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ㆍ녀고등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의복행동

        정정열 仁荷大學敎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고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성격특성으로서 내향성-외향성, 안정성, 지배성, 사회성, 자율성을 포함시켰고 의복행동 변인으로는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에 대한 선호를 포함시켜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표집 대상은 서울시내의 남·녀고등학생 총 4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외향성의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BTI검사지의 내-외향성 관련 문항을 사용하였고, 안정성·지배성·사회성·자율성의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종승·정범모의 "고등학생용 인성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의 의복행동 측정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에서 선택·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10의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t-test, F-test, 주성분 분석,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인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내-외향성, 안정성·지배성·사회성·자율성의 上·中·下집단과 고등학교 남녀학생간, 여자고등학교, 남자고등학교, 남녀공학이라는 학교유형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성격특성에 따른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안정성이 높은 학생이 사회성,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고, 지배성이 높은 학생은 사회성과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성이 높은 학생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의복행동의 정숙성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과 동조성은 성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고등학생의 연령에 따라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 모두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5.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은 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6. 내-외향성 집단과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외향성 집단이 내향성 집단보다 주의집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숙성, 동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7. 안정성 上·中·下집단에 따른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 정숙성, 동조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지배성 上·中·下집단에 따른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 정숙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동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사회성 上·中·下집단에 따른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은 차이를 보였으나 정숙성, 동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자율성 上·中·下집단에 따른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과 동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숙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율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의복행동의 주의집중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복행동의 동조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the questions for introversion/extroversion, stability, dominancy, sociability and autonomy. Variables of clothing behaviors include attention getting, modesty and conformity of the students. Total 488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Questions on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of MBTI test were adopted to measure jntroversion/extroversion in personal characteristics. Questions in "The Personality Diagnosis of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Lee Chongseung and. Chung Bummo were adopted to measure stability, dominancy, sociability and autonomy. In order to measure attentiveness,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questions were selected and modified from previously done. Spss win 1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ally, and frequency test, t-test, F-test, factor analysis and ANOVA were d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cluded as follows. 1. Groups of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and groups of 1ow, medium and high degree of stability, dominancy, sociability and autonom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student's sex or the school type(boy's, girl's and coeducational school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tudents with a high degree of stability showed a high degree of sociability and autonomy. Students with a high degree of dominancy showed a high degree of sociability and autonomy. Students with a high degree of sociability showed a high degree of autonomy. 3. Modesty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at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tudent's sex, but attentiveness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4. Attentiveness,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age. The older the students were, the higher their attentiveness, modesty and conformity. 5. Attentiveness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chool types. 6. Among groups of introverted student's and extroverted student's, attentiveness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Groups of extroverted student's showed a higher attentiveness than groups of introverted student's. However,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7. Among groups with a low, medium or high degree of stability, attentiveness,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vary significantly. 8. Among groups with a low, medium and high degree of dominancy attentiveness and modesty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but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9. Among groups with a low, medium or high degree of sociability, attentiveness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but modesty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10. Among groups with a low, medium or high autonomy, attentiveness and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s varied significantly, but modesty in clothing behaviors did not. Groups with a high autonomy showed higher attentiveness but lower conformity.

      • 영어학습 실태조사 : 직장인과 고등학생 비교 연구

        남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요 약 제 목: 영어학습 실태조사: 직장인과 고등학생 비교 연구 현대 한국 사회에서 영어의 비중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영어는 대학입시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취업과 승진 등 많은 부분에서 평가의 척도가 되고 있다. 공교육을 시작하는 초등학교 이전인 유치원 원아로부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그리고 직장인에 이르기까지 긴 기간 동안 모국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영어 학습을 해야만 하는 것이 한국 사회의 현실이다. 영어가 한국 사회에서 제2외국어로 자리 잡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영어가 각자의 상황이나 신분에 따라서 그 목적이나 필요성 그리고 배경을 달리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가령 고등학생은 대학입시를 위하여 영어 학습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직장인은 대학입시와는 무관한 여행이나 승진을 위하여 영어 학습을 계속 이어나가는 경우가 더욱 많다고 짐작해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신분이나 처지가 다른 두 집단의 영어 학습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각 집단이 무엇 때문에 영어 학습을 하고 있는지 영어 학습의 방법은 어떤 방식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영어 학습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어느 부분이 서로 공통점이고 다른 부분은 어떤 사항이 있는지 비교 조사 연구를 한다면 상호 집단의 현실과 상황의 이해를 돕고 더욱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연구 대상자는 연구자의 직장 동료직원들과 서울 노원구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들이었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직장인 두 집단 모두 영어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갖고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영어 학습이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며, 직장인이나 학생 모두 영어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생 집단이 직장인 집단보다 영어 학습의 전반적인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분석 결과가 나왔다. 셋째, 고등학생 집단은 직장인 집단보다 영어 학습을 지속성 있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영어의 비중도 직장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 집단이 직장인 집단보다 희망하는 영어 구사 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실에서 학교와 직장을 비롯한 여러 방면에서 영어가 평가 기준이 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받아들이고 있다는 추론도 할 수 있었다. 여섯째, 영어 능력 우수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에 대하여 학생 집단과 직장인 집단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가산점이 특정 학과 또는 특정 직군에 적용되는 것은 두 집단 모두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직장인 집단과 학생 집단의 영어 학습 실태 조사 결과 영어에 대한 관심도와 비중은 두 집단 모두 비슷하게 높은 수치의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직장인 집단은 회사 업무가 영어 학습보다 우선이기에 학생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영어 학습의 지속성, 학습시간, 영어 구사 능력 등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인 집단의 영어 학습은 해외여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한 반면 학생 집단은 대학입시를 위해 영어 학습을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bstract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English Learning: Comparative Research focusing on Worker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actual conditions of English learning in two different groups of office workers and high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tatus or identity, the purpose, usefulness, and level of English learning vary. When these two groups who are at a different point and stages in life are observed in a comparative research study, it is expected to better understand whether the English education has been successful or lacking and to provide more effective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The criteria for study for the subject groups included the purpose of the English learning, the preferred method of English learning,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nglish learn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two subject groups were researcher’s office colleagues and the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Nowon-gu area, Seoul.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rough SPSS WIN 22.0. Major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and the office workers both had high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Both groups were aware that English competency is critical for self-development. Each group wel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nglish learning. Second, the high school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English proficiency level than the working group. Third, the high school group showed more persistency and enthusiasm in learning English than the working group. Fourth, the high school group had higher expectations of the level of English skills they wanted to obtain than the working group. Fifth,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both groups understood that English is being used as a standard of evaluation in various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school and workplace. Sixth, both groups showed positive reactions to the idea that excellence in English ability provided advantages, however, both groups showed negative response when these advantages applied to specific departments and specific job positions. In conclus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high level of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However, for the working group their focus was on their work before English learning. Therefore, their level of persistence for learning English,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English, and their ability to speak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student group. Additional finding was that the main purpose of learning English for the working group was for travel whereas for the student group it was for college admissions.

      •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선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며 더불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 7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총 85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이미라, 2001), 진로정체감 척도(조은주, 2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이은경, 2001), 진로준비행동 척도(박완성, 2003)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또한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각각 매개할 뿐만 아니라 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계수(b=.202, P <.001)가 사회적 지지가 진로정체감을 거쳐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계수(b=.124, P <.01)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거쳐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계수(b=.099, P <.001)보다 더 크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세 경로 중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한 경로가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더 영향력 있게 나타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함에 있어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각각 매개할 뿐만 아니라 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있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한 경로가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각각 매개한 경로보다 더 영향력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수준을 더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이 두 변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긍정적인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 교육 및 진로 상담에서 다룰 수 있는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885 students at seven academic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Also, Social Support Scale (Lee, 2001), Career Identity Inventory (Cho, 2001),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Lee, 2001),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Park, 2003)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lso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Second,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pecifically, the path coefficient which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202, P <.001) was larger than the path coefficients which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connec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ia career identity (b=.124, P <.01)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099, P <.001). Third, the direct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which indicate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aken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Specifically, the path which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had more influ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when the relation was mediated by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parately. Therefore, the it is required that intervention is done by integrated application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enhance 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 discussions were done by considering multiple sides which could be dealt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욕설 사용의 차이: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박정화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re i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use of profanity in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use of profan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5 personality factors, to find out whether clusters based on the 5 personality factors were formed,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profanity in the derived group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rofanity? Second, how can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be categorized? Thir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profan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ity 5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on the use of profanity and the scale and personality of profanity using a total of 371 people, 204 male and 167 female students in second grade attending B High School and C Girls' High School, a general high school located in a small town in Area A A 5-factor scale was survey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Zamobi 1.6.23 program,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Cluster analysis to analyze the personality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profanity according to the derived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 and personality type, and then the Scheff´e method for post-test verific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as verified using The main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high school students' use of profanity,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10 or more' responses to the extent to which they use profanity per day, and the place where they learn profanity and the person who uses profanity had the highest number of 'friends'. Regarding the reasons for using abusive languag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habitually', followed by 'to emphasize a momentary emotion' and 'to show intimacy'. It can be seen that the language is used differently and has become a common language culture with friends. However, when they hear abusive language from a friend, many responses say 'I have no feelings', whereas when they hear abusive language from someone other than a friend, they respond differently, such as 'I feel bad, but I will soon forget', and 'I'm angry'. seemed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s showed an insensitive attitude when using abusive language, but they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the use of abusive language by others other than their friends, and had a somewhat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attitude and use of abusive language.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o categoriz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5 personality factors, three types wer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ersonality factor are 'emotional stable type' with low neuroticism and average level for other factors, 'socially competent type' with very high extraversion and affinity and high level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and finally, relatively high neuroticism, They were classified as a 'passive sensitive type' and named for their low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profanity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for the use of profanity, the 'passive sensitive type' had a higher level of 'profanity' than the 'emotional stable typ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anity attitude', 'passive sensitive typ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 than 'socially competent typ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in 'swearing environment'. Regarding 'use of profanity', which is the overall value of the sub-variables, the 'passive sensitive typ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was higher than the 'emotionally stable type' and 'socially competent type', resp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abusive languag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as a cause of the use of abusive language rather than a negative result of the use of abusive language by adolescents. will be able to use it for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 of profanity among adolescents by categorizing personality based on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a specific factor of personality does not appear as a difference in behavior such as 'use of profanity', but as a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personality. stated to be visibl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mplex differences includ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or counseling activities and guidance so that young people can understand them more deeply and grow in desirable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 특성과 욕설 사용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의 욕설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성격 5요인을 토대로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확인한 후, 유형 간에 욕설 사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욕설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 셋째, 성격 5요인 유형에 따라 고등학생의 욕설 사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A지역의 소도시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인 B고등학교와, C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남학생 204명, 여학생 167명 총 371명을 대상으로 욕설사용실태 및 욕설 사용 척도와 성격 5요인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모비 1.6.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고등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위해 군집 분석과 도출된 군집의 특성, 성격유형에 따른 욕설 사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방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욕설 사용 실태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하루에 욕설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에 대해 ‘10회 이상’ 응답이 가장 많고, 욕설을 배우는 곳과 욕설을 하는 상대 모두 ‘친구’로 가장 많았다. 욕설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습관적으로 사용한다’ 는 응답이 과반수가 넘고, ‘순간적인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친근감을 나타내기 위해’ 등이 뒤를 이으며 청소년들의 욕설 사용이 욕설의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사용되고 친구들과의 일상화된 언어문화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친구에게 욕설을 들었을 때는 ‘별 느낌이 없다’는 응답이 많은 것에 비해, 친구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욕설을 들었을 때의 반응은 ‘기분이 나쁘지만 곧 잊는다’, ‘화가 났다’ 등의 다른 반응을 보였다. 청소년들은 욕설 사용에 있어서 무감각한 태도를 보이지만, 친구가 아닌 타인의 욕설 사용에 대해서는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태도 욕설 사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격 5요인에 따른 성격을 유형화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유형의 성격 요인별 특성은, 신경증이 낮고 다른 요인은 평균수준인 ‘정서적 안정형’, 외향성과 친화성이 매우 높으며 성실성과 개방성도 높은 수준인 ‘사회적 유능형’, 마지막으로 비교적 신경증이 높고, 외향성과 성실성이 낮은 편인 ‘소극적 민감형’의 유형으로 구분되어 명명하였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라 욕설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욕설 사용에 대한 하위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안정형’에 비해 ‘소극적 민감형’이 ‘욕설 정도’가 높은 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욕설 태도’에서는 ‘소극적 민감형’이 ‘사회적 유능형’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고, ‘욕설 환경’에서는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변인들에 대한 전체 값인 ‘욕설 사용’에 대해서는 ‘정서적 안정형’과 ‘사회적 유능형’에 비해 ‘소극적 민감형’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욕설 사용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로 성격을 바라본 것이 아니라, 욕설 사용의 원인으로서 성격유형에 따른 욕설 사용에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청소년들이 왜 욕설을 사용하는지와 관련된 다양한 원인을 찾아 청소년들의 욕설을 포함한 언어습관 및 생활지도에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5요인을 기초로 성격을 유형화하여 청소년들의 욕설 사용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을 통해 성격의 특정 요인이 ‘욕설 사용’이라는 행동의 차이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성격을 이루는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조합으로서 차이를 보이게 됨을 밝혔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상담 활동 및 지도를 위해서는 성격특성을 비롯한 복합적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중국 고등학생의 영어 문해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장광초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가 발전하고 교육이 진보함에 따라 핵심 역량은 전 세계 교육 분야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특히 학생들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려는 중국 사회 배경에서 중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문해력의 수준은 어떠한지,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영어 문해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영어 수업은 국가 교육과정 기준을 부합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산둥성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문해력 및 학업성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국 고등학생의 영어 문해력에 대한 조사도구는 《중국 일반고등학교 영어과정 표준 (2017년 및 2020년 개정판)》에 제시된 영어 문해력에 관한 언어능력, 문화의식, 사고력, 학습능력 등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중국 고등학생의 영어 문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 성별은 영어 문해력과 학업성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 빈도는 영어 문해력과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어 문해력 중 언어능력과 사고력이 자기평가에 의한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언어능력, 사고력, 학습능력이 영어성적에 의한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에 비해 영어 문해력 중 문화의식은 자기평가 및 영어성적에 의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 중심 교육관을 확립하고, 동시에 언어능력과 사고력을 강화해 학생 스스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어 문해력 함양의 지속성을 인식하고 중국 고등학생의 문화의식 등 영어 문해력을 균형 있게 성장시키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성별, 학습기회 및 교육환경 등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지도를 하고 다양한 학업성취도 평가방법의 전문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With society's development and education's progress, core literacy has become the main focus of global education. In particular, under the Chinese social background of strengthening students' core litera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teracy level is, how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ir English literacy, and whether high school English courses meet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s. This study surveyed senior two students in Shandong Province, China, on English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survey tool for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teracy was centered on the four dimensions of English literacy, including language ability, cultural consciousness, thinking quality, and learning ability, proposed in the "China general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Standards (2017 and 2020 Revision)". From the main findings,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teracy level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gender in English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learning frequency has a meaningful impact on English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it confirms that the language ability and thinking quality in English literac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self-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sults that language ability, thinking quality, and learning abilit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English achie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In contrast, cultural consciousness of English literac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e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ers must establish a student-centered view of education, strengthen language ability and thinking quality, and guide students to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by themselves. Second, we should recognize the sustainability of the cultivation of English literacy and conside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cultural consciousness and other English literacy programs. Finally, teachers should provide learning guidance that conforms to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learning opportun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 a variety of professional evaluation methods for academic achievement.

      •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읽기전략 및 영어읽기성취도 사이의 관계

        김배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English reading strategies, and English reading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aspects in terms of school levels. A total of 16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Incheon and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learners’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reading strategy usage, and English reading achievement are identifi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oth overall academic self-efficacy level and its sub domain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heref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level. Second, the group of high academic self-efficacy level showed more frequent usage of English reading strategies than the group of low academic self-efficacy level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oups. Furthermore, in the comparison between high academic self-efficacy level groups in each school level and between low academic self-efficacy level groups in each school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both overall English reading strategy usage and its sub domains. Third, the group of high academic self-efficacy lev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an the group of low academic self-efficacy level regardless of school levels. Fourth, the positiv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English reading strategy usage was identified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oups, regardless of school levels. However, the difference in terms of school levels was found when it comes to the influence of sub-domains of academic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influence of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n English reading strategy usage was identified. F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self-regulatory efficacy was identified as the only factor that has positive influence on English reading strategy usage. Fifth, the positiv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English reading achievement was identified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oups, regardless of school levels. However, the difference in terms of school levels was found when it comes to the influence of sub-domains of academic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influence of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n English reading achievement was identified. F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self-regulatory efficacy was identified as the only factor that has positive influence on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identify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that studies on the difference in terms of school levels had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English reading strategy, and English reading achievement and the difference in terms of school levels were examined to present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읽기전략 및 영어읽기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서울 및 인천 지역의 중학교 및 고등학생 영어학습자 총 16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읽기전략 사용, 영어읽기성취도를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 측정, 독립표본 t검정,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중·고등학생 영어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 영역 모두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업적 자기효능감 양상에서의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사이의 영어읽기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중학교 및 고등학교 모든 학교 급에서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전략사용 빈도를 보였다. 또한, 각 학교 급의 상위 집단 간의 비교와 하위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전체 전략 사용 빈도 및 영역별 전략 사용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기준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영어읽기성취도를 보였으며, 이 같은 결과는 학교 급에 따른 차이 없이 모든 집단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넷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습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어읽기전략 사용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며, 이 같은 정적 영향력에는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별 영향력을 확인했을 때는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및 중학생 학습자 집단의 경우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의 영어읽기전략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된 반면, 고등학생 학습자의 경우 자기조절 효능감만이 영어읽기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습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어읽기성취도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며, 이 같은 정적 영향력에는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항목별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는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및 중학생 학습자 집단의 경우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의 영어읽기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된 반면, 고등학생 학습자의 경우 자기조절 효능감만이 영어읽기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확인하고 중학생 및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영어읽기전략 및 영어읽기성취도 사이의 관계와 학교 급 간에 따른 차이를 연구하여 앞으로의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경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 그릿,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인문계열 고등학교와 2개 특성화계열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한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 학교특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그릿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지지는 그릿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높을수록 자녀의 그릿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그릿을 유의미한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고등학생들은 그릿 수준이 높아서 학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것이다. 넷째,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중 자율성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여 자녀의 그릿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즉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여 고등학생의 그릿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자녀의 그릿이 향상되므로 부모는 자신의 양육태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시켜 고등학생의 그릿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제공과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교육적이고 실천적인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고등학생의 그릿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parenting attitude, grit, and resilience.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verify the regulatory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grit.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402 students attending three humanities high schools and two specialized high schools in Busa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conducted using the SPS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i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school characteristics. Second, autonomous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tatically predicted gri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higher the grit level of the child. Third, the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redicted Grit statically and meaningfully.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resilience will have high levels of grit, which will help them complete their studies successfully. Fourth, the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has had a static and meaningful impact on improving their children's grits by adjusting the influence of autonomy support on the grit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 other words, resilience played a role in strengthening the influence of autonomy support on grits, whic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grits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arents support their children's autonomy, the better their child's grit is. Therefore, parents need to learn about their parenting attitudes.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ilience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the grit, helping to improve the grit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resilience program. In addition, if an educational and practical approach to parental parenting is made simultaneously with the provision of resilience programs, more effective results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grit of high school students.

      • 고등학생의 인터넷중독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홍진선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지나치게 몰입함으로써, 학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가상 세계 속에서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활동하게 되어 사회적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이 생겨나고 있으며, 또 인터넷에 지나치게 몰입함으로써 친구들과 멀어지고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느끼는 등 여러 가지 역효과가 일어나고 있다. 이미 청소년들에게 인터넷은 필수화되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는 인터넷의 활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인터넷 사용을 강제로 막기보다는 인터넷의 사용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의 심리적인 특성들을 충분히 연구한 다음에 비로소 집단상담에 끌어들여서 자신을 이해하게 하고 인터넷 중독에 관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프로그램이 시급하게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춰 청소년들의 인터넷 활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고,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각 집단의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은 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은 학년별로 어 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은 학교성적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은 가정환경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은 지역별(시와 읍) 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간의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가? 에 연구문제를 두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고성군, 속초시 지역의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남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 430명(남: 1학년 116명, 2학년 105명, 여: 1학년 105명, 2학년 104명)에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정확히 기재된 남학생 205명, 여학생 205명 총 410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중독 검사(Internet Addiction Test)는 인터넷 중독 여부를 가리기 위해 2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로 Young의 온라인중독센터에서 만든 검사도구를, 자기 통제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인 Kendall 과 Wilcox(1979)의 자기통제 척도(Self-Control Rating scale)를 송원영(1998)이 자기보고형으로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로 회수된 데이터는 SPSS/Win.(Ver.11.0)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독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토대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중독과 자기 통제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계수(r)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통제력에 대해 고찰하고,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게임 중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각 집단의 치료에 접근하는 방식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의 성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남자(t=3.51, P<.001)와 여자(t=2.78, P<.01)로 나타났다.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서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비교육적인 오락 활동에 너무나 많은 시간과 활동을 보냄으로 인해 자기 자신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을 원하는 대로 잘 조절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성향은 즉각적이고 일시적인 만족을 주는 내적인 충동이나 외적인 유혹으로부터 자신의 행동을 제지하고 인내하는 태도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의 학년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 1학년(t=2.69, P<.01)과 2학년 (t=3.77, P<.001)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학년이 1학년에 비해서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학년 학생들이 1학년 학생들보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비교육적이고 오락적인 활동에 너무나 많은 시간을 보냄으로 인해서 자기 자신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을 원하는 대로 잘 조절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성향은 자신의 행동을 제지하고 인내하는 태도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종의 충동조절 장애 특성이 심화되어지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 통제력의 학교성적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인터넷 중독정도에 따라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은 학교성적 수준이 상집단(t=2.27, P<.05), 중집단(t=3.56, P<.001), 하집단(t=3.87,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하 집단에 속하는 학생의 경우 상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인터넷 중독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에서의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학생들보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비교육적이고 오락 It is certain that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has made our everyday life more various and convenient. However the using the Internet has brought some problems. Especially, teenagers are losing their social abilities as they become absorbed too much in the Internet. It is likely to change them to act selfishly in the cyber space and lose their interests in studying. As a result, they become isolated from their friends and hav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how self-control ability affects the Internet addiction and to help the troubled students to get over the too much indulgence. For this study, first and second-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of high school in Goseong and Sokcho who use the Internet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difference of self control abil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der, the difference of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The deviation of male students' self control ability(t=3.51, P<.001) is more serious than that of female ones(t=2.78, P<.01). Second, according to the academic year, the difference of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The deviation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self control ability(t=3.77, P<.001) is more serious than that of the first grade ones(t=2.69, P<.01). Thir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difference of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The deviation of self control ability of the bad academic achievers(t=3.56, P<.001), (t=3.87, P<.001)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good achievers(t=2.27, P<.05). Fourth, according to their social economic level, the deviation of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The students from lower social economic level(t=3.53, P<.001), (t=4.01, P<.001) surf the Internet longer to get uninstructive and entertaining information than those from higher level(t=2.46, P<.01).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ents from lower economic level lack self control abilities. Fifth, according to the region, the difference of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The deviation of self control ability of the students living in eup and myeon(t=3.46, P<.001)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students living in city(t=2.55, P<.01). Sixth, the correlation between teens' Internet addiction (r=-.415, P<.001) and self control ability was examined. It shows that they have very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To sum up,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could severely affect the formation of self-control power and development process which one of the very important psychological development characters in adolescence. As highschool students with strong self-control power can control by themselves, there are few possibilities to be addicted to internet for them. Therefore, more desirabl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arranged and provided for their right self-control power development and growth through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ir homes and schools to prevent students from internet addition.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활동이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체육활동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S중학교 남학생 212명과 S고등학교 남학생 206명 등 총 418명을 대상으로 체육활동에 필요한 체육장 및 체육기구 등의 체육시설 실태,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도, 정과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 체육활동에 대한 인격형성의 기대도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 체육시설에 대하여 대부분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시설이 부족하다고 응답 하였으며,만족한 시설이 있다면 구기종목의 시설 정도였다. 그리고 체육시설에 대한 학교 당국의 관심도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각 중·고등학교에서는 구기종목 시설외에 다른 체육활동을 설치하여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할 것이며, 체육교사나 학교 당국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할 것이다. 2)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체육활동을 좋아하고 있으며 좋아하는 이유로는 레크레이션적인 가치가 높고 건강증진에 도움이되기 때문에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반대로 체육활동에 흥미가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도 몇명 있었는데 체육교사들은 그들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고 개인의 소질과 능력 등의 제반 요인을 파악하여 동기유발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3) 정과 제육수업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관심도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수업형태에 대해서는 주로 실기위주의 수업을 원하고 있다. 그리고 운동과 학업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답변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체육활동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체육활동 실시에 따른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격형성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체육활동의 실시가 자신에게 기분전환과 건강증진 사회성의 향상, 여가선용 등에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으며, 자신의 성격형성에 대한 기대 정도와 정서적인 면에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즉, 체육활동은 신체활동을 위주로 하는 것으로 자유롭고 즐겁고 그 속에서 협동과 질서를 지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 결과 단순히 체력단련의 성과만 높이는 것이 아니고 성격전반에 걸쳐서 도움이 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212 male students from the S middle school and 206 male students from the S high school which makes total 418 subject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show their expectation and interest about the places and equipments for the physical activity, concerns for the interest, concerns for the regular PE class, and expectation for the personality forming through the physical activities. Thes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for the study from the results of the findings and analysis. 1) Mos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responsed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for the school physical activities, and if they agree that there is enough facilitity, they are only for the ball games. For the concerns of the school government about the physical activities, there were lots of negative responses. Accordingly, each middle/high school must provide students adequate physical activity programs besides ball-game activity to satisfy their needs, and school governments and PE tea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hysical Activity.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cerns about the Physical Activities, it is proved that most of the students like the Physical Activities and students believed that Physical Actibities are good for the health promotion and recreation value. On the contrary, som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not interested in Physical Activity. PE teach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se students to find out their capability and talents and give motivation to them to participate Physical Activity. 3) Most of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were actively participated in regular PE classes and they wanted activity-oriented calss. According to the sesults of the concer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responses very positively and this results imply that students are highly acknowledged the value of the Physical Activity. 4) For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practice and personality developing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many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hat Physical Activity practices provide them refreshing effects, health promotion, ways for the recreation, socializing effects. This implies that Physical Activity, though it may be accomplished by body, provide freedom, enjoyment, and opportunities for the cooperation and to keep the rule, besides it is very helpful to students for wide range of personality development as well as physical fit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