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은아,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0 : 43-64, 2007
2 김성숙, "협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3 윤재희, "협동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의사소통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6
4 김현진, "협동적 과제수행에서 또래 유아간 상호작용이 과제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5 최미숙, "컴퓨터 활동에서의 사회적 능력 집단 구성과 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교육연구원 22 (22): 231-248, 2006
6 강태희, "창작동화를 이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이해력과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김영채, "창의적 성격 특성 : 학교교육을 통한 발달경향 및 교과성적과의 상관" 39 (39): 1-24, 2001
8 김춘일,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9
9 서영선, "조형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에서 사회적 능력별 집단구성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분석" 한국아동학회 27 (27): 207-223, 2006
10 교육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8-10호)"
11 박정언, "인지적·사회적 변인을 고려한 유아 쌍 협력활동이 과제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2 권은라, "음악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8 (8): 49-68, 2008
13 김영옥, "유치원 교사의 지역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13 (13): 71-93, 1995
14 엄은나,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5 이정화, "유아의 쌍 구성조건에 따른Scaffolding 유형과 과제수행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1-335, 2007
16 이정화, "유아의 능력수준 및 성에 따른 쌍 협동학습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85-208, 2006
17 전경원,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요강" 학지사 2005
18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19 오선영,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와 사회적 대쌍 협력 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2 (2): 25-47, 1997
20 김은아, "아동의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관계-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교육과학연구소 38 (38): 23-47, 2007
21 이은해, "아동과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및 성격특성간의 관계" 23 (23): 333-350, 1987
22 김애자, "스캐폴딩 유형별 도덕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분배정의 추론에 미치는 영향" 5 : 65-83, 2002
23 최종욱, "스캐폴더 집단 간 스캐폴딩의 빈도, 유형, 그리고 학습 효과의 차이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24 이정희, "소집단 조형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정문성,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26 문인경, "사진 찍기를 통한 쌓기 놀이 평가활동이 유아의 기하도형이해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7 하은미, "복합지능에 입각한 협동학습이 유아의 사회·정서 및 창의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8 조 현, "발도르프 습식 수채화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29 羅熙柱,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30 남혜정,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권혜진, "또래쌍구성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 한국생활과학회 15 (15): 1-16, 2006
32 김덕건, "또래간 협력활동과 또래집단 구성이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12 (12): 67-83, 1999
33 김덕건, "또래간 집단유형과 교사의 참여가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18 (18): 263-283, 1998
34 박정언, "또래 협력활동에서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따른쌍 집단구성별 스캐폴딩 효과와 과제 수행력"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21-342, 2013
35 김동교, "동화를 통한 동작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6 박정수,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또래상호작용 학습이 유아의 과제수행 협력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37 이소은, "대쌍협력 활동에서 단일연령쌍과 혼합연령쌍 유아의 인지수준변화와 협상전략"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35-48, 2004
38 서미옥, "대쌍협력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과제수행력" 한국아동학회 24 (24): 15-26, 2003
39 송희정, "능력에 따른 쌍 구성방법이 또래 협동학습에서 과제 수행력과 Scaffolding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0 염연정,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1 엄승아, "글 없는 그림책과 음악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언어의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2 김수경,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게임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3 김지희, "그림책을 활용한 LT협동학습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3 (23): 283-305, 2012
44 김상윤, "객관식 창의성검사" 11 : 1-19, 2002
45 Rourke, M. T., "The social sensitivity of preschoolers in peer conflicts: Do children act differently with different peers?" 10 (10): 209-227, 1999
46 Duran, R. T., "The role of age versus expertise in peer collaboration during joint planning" 55 : 227-242, 1993
47 Tyler, L. E., "The psychology of human differences" Appleton Century Crofts/Prentice-Hall 1965
48 Baer, J.,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8, 2006
49 Benenson, J. F., "The influence of group size on children's competitive behavior" 72 (72): 921-928, 2001
50 Fawcett, L. M., "The effect of peer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75 : 157-169, 2005
51 Maccoby, E. E.,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6
52 Manion, V., "The benefits of peer collaboration on strategy use, metacognitive causal attribution, and recall" 67 : 268-289, 1997
53 Pinter, A., "Some benefits of peer-peer interaction: 10-year-old children practising with a communication task" 11 (11): 189-207, 2007
54 Jones, I., "Social relationships, peer collaboration and children's oral language" 22 (22): 63-73, 2002
55 Tolmie, A. K., "Social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primary schools" 20 : 177-191, 2010
56 Cohen, "Restructing the classroom :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64 (64): 1-35, 1994
57 Tudge, J.,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peer collaboration : A Vygotskian analysis" 63 : 1364-1379, 1992
58 Johnson-Pynn, J. S., "Preschoolers effectively tutor novice classmates in a block construction task" 32 (32): 241-255, 2002
59 Holmes-Lonergan, H. A., "Preschool children's collaborative problem-sloving interactions: The role of gender, pair type, and task" 48 (48): 505-517, 2003
60 Fonzi, A., "Predicting children's friendship status from their dyadic interaction in structured situations of potential conflict" 68 (68): 496-506, 1997
61 Runco, M. A., "Predicting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 59 : 1247-1254, 1986
62 Hutt, C., "Play" Basic Books 217-219, 1976
63 McCrae, R. R., "Personality trait development from age 12 to age 18 :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nd cross-cultural analysis" 83 : 1456-1468, 2002
64 Golbeck, S. L., "Peer collaboration and children's representation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liquid" 19 (19): 571-592, 1998
65 Yager, S., "Oral discussion, group-to-individual transfer,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77 : 60-66, 1985
66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67 유정자, "MeFOT을 적용한 동화이해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68 Slavin, R. E., "Mathematics achievement effect of three levels of individualization: Whole class ability grouped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1984
69 Kutnick, P., "Improving the effects of group working in classrooms with young school-aged children : Facilitating attainment, interaction and classroom activity" 18 : 83-95, 2008
70 Rajendran, P., "Impact of sex and standard on creativie thinking ability" 23 : 57-60, 1992
71 Tateishi, I., "Impact of group collaboration on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creative thinking ability" Brigham Young University 2011
72 Singer, D. L., "Ideational creativity and behavioral style in kindergarten-age children" 8 : 154-161, 1973
73 Milliken, F. J.,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2-62, 2003
74 Lee, M., "Gender, group composition, and peer interaction in computer-based co-operative learning" 9 (9): 549-577, 1993
75 Hyde, J. S., "Gender differences in verbal ability : A meta-analysis" 104 (104): 53-69, 1988
76 Samaha, N. V., "Gender differences in peer collaboration on a spatial reasoning task by urban, minority student" 2003
77 Baer, J.,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75 (75): 75-105, 2008
78 Underwood, G., "Gender differences in a cooperative computer-based task" 32 : 44-49, 1990
79 Underwood, G., "Gender differences and effects of co-operation in a computer-based task" 36 : 63-74, 1994
80 Kershner, J. R., "Effects of sex, intelligence, and style of thinking on creativity : A comparison of gifted and average IQ children" 13 (13): 10-14, 1985
81 Johnson, D. W.,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condition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17 (17): 83-94, 1980
82 Summers, J. J.,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math on sixth graders’ individual goal orientations from a socioconsturctivist perspective" 106 : 273-290, 2006
83 Anastasi, A., "Differential psycholog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58
84 Forrest, "Culminating experience action research projects" The University of Tennessee at Chattanooga: College of Heaith, Education, and ProFessional Studies 2006
85 Fu, V. R., "Creativity and preschool children" 6 (6): 115-119, 1977
86 Mellou, E., "Creativity : The transformation condition" 101 : 81-88, 1994
87 de Sousa Filho, P. G., "Creative thinking abilities iin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children" 20 (20): 23-55, 2003
88 Fichnova, K., "Creative abilities of preschool-age boys and girls/Tvorive schopnosti chlapcov a dievcat predskolskeho veku" 37 : 306-314, 2002
89 Slavin, R. E., "Cooperative learning" Longman 1983
90 Vermette, P.,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with 4-8 year olds: How does research support teachers’ practice?" 31 (31): 130-134, 2004
91 Gauvain, M.,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hildren's planning skills" 29 : 139-151, 1989
92 Blaye, A., "Collaboration as a facilitator or planning and problem solving on a computer-based task" 9 : 471-483, 1991
93 Chan, D. W., "Assessing ideational fluency in primary students in Hong Kong" 13 (13): 359-365, 2001
94 Chambers, S. M., "Age, prior opinions, and peer interactions in opinion restructuring" 66 : 178-192, 1995
95 Zachopoulou, E.,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f divergent movement ability in early young children" 175 : 85-95, 2005
96 박경하, "6세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창의성과의 관계" 1 (1): 91-103, 1997
97 金美淑, "5세 아동의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