage 435-452, 2010

      57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58 Ghitulescu, B. E,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59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60 Perloff, H. S., "Regions :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Johns Hopkins Press 1960

      61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2012

      62 Woods, P. A., "Nurturing democracy : The contribu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to a democratic organizational landscape" 37 (37): 430-451, 2009

      63 Novak, J. D.,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Erlbaum 1998

      64 Siporin, M., "Introduction to social work practice" Macmillan 1975

      65 Ostrom, E.,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66 Gordon, H. S., "Economic theory of a common property resource : The fishery" 62 : 124-142, 1954

      67 Harris, A., "Distributed school leadership : Developing tomorrow’s leaders" Routledge 2008

      68 Arrowsmith, T., "Distributed leadership in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 The impact on the role of the headteacher and other issues" 21 (21): 21-27, 2007

      69 Spillane, J. P., "Distributed leadership" Jossey-Bass 2006

      70 Spillane, J. P., "Conceptualizing school leadership and management from a distributed perspective : An exploration of some study operations and measures" 111 (111): 253-281, 2010

      71 Goode, W. J., "Community within a community : The professions" 22 (22): 194-200, 1957

      72 Rubin, H. J., "Community organizing and development" Allyn & Bacon 2001

      73 Fletcher, C., "Community Education: An Agenda for Educational Reform" 33-49, 1987

      74 Calhoun, C. J., "Community : Towards a variable conceptualization for comparative research" 5 (5): 105-129, 1980

      75 Elmore, R. F., "Building a new structure for school leadership"

      76 Griffin, M. A., "A new model of work role performance : Positive behavior in uncertain and interdependent contexts" 50 (50): 327-347, 2007

      77 Haneda, M., "A job-crafting perspective on teacher agentive action" 50 (50): 745-754, 2016

      78 교육부, "2019 지방교육재정전략회의 보도자료"

      79 서울시교육청, "2017 주요업무계획" 서울시교육청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