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의 영향 = The Influence of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8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lative effect of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underachievement. To this end, the basic achievement level of Korean,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evaluated in 2011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as set to the dependent variable and after-school activities such as after-school, homework, public online learning and privat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1,273 middle school students screened under free-lunch support rate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SES level.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academic under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the impact of the private tutoring. Findings showed that homeworking hour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underachievement in all subject areas after controlling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In addi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significant predicting under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private tutoring. Suggestions were discussed on educational support and academic counseling strategies for under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lative effect of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underachievement. To this end, the basic achievement level of Korean, Eng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lative effect of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underachievement. To this end, the basic achievement level of Korean,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evaluated in 2011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as set to the dependent variable and after-school activities such as after-school, homework, public online learning and privat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1,273 middle school students screened under free-lunch support rate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SES level.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academic under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the impact of the private tutoring. Findings showed that homeworking hour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underachievement in all subject areas after controlling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In addi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significant predicting under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private tutoring. Suggestions were discussed on educational support and academic counseling strategies for under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년도 학업성취 진단평가자료를 적용하여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기초학력수준의 도달여부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사교육 등의 방과후 학습활동 변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진로개발역량 등의 심리적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시 소재 중학교 가운데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려하여 중식지원 비율을 근거로 상, 중, 하에 해당하는 학교 수를 유사하게 구성하여 총 10개 학교를 선정하고 이들 학교에서 1,2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과별 기초학력수준의 도달여부에 대하여 사교육 학습활동 투입시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등의 방과후 학습활동 투입시간과 진로개발역량, 자기조절학습능력 등 심리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모든 교과목에서 사교육 학습활동 투입시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등 방과후 학습활동 중 학교숙제 학습활동 투입시간이 길수록 기초학력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을 포함한 방과후 학습활동 변인을 통제한 후에는 심리적 변인 중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기초학력수준 도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학습부진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및 학업상담전략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년도 학업성취 진단평가...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년도 학업성취 진단평가자료를 적용하여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기초학력수준의 도달여부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사교육 등의 방과후 학습활동 변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진로개발역량 등의 심리적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시 소재 중학교 가운데 사회경제적 수준을 고려하여 중식지원 비율을 근거로 상, 중, 하에 해당하는 학교 수를 유사하게 구성하여 총 10개 학교를 선정하고 이들 학교에서 1,2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과별 기초학력수준의 도달여부에 대하여 사교육 학습활동 투입시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등의 방과후 학습활동 투입시간과 진로개발역량, 자기조절학습능력 등 심리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모든 교과목에서 사교육 학습활동 투입시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방과후학교, 학교숙제, 공용온라인학습 등 방과후 학습활동 중 학교숙제 학습활동 투입시간이 길수록 기초학력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을 포함한 방과후 학습활동 변인을 통제한 후에는 심리적 변인 중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기초학력수준 도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 학습부진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및 학업상담전략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진, "학습부진학생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9 : 226-250, 2000

      3 김 혁, "학년,성(性),학업성취도 그리고 지능수준에 따른 자기 조절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孫鍾植,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5 이명숙,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김홍석,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조미랑,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선기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손영미, "중학생의 성취목표, 학업동기,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박혜숙, "중학생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이화진, "학습부진학생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9 : 226-250, 2000

      3 김 혁, "학년,성(性),학업성취도 그리고 지능수준에 따른 자기 조절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 孫鍾植,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5 이명숙,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김홍석,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조미랑,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선기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손영미, "중학생의 성취목표, 학업동기,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박혜숙, "중학생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우설자, "중학생들의 숙제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4

      12 김호경, "전체성적 및 과목별 성적수준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6

      13 이영숙,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14 김현심, "자기조절학습의 학년간 차이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15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6 김용수,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17 정미경,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8 최미숙,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19 김민, "성격유형,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성숙도와 학업성적과의 관계 : 중학생을 대상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0 이득진, "선행학습지와 복습학습지를 활용한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임언, "생애진로개발 지원의 현황 및 정책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22 서정임, "과학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 분석 및 과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김은영,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정규욱, "고등학생의 가정환경 지각과 진로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金泳相, "電氣油壓 서보밸브를 利用한 電子油壓式 3點 히치 制御시스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6 文炳相, "自己調節된 學習戰略 訓練이 兒童의 自己效能感과 學業 成就에 미치는 效果"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27 金容完, "中學生의 進路成熟度에 관한 硏究"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28 이슬기, "SRSD(자기조절전략)를 활용한 쓰기교수가 ADHD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43-67, 2009

      29 허유성, "A Review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한국학습장애학회 5 (5): 165-19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