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 분석

        양갑렬(Gab Rul Yang),박동곤(Dong Gon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0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를 분석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수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발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만족에 따른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초등체육 교육과정 이해 실태 분석, 체육수업 계획 실태 분석, 단위시간 체육수업 과정 실태 분석, 체육수업 평가실태 분석의 4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연구참여자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절대평균치가 높은 교사 2명과 낮은 교사 2명 등, 4명을 선정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서술적 조사 등을 실시하고,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 분석, 귀납적 범주분석, 다각도검증 등의 절차를 거쳐 교육과정 이해, 수업계획, 수업과정, 수업평가 등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교육과정 이해연구참여자들은 초등체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하여는 4명 모두 신체활동을 통한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과 바른 인성의 함양, 건강한 생활의 영위, 체육 지식의 습득이라고 밝혀 교육과정에 제시된 체육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상당히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지 않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학급담임을 맡아 10개 교과 모두를 지도해야 하는 부담감과 잡무의 과다 등으로 인한 교재연구 시간의 부족을 들며 교과전담제의 확대 시행과 잡무의 감축 등을 올 그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였다.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는 연구참여자 모두 교육과정에 배정된 주당 3시간의 시수를 제대로 이수하지 못한다고 답하였으며, 연간계획대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 다른 교과지도나 학교 행사로의 대체, 시설 및 용구의 부족 등을 들었으며, 학교 실정을 고려하지 못한 연간계획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초등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실태는 직무만족에 따라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방법의 이해에 있어 보다 노력하고 있다고 답함에 비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체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지 않고 있었으며 다른 교과지도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어 소홀히 하고 있다고 답하였음을 볼 때,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교육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전담교사제의 확대와 과다한 잡무의 감축 등, 정책적인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2) 체육수업계획연구참여자들은 수업계획 단계에서의 학습 환경분석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시설 및 용구의 확보에도 큰 신경을 쓰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분석은 학급담임교사가 더 적극적으로 실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급 아동수가 적은 교사가 가장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전담교사의 경우 아동수가 너무 많음을 이유로 개개인에대한 분석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하였다.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은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보다 더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에 성실히 임하고 있었다. 이들은 교사용지도서나 교과서, 월간교육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목표 및 지도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아예 수업목표를 세우지 않고 일정한 성취수준 없이 수업을 진행한다고 하였다. 지도내용의 선정에도 소극적이어서 교과서의 내용만을 고집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재구성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이었다. 또, 교재의 활용은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용지도서를 주로 참고하고 있었으나, 연간계획 및 주간계획을 작성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음을 볼 때, 체육수업의 목표달성도를 높이기 위한 지도교사의 보다 충실한 체육수업 계획이 요구된다.3) 체육수업과정연구참여자들은 흥미 및 동기유발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직무만족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동기 및 흥미유발에 보다 더 적극적이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한다고 하였는데, 직무만족이 낮은 교사는 그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별다른 노력없이 수업을 전개한다고 하였다. 준비 및 정리운동은 직무 만족도에 따른 차이 없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운동장 달리기나 국민체조 등을 형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체력이나 보강운동은 실시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nstruction styles of temporar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in relation to the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yles of instruction and to present progressive and rational measures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data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developm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wo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two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urned out to be fairly high regardless of job satisfaction in regard to the values and purposes of elementary schools`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y turned out to have a very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s job satisfaction was lower. Second, few analyses were made of the environment of study in the area of PE plans. An analysis of student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udents than job satisfaction: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more positively the analysis wa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lanning and the selection of instruction contents. Third,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more positive in the utilization of the PE curriculum.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proved to ignore or neglect it. They turned out to leave out the closing activity as was true to warm-up activity. They just let students run around the ground or do national calisthenic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provide positive feedback, while their counterparts provide more negative feedback. Teachers provided appropriate demonstrations to students when they were good at sports skill performance while they asked students demonstrate skills when they were porr at sports skill performance. They rarely asked questions, but rely heavily on the explanations. They gave students three seconds for answering their questions. All the subjects were focused on preventing accidents and doing "good." Also they asked students to observe the activities of their peers who were supposed to answer teachers`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