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소희의 졸업 작품 해설,「Habana Soul」

        손소희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I. 서 론 본 소논문은 졸업 공연 ‘Habana Soul'에서 연주된 4곡의 자작곡을 분석하여 그 음악적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4곡의 작품 배경을 설명하고, 형식, 선율, 화성 등을 분석하는데 있다. 졸업 공연에서 발표된 4곡의 자작곡은 본인이 수 년간 연주해오고 있는 아프로 쿠반 뮤직(Afro-Cuban Style)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전체적인 편성은 피아노, 퍼커션, 베이스, 드럼으로, 곡에 따라 플루트, 소프라노 색소폰, 앨토 색소폰, 플루겔 혼 등이 추가 되었다. 쿠바의 수도이면서 쿠반 뮤직의 본거지인 Habana의 느낌을 표현하고자 ‘Habana Soul'이라는 주제로 명명하여 쿠반 뮤직의 특징을 살려서 제작 했으며, 리듬은 1950년대를 기점으로 이전 음악인 볼레로(Bolero), 단손(Danzon)과 이후에 유행한 음악인 차차(ChaCha)와 손 몬투노(Son Montuno)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곡‘Malecon Romantica'는 Malecon의 노을 질때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느낌을 볼레로(Bolero) 리듬으로 작곡했고, 두 번째 곡‘Mojito'는 쿠바의 대표적인 칵테일인 Mojito의 시원하고 상큼한 향의 느낌을 단손(Danzon) 리듬으로 작곡했다. 세 번째 곡 ‘Coches de La Habana'는 Habana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형형색색의 차들의 귀엽고 발랄한 느낌을 차차(ChaCha) 리듬으로 작곡 하였으며, 네 번째 곡인 ‘Casa de la Musica'는 살사를 추는 사람들, 파티를 즐기는 사람들의 자유롭고 흥겨운 느낌을 살려서 손 몬투노(Son Montuno)리듬으로 작곡 하였다. 본인의 졸업 공연 작품 ‘Habana Soul’을 구성하고 있는 4곡이 완성되기까지의 작품배경을 설명하고, 각 곡들의 형식, 선율, 화성구조에 대해 분석 하고, 각각의 곡에서 나타나는 특징들과 그 결과를 점검해 보면서 본인의 앞으로의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 이 소논문의 목적이다.

      •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cloning of a class I ADP-ribosylation factors (ARFs) -like genes from : 넙치로부터유래한classI에속하는ADP-ribosylationfactor-likegenes의클로닝및특성분석

        손소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DP-ribosylation factor(ARF)는 small GTPases에 속하며 면역과 관련된 신호전달인자 중 하나이다. 또한 small GTPases는 zebra fish에서 선천적 면역계의 확고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ARF는 small GTP-binding proteins이며, 막의 이동과 actin- cytoskeleton의 형성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ARF는 단백질 서열, 단백질 분자적 무게, 유전자 구조와 계통학적 분석에 따라 3개의 class로 나누어진다. class I에는 ARF1, ARF2, ARF3가 속하며, class II에는 ARF4, ARF5, class III에는 ARF6가 속한다. class I에 해당하는 ARF는 골지체와 연관되어져 있으며, phospholipase D의 활성화에 필요한 2차 전달자 역할을 한다. 척추동물에 속하는 어류에서는 genome-duplication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넙치에서도 또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유래한 class I에 해당하는 ARF의 duplication gene인 ARF1b, ARF1c, ARF3a의 cDNA library를 구축한 후, PoARF1b, PoARF1c, PoARF3a를 클로닝하여 cDNA full sequence를 밝혀냈다. 그 결과 PoARF1b, 1c, 3a (PoARFs)의 open reading frame은 각각 PoARF1b (544bp), PoARF1c (537bp), PoARF3a (546bp)의 길이를 가지고 단백질의 무게는 약 20kDa으로 확인되었다. PoARFs의 조직별 발현양상을 RT-PCR과 real-time PCR(qPCR)로 분석한 결과 PoARF1b와 1c는 아가미에서, PoARF3a는 뇌에서 가장 발현양이 높게 나타났고 공통적으로 ARF 세 가지 모두 근육에서 가장 낮은 발현양을 나타냈다. 면역세포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PS, Con A/PMA, PolyI:C를 넙치에 자극하였고, 염증 사이토카인 IL-1b와 IL-6 및 Mx gene을 면역자극지표로 사용, q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넙치의 PLD1A와 1B의 패턴과 PoARF1c의 패턴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ARF가 PLD의 면역반응을 매개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transfection과 site mutation analysis를 통하여 PoARFs가 골지체에서 기능하며 이것은 GTP나 GDP 바인딩 상태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lass I에 해당하는 ARF가 골지체에서 기능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건식품태도와 구매의도

        손소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비자들이 친환경과 지속가능소비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비건식품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해 2025년에는 약 240억 6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류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식생활은 식사를 하는 일련의 과정이 우 리 삶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것을 포함하고 있기에 국내 식품산업의 트렌드에 맞춰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소비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건식품을 구매한적이 있거나 구매 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비건식품에 대한 지식, 사회적지지, 부정적 인식이 비건식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경제추구, 지속가능성추구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비건식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안전추구, 건강추구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건식품에 대한 지식, 사회적지지는 비건식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인식은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비건식품에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비건이나 채식 연구의 학문적 폭을 넓히고, 외식기업에 비건식품에 대한 마케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consumers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the size of the vegan food market is expected to grow steadily and reach about $24.06 billion in 2025, and is becoming a mainstream culture. In addition, food related life can be said to be a series of processes of eating a meal, and it includes many thing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identify consumer needs in line with the trends in the domestic food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food related lifestyle, knowledge about vegan foo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perception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vegan food was analyzed for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or intend to purchase vegan fo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food related lifestyles, the pursuit of economy and the pursuit of sustain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s vegan food, but the pursuit of safety and the pursuit of health had no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about vegan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vegan food, and negative percept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by broadening the academic scope of existing vegan or vegetarian research and presenting marketing plans for vegan food to food service companies.

      •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 효과 분석

        손소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능력향상 지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능력기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는 학습자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능력기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는 학습자 직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능력기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는 학습자 강의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관련 연구 및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능력기반 기업 사내강사 양성교육의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능력기반 사내강사 양성교육의 설계모형에 따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기업‘ㄷ’그룹에서 사내강사로 선발되어 능력기반 사내강사 양성교육을 이수한 157명의 학습자이다. 셋째, 교육을 이수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능력향상에 대한 지각 검사를 통해 학습자 직급, 직무, 강의분야에 따라 능력향상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자 직급에 따라 능력향상 지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핵심 구성능력의 교수설계 및 상호작용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교수설계와 상호작용 영역에서 고급관리자 집단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가 타 직급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둘째, 학습자 직무에 따라 능력향상 지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구성능력 및 포괄능력 전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습자 강의분야에 따라 능력향상 지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핵심 구성능력의 강의절차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해당 영역에서 직무이론 집단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가 직무실무 집단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능력기반 사내강사 양성교육의 교수설계 및 상호작용 관련 핵심 구성능력 향상 지각 정도는 학습자의 직급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 구축 시 직급별 특징과 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능력기반 사내강사 양성교육의 능력향상 지각 정도는 학습자의 직무에 따라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능력기반 사내강사 양성교육의 강의절차 관련 핵심 구성능력 향상 지각 정도가 학습자의 강의분야에 따라 다르게 인지될 수 있다. 이는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 구축 시 학습자의 강의분야별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세심한 교수학습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능력향상을 측정하는 평가 방법론을 보다 정련화하고, 교수학습 주제 및 검증 변인의 다양화를 통해 기업교육 영역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의 효과에 대한 지속 검증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in terms of leaner's perceptual level on competency improvem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there perceptual discrepancy on competency improvements in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depending on learner’s position?', 'Is there perceptual discrepancy on competency improvements in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depending on learner’s function?' and 'Is there perceptual discrepancy on competency improvements in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depending on the field of learner's lecture?'.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 model of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training program, through critical reviews on prior researches. Second, the curriculum was design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model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for in-house trainer's training program. The study objects were 157 learners, selected as corporate in-house trainers in a ‘D’ conglomerate, who had complete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Third, the leaner's perceptual levels on competency improvements in the program were measured by perception survey and analyzed through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erceptual discrepancies on competency improvements depending on learner's position in field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interaction of core composition competency. The senior manager group’s perceptual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s was lower than other groups in that field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perceptual discrepancies of competency improvements depending on learner's function in all fields of composition and comprehensive competency between group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erceptual discrepancies of competency improvements depending on the field of learner's lecture in a lecture procedure part of core composition competency. The functional theory based lecture group’s perceptual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s was higher than the functional skill based group in that p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First, the learner's perceptual level of core competency improvements related to instruction design and interaction in a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arner's position. It suggests that characteristic and inclination of each position of leaners must be considered when the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is constructed. Second, the learner's perceptual level of competency improvements in a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can be said have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arner's function. Third, the learner's perceptual level of core competency improvements related to lecture procedure in a competency-based learning program for corporate in-house traine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eld of learner's lecture. It means that characteristics of learner's lectures should be analyzed and apply it to design for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Based on the discussions,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continuously verify effects of competency-based instruction-learning by refining assessment methods to measure competency improvements and by diversifying topics of instruction-learning and verification factors.

      • 천연 공융용매를 이용한 스피루리나의 기능성 물질 추출 및 항산화 물질의 안정화

        손소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천연물 추출 용매로 화장품 성분으로 합성된 공융용매(deep eutectic solvents, DES)를 사용하여 스피루리나로부터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일반적인 추출 용매인 물과 에탄올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총 9종의 DES를 합성하고 세포독성이 적은 3종의 DES를 선택하여 스피루리나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폴리페놀, 피코시아닌, 베타-카로틴의 함량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피코시아닌 함량은 물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베타-카로틴은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항산화능은 DES인 sodium acetate:glycerol(SA:Gly)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을 때 물로 추출한 스피루리나 추출물보다 최대 4배, 7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보다 최대 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etaine:xylitol(Bet:Xyt)은 단백질 추출 효율이 물로 추출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127%로 물보다 다량의 단백질을 추출할 수 있었다. DES의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살펴보기 위해 각 용매로 추출된 기능성 물질의 추출 용매 내 보존능을 함께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DES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피코시아닌은 70% 에탄올이나 물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 물질의 항산화능은 SA:Gly로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9일간 보관한 후에도 항산화능이 60% 이상을 유지해 가장 보존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DES의 스피루리나 추출 용매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나아가 DES가 기존의 추출 용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용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functional substances from Spirulina were extracted using deep eutectic solvent (DES) synthesized with cosmetic ingredients as a new natural extracta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water and ethanol, which are common extraction solvents, 9 kinds of DESs were synthesized. Three DESs with low cytotoxicity were selected to extract functional substances from Spirulina. The contents of polyphenols, phycocyanin, and beta-carotene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Spirulina extract were measured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polyphenol and phycocyanin contents of the Spirulina extract were highest when extracted with water, while the content of beta-carotene was highest when extracted using 70% ethanol.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pirulina extract prepared with sodium acetate:glycerol(1:3) was 4 and 4.5-folds higher than those of the extract prepared with water and 70% ethanol, respectivly. In addition, betaine:xylitol(1:2) could extract 1.27 times higher proteins from Spirulina than water. The ability of DESs as preservatives for functional materials of Spirulina extract was also investigated. The polyphenols and phycocyanin of all DES extracts were more stably preserved than those in 70% ethanol or wat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extract in sodium acetate:glycerol(1:3) was maintained over 60% after 9 days storage, while only 10% of initial activity was retained in 70% ethanol. These results show the potential of DESs as both extraction solvents and preservatives for functional substances from Spirulina.

      • 合唱活動이 靑少年의 情緖에 미치는 影響 硏究

        손소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we go through specialization and mechanization in the more complicated society, there has emerged the alienation or the loss of humanity in the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as a big social problem. As one of the remedies of this devastated dehumanized state, moral and emotional education of adolescents is given much weight in our society. This thesis focuses on chorus activity on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will give susceptible and unstable adolescents the likely opportunity to foster their potential emotional creativity and proper attitude to life, leading them into the right path. To make it clear what effects chorus activity has on adolescents emotionally, the following issues are taken up : 1) comparison of musical motivation between chorus members and other students. 2) comparison of musical motivation in the life attitude between chorus members and other students. 3) comparison of musical motivation based on the degree of chorus participation. 4) comparison of musical motivation in the life attitude based on the degree of chorus participation. 5)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motivation and the life attitud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research respectively. 1. Chorus members are likely to have more responsive musical motivation than other students, which implies chorus members have more affluent sentiments. 2. Chorus members are likely to have more responsive attitude to life than other students such as in social responsibility, cooper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which implies chorus members have more proper sentiments. 3. In respect of musical motivation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horus performance, eager participants are likely to have more responsive musical motivation than inattentiv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attentive participants are likely to have more responsive than non-participants. It might mean the musical motivation gets strong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chorus experience. 4. In respect of general life attitu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orus experience, eager participants are likely to have more responsive life attitude than inattentiv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ho have, in their turn,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t might say that whereas a short-term chorus activity has little influence on the right life attitude of adolescents, a long-term chorus activity has much. 5. As far a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motivation and the life attitude is concerned, musical motivation is in directly proportion to life attitude including social responsibility, cooper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on the basis of results of research,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 1. Despi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horus activity on musical motivation and life attitude of adolescents, there are still many students have few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horus. By vitalizing chorus activity outside school as well as inside school, students can get the opportunity to foster proper and affluent emotion through chorus participation. 2. Actually most adolescents don't have enough time and opportunity for chorus activity because of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ination. So institutional supplementary steps should be taken for assurance of long-term chorus activity.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motivation and life attitude, unlike responsibility,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stability is not in directly proportion to musical motivation. The reason is adolescents' preference for pop music, stimulant, consumptive, rapturous, to pure classical music which is helpful for the rest of mind. So we have to try to lead a adolescents to classical music by providing suitable condition.

      •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손소희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as started as the fifth of social insurance since July of 2008. Therefore, Korean government cultivates new care giver having a national licence to support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since February of 2008. However, new care giver with licence has a lot of matters even though there are rosy propaganda activities of Korean government.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giver working both long-term care and home care service center. The important reason of the study is that, it cannot be carried out without quality service of care giver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t both centers. For that reason, the study has found matters and improved ways of care giver with national licenc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re are obtained results through the study. Firstly, majority of care givers with national licence have status such as low income, low level of schooling and middle age group even though they are professional. It means that care giver is not a professional job, but it is a social employment to create work place based on low income. Secondly, care giver's job satisfaction of the home care service center appeared higher in level rather than long-term care centers in all of the effective factors including job, relationship with superiors, income, promotion, and work place except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Thirdly, most care givers at both care centers are temporary and in contractual position as being unstable rather than regular status. Fourthly, effective factors are based on work place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s and care givers, work place. For that reason, both long-term and home care service centers have different sizes and service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