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7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J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J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성에 대한 하위요소 및 전체 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성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하위영역인 음감과 리듬감에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에게 동요를 활용하여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으로 접근하는 것은 유아의 음악성과 언어능력의 신장에 효과적인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retelling activities using nursery rhymes to develop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language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five?year?old children at J Childcare Center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retelling activities using nursery rhymes to develop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language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five?year?old children at J Childcare Center (with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In data analysi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of language ability and musicality, and 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two groups’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improved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sound and the sense of rhythm among the sub?factors of musicality. Second,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had a significant effect also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verbal comprehension, and verbal expression among the sub?factors of language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roach to young children through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music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애, "취침전 책읽어주기 활동과 어머니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1998

      2 김경미, "중학교 음악수업을 통한 국악(한국음악)선호도 및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2008

      3 엄은나,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265-290, 2007

      4 황정임,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1999

      5 Gordon,E.E, "음악 오디에시션의 초급측정과 음악 오디에이션의 중급측정" 새한기획출판부 2004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총론)"

      7 허태화, "유아의 이야기해보기 활동이 동화내용 이해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1996

      8 하양승,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학교 1995

      9 황성숙,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계명대학교 2004

      10 제경숙, "유아언어교육의 총체적 접근" 15 : 347-365, 2002

      1 김영애, "취침전 책읽어주기 활동과 어머니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1998

      2 김경미, "중학교 음악수업을 통한 국악(한국음악)선호도 및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2008

      3 엄은나,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265-290, 2007

      4 황정임,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1999

      5 Gordon,E.E, "음악 오디에시션의 초급측정과 음악 오디에이션의 중급측정" 새한기획출판부 2004

      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총론)"

      7 허태화, "유아의 이야기해보기 활동이 동화내용 이해와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1996

      8 하양승,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학교 1995

      9 황성숙,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계명대학교 2004

      10 제경숙, "유아언어교육의 총체적 접근" 15 : 347-365, 2002

      11 이영자, "유아언어교육" 양서원 1994

      12 박형신,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2006

      13 임혜정,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에 관한 조사 및 악고분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4

      14 최종민, "우리말과 음악의 울림들(4):음운으로 본 입소리의 성질" 26 : 47-75, 1998

      15 최종민, "우리말과 음악의 울림들(1):낱덩이소리 울림의 생김새" 14 (14): 79-98, 1996

      16 최종민, "우리말과 음악의 소리울림틀(5) -훈민정음과 세종실록 32칸악보의 소리묶임틀-" 한국국악학회 31 : 451-474, 2002

      17 김선아,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2007

      18 노주희,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1 (1): 11-32, 2004

      19 황인주, "영아의 음악성발달과 언어발달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53-174, 2008

      20 이태분, "상호작용에 의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학회 32 : 65-100, 2007

      21 박애자, "사회적-역할놀이를 통한 주제상상훈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1996

      22 채종옥,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6

      23 장은희, "동화 전달 경험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1993

      24 김연주,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2008

      25 김경희, "노래 그림책이 걸음마기 영아의 읽기 흥미 및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8 (38): 75-94, 2007

      26 엄승아, "글 없는 그림책과 음악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언어의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03

      27 이성아, "그림으로 읽는 동화를 통한 문학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2001

      28 조성라, "그림 이야기책 활동에서 들은 이야기 다시 해보기가 유아의 내용 이해와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1998

      29 박형신, "국악요소의 이해 및 표현에 대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7-75, 2006

      30 장영애, "가정환경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1981

      31 Cutietta,R.A, "language and music programs" 9 (9): 26-31, 1996

      32 Morrow,L.M, "Young children's response to one-to-one story readings in school setting" 23 : 89-100, 1988

      33 Harp,B, "When the Principal Asks: "Why Are Your Kids Singing during Reading Time?"" 41 (41): 454-456, 1988

      34 Simon,A.S, "The whole child" Prentice-Hall, Inc. 1996

      35 Raisner,J.C, "The effect of rhythmic music activities upon language acquisition with four years old children" Temple University 2002

      36 Douglas, 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Ability and Literacy Skills" 17 (17): 99-107, 1994

      37 Lamb, S. J,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Reading in Beginning Readers" 13 (13): 19-27, 1993

      38 Forrai,K, "The Influence of Music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Music Research with Children between 6 and 40 Months" 3 (3): 14-18, 1997

      39 Rand,M, "Story schema: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7 (37): 377-382, 1984

      40 Whaley,J, "Story grammars and reading instruction" 34 : 762-771, 1981

      41 Cohen,N.S, "Speech and song: Implication for therapy" 12 : 8-13, 1994

      42 Morrow,L.M, "Retelling Stories: A Strategy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Concept of Story Structure, and Oral Language Complexity" 85 (85): 647-661, 1985

      43 Mason, J. M., "Reading to kindergarten children. In Emerging literacy: Young children learn to read and writ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89

      44 Bloome,D, "Reading as a social process" 62 (62): 134-142, 1985

      45 Kolb,G.R, "Read with a Beat: Developing Literacy through Music and Song(Teaching Reading)" 50 (50): 76-77, 1996

      46 Wiggins,D.G, "Pre-K Music and the Emergent Reader: Promoting Literacy in a Music-Enhanced Environment" 35 (35): 55-64, 2007

      47 Niland,A, "Musical Stories: Strategies for Integrating Literature and Music for Young Children" 32 (32): 7-11, 2007

      48 Leto,F, "Music every day" 7 (7): 16-18, 1995

      49 Ling,Y.L.L, "Music education as a means for fostering young children's knowledge of dual cultures" Columbia University 2002

      50 Chen-Hafteck,L, "Music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ntegrating past research in the two domains" 130 : 85-97, 1997

      51 Lily,C.H, "Music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ntegrating past research in the two domains" 130 : 85-97, 1997

      52 Towell,J.H, "Motivating Students through Music and Literature" 53 (53): 284-287, 2000

      53 Rosenblatt,L.M, "Literature-S. O. S.!" 68 (68): 444-448, 1991

      54 Trehub, S. E., "Listening strategies in infancy: The roots of music and language development. In Thinking in sound: the cognitive psychology of human audition" OUP 278-327, 1993

      55 Ninio,A, "Joint book reading as a multiple vocabulary acquisition device" 49 : 445-551, 1983

      56 Hill C. L. K, "It's as Easy as "A-B-C" and "Do-Re-Mi": Music, Rhythm, and Rhyme Enhance Children's Literacy Skills" 59 (59): 91-95, 2004

      57 Fassbender,C, "Infants' auditory sensitivity towards acoustic parameters of speech and music. In Musical beginning: origins and development of musical compelence" OUP 56-87, 1996

      58 Seeman,E, "Implementation of Music Activities to Increase Language Skills in the At-Risk Early Childhood Population" 2008

      59 Bower,G.H, "Experiments on story understanding and recall" 28 : 511-534, 1976

      60 Wellhousen,K, "Eliciting and examining young children's storytelling" 7 : 62-65, 1993

      61 Lynn,E.J, "Effects of music on five year-olds learning of novel non-words" MGH institute of health professions 2004

      62 Feitelson, D, "Effects of listening to series stories on first graders’ comprehension and use of language" 20 : 339-356, 1986

      63 McLane, J. B, "Early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64 Machado,J.M, "Early childhood experiences In Language arts(6th ed)" Delmar Thomson Learning 1999

      65 Begay,P.M, "Drum and sing out the language: A teacher action research study" Fidelding Graduate Institue 2002

      66 Taylor,N.E, "Developing beginning literacy concepts: Content and contest. In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beginning literac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66-98, 1986

      67 Hildebrandt,C, "Creativity in music and early childhood" 53 (53): 68-74, 1998

      68 McNamee, G. D, "Cognition and affect in early literacy development" 20 : 229-244,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