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새로운 유형인 사이버불링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를 살펴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96556
2019
-
중학생 ; 스마트미디어 ; 사이버불링 ; 공동체의식 ; 조절효과 ; Middle school students ; smart media ; cyberbullying ; community awareness ; control effects
18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65-184(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새로운 유형인 사이버불링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를 살펴보...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새로운 유형인 사이버불링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동체의식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고 중재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경험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9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와 Daniel Soper의 Interact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은 사이버불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은 사이버불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의식은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사이버불링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의식이 높은 집단은 스마트미디어를 과다사용 하더라도 사이버불링이 낮아지는 보호방향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이 낮은 집단은 취약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sponding to cyberbullying, a new type of school violence that has recently emerged.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use of smart media and cyber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sponding to cyberbullying, a new type of school violence that has recently emerged.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use of smart media and cyber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and the community spirit was verified. This will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devising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and mediate cyber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911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 were surveyed and the research problems were analyzed by using the Interaction Program of SPSS and Daniel Sope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smart media by middle school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yberbullying. Second, community spirit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yberbullying. Third, community spirit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regulation effect in alleviating cyberbully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use of smart media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cyberbullying. Specifically, groups with a high sense of community appeared to be protected from cyberbullying even if they use smart media, while groups with low sense of community appeared to be vulnerable.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asures were proposed to prevent and reduce cyber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명주,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주형,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에 대한 연구: 미국의 법적 대응의 특징과 법제 도입을 위한 검토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133-157, 2013
4 한국정보화진흥원, "학교폭력 2.0, 사이버불링실태와 해법"
5 양국진,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6 서유정, "학교 따돌림과 직장 따돌림의 연관성 분석과 따돌림 방지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0, 2013
7 신혜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 : 학급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2015
8 이병희,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집단따돌림관여행동에 관한 연구 : 태권도 수련생을 통한 접근"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4
9 이성식, "초등학생들의 사이버비행에 있어서 일상긴장, 낮은 자기통제력, 인터넷사용시간의 영향작용: 세 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5-115, 2009
10 한대동,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1 조명주,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 이주형,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에 대한 연구: 미국의 법적 대응의 특징과 법제 도입을 위한 검토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133-157, 2013
4 한국정보화진흥원, "학교폭력 2.0, 사이버불링실태와 해법"
5 양국진,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6 서유정, "학교 따돌림과 직장 따돌림의 연관성 분석과 따돌림 방지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0, 2013
7 신혜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따돌림 방관태도의 관계 : 학급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2015
8 이병희,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집단따돌림관여행동에 관한 연구 : 태권도 수련생을 통한 접근"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4
9 이성식, "초등학생들의 사이버비행에 있어서 일상긴장, 낮은 자기통제력, 인터넷사용시간의 영향작용: 세 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5-115, 2009
10 한대동,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11 하승태,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 이용 유형이 이들의 정치사회적 의식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01-129, 2012
12 신동업, "청소년의 스마트폰 관련 비행과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113-137, 2013
13 김경은,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관련된 생태체계변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4 권문자, "청소년의 사이버불링과 우울 및 자살사고와의 관계 : 부모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15 문선아,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모바일 인스턴트메신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6
16 이고은,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129-162, 2014
17 김은경,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8 우유라,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03-227, 2014
19 남상인, "청소년사이버불링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개인성향⋅사이버폭력피해경험․윤리의식을 중심으로" 19 (19): 79-129, 2013
20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3-306, 2009
21 신향숙, "청소년 스마트폰 메시지서비스 사용실태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22 김종화, "청소년 수영교실 참여자의 또래관계가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 609-619, 2009
23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설명요인에 관한 일 연구 - 기존 현실일탈에서의 주요요인의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 (15): 121-154, 2004
2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사이버불링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2014
25 한정선,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 유형, 자기 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61-188, 2006
26 강세연,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공감과 부모감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4
27 윤태일, "중학생의 미디어 및 대인커뮤니케이션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67-185, 2014
28 박재숙, "중학교 신입생의 봉사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4, 2013
29 이성식, "인터넷사이트 집합적 효율성과 사이버언어폭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 (19): 167-189, 2008
30 이재현,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시간 재할당 가설의 제안" 한국언론학회 49 (49): 234-254, 2005
31 진성희,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공동체의식과 토론참여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원격교육연구소 6 (6): 65-87, 2010
32 김정겸,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습준비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73-92, 2009
33 박옥식, "스마트폰을 이용한 청소년 사이버 폭력 가해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5
34 장여옥,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1 (11): 137-156, 2014
35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이용실태 조사" 2011
36 조용상, "스마트 미디어가 보여주는 IT 서비스의 미래" 2011
37 유석원, "생태체계 변인이 중학생의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2015
38 장소영,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또래애착이 초기청소년의 행복감과 공동체의식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39 박지연, "부모양육행동이 집단따돌림에 대한 여중생의 방관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급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40 "국정감사정책자료"
41 손민지, "국내 사이버폭력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 3 (3): 6-22, 2013
42 탁수연, "고등학생의 사이버일탈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및 행동특성의 관계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33-258, 2007
43 Battistich, V.,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nse of Their School as a Community and Their Involvement in Problem Behaviors" 87 (87): 1997
44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45 가상준, "SNS 사용문화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및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159-208, 2013
46 Ybarra, M. L., "Online aggressor/targets, aggressors, and targets: A comparison of associated youth characteristics" 45 : 1308-1316, 2004
47 Guerra, N. G., "Linking the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Core competencies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and risk prevention" 0 (0): 1-17, 2008
48 Kowalski, R. M., "Cyberbullying: Bullying in the digital age" Wiley-Blackwell 2008
49 Willard, "Cyberbullying and Cyberthreats: Responding to the challenge of on line social cruety, threats, and distress" Center for Safe and Responsible Internet Use 2006
50 Shariff, S., "Cyber-dilemmas in the new millennium : School obligations to provide student safety in a virtual school environment" 40 (40): 457-477, 2005
51 Schaps, E., "Community in school: Central to character formation and more" 2002
52 Juvonen, J., "Bullying experiences in cyperspace" 78 : 496-505, 2008
53 Hinduja, S., "Bullying Beyond the Schoolyard" Corwin press 2009
54 Patchin, J. W., "Bullying : beyond the" 정민사 2012
55 한창수, "2011년 글로벌기업의 경영이슈" 삼성경제연구소 2011
보호관찰 청소년의 상담수강명령 전후의 현상학적 경험연구: 가족·친구·학교를 중심으로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탈북자의 심리․정서적 문제해결 방안으로써 교류분석 이론적용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5-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Associ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