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디어 소비자로서의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방송편성의 다양성 개선방안 연구

        이영희,진승현 한국장애인재단 2015 장애의 재해석 Vol.2015 No.-

        본 연구는 지상파방송사가 장애인방송 편성에 있어 다양성과 공익성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지상파 3사의 전체방송과 장애인방송 편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장애인 시청자의 현실적 복지 환경개선을 추진하는 데 실무적 차원의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청각장애인, 관련단체장애인방송 담당자, 각 방송사 편성담당자의 인터뷰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지상파방송사 편성표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방송의 프로그램유형은 전체방송 프로그램유형의 비율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수화통역방송은 대체로 아침시간대와 낮시간대에 본방송 ‘뉴스’로 방영되고 있었는데 인터뷰 결과, 청각장애인은 수화통역방송이 주시청시간대에 제공되지 않는 것에 크게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으며 낮시간대에 제공되는 지상파방송사의 수화통역 뉴스를 거의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청각장애인들은 지상파방송사의 수화통역 뉴스가 주시청시간대인 저녁에 보다 큰 수화화면으로 제공되길 원했으며 다큐멘터리도 수화통역으로 시청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에 대해 편성담당자는 현재로서는 비장애인의 시청권 확보로 인해 어려우나 폐쇄수화통역기술이 도입되면 청각장애인의 요구사항은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으로 화면해설방송은 주로 낮시간대와 심야시간대에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등이 재방송으로 방영되고 있었다. 인터뷰 결과, 시각장애인은 화면해설방송 편성시간대가 생활주기와 맞지 않아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방송시간이 불규칙하고 편성정보를 접하기 어려워 언제 방송되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시각장애인은 주로 주시청시간대에 제공되는 본방송예능오락프로그램을 화면해설방송으로 시청하길 원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편성담당자는 본방송 당일까지 편집을 하는 제작여건과 3일 이상 제작시간이 걸리는 화면해설방송의 특성으로 본방송에 화면해설방송을 방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낮방송 및 심야방송과 재방송 시스템이 불가피하다고 답했다. 시각장애인의 화면해설방송 이용활성화를 위한 차선책은 첫째, 각 방송사 홈페이지에서 화면해설방송 다시보기 서비스를 확대하고, 시각장애인 인증절차를 거친 이용자에 대하여 시각장애인연합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온전한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방법일것이며 둘째, 미국과 같이 시각장애인이 접근하기 용이한 안내전화를 통하여 방송편성을 공지해야하며 셋째, 생방송이나 본방송에 화면해설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과 제작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예산의 증대가 선결되어야하며 방송통신위원회가 보다 진취적으로 관여하여 장애인 시청자와 방송사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장애인은 미디어 소비자로서 당당히 권리를 주장하고 방송사는 서비스제공자로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시각장애인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근무환경 : 경영학적 조직이론 분석과 질적 방법론 차원에서의 면담을 중심으로

        남태광(Nam Taegwang),이선호(Lee Sunho),이수철(Lee Sucheol),정예은(Jeong Yeeun)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들의 스마트폰, 휴대폰, 인터넷, 컴퓨터 등의 정보통신 기기 사용률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스마트폰의 사용 비율이 55.9%로 전체 장애인의 평균을 훨씬 상회했고, 사용 빈도 역시 거의 매일 사용하는 경우가 90.5%에 달했다. 이와 같이 시각장애인에게 스마트폰과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통신수단 그 이상의 의미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및 발전되고 있어 그들의 생활편의를 한층 더 높이는 시도들이 돋보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인공지능 분야의 논문들에 따르면 그러한 시도들이 일부 존재하나 극히 제한적이며, 대다수의 경우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인들이 관련 연구 활동에 참가하는 경우가 극미하다는 점에서 시각장애인으로서는 이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즉, 장애를 경험하지 않은 측에서 장애로 인한 피해를 받는 측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므로 장애인 측에서는 본질적 문제해결이 아닌 겉핥기식 문제해결이라고 지적하는 경우가 다소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시각장애인들이 주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있는 기업의 환경 및 조직 문화를 파악했다. 이를 위해 실제 시각장애인들이 성공적으로 프로그래머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회사들에 관하여 Ouchi’s Z theory, 경쟁가치모형을 통한 분석을 진행했다. 동시에 시각장애인 프로그래머들에 대하여 현재 개발환경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시각장애인들의 최적 개발환경을 분석 및 도출했다. 분석 결과 ‘과업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가 현 조직에서 지배적인 문화로 자리 잡고 있었으며 ‘관계지향문화’는 개발자들의 기대치보다 낮았다. 대부분의 환경에 만족하는 모습을 모였지만 일부 개발자 양성과 채용 과정에서의 한계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disabled that is pos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usage of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smart phone, internet, computer by disabled is increasingly growing. Especially, in visually-impaired’s case, the proportion of usage of smart phone is higher than other disabled,(55.9%), and the proportion of using smart phone every day reaches 90.5%. It means that smart phones and its application programs are more than communication equipments to visually-impaired. Especially, in recent AI fields, lots of programs for visually-impaired are developed so that they can live more conveniently. However, according to a lot of recent studies of AI, there are few attempts that can improve visually-impaired’s life, but they are extremely limited. Also, almost of studies are focusing on the able-bodied.. It means that this kind of attempts can be invalid to the visually-impaired. That is, developments by able-bodied can’t be the essential solution. This researchers try to figure out the optimum environment for independent developing of visually-impaired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inherently. To this end, we are going to analyze the business environment that visually-impaired developers are working successfully with Ouchii’s Z theory, Competing values model. Simultaneously, we are going to pose some depth interviews to the blinded developers so that we can analyze and figure out the best develop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ask-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were becoming dominant cultures in the current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as lower than developer’s expectations. Although they gathered to be satisfied with most of the environment,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training and hiring some developers were revealed.

      • 일과 여가를 바탕으로 살펴본 발달장애인의 삶 : 그들을 가두는 투명상자의 본질

        성소현(So Hyun Seong),김가람(Garam Kim)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일과 여가를 통해 그들의 전체적인 삶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학교 유형에 따라 그들의 사회성과 자립성이 달라지고, 그러한 특성이 취업 여부(혹은 취업 의지), 여가 향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발달장애 근로자 대상 인터뷰와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이 졸업한 학교 유형에 따라 사회성과 자립성이 달라졌으며, 실태 조사에서는 일반학교-특수학급 졸업자가 가장 높은 사회성과 자립성을 보였다. 또한 학교 유형에 따라 사회성과 자립성에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일과 여가 경험이 달랐고, 이는 발달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과 여가의 관계를 비롯한 중요도의 차이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달라졌으며, 이는 발달장애인이 발달장애나 장애 정도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존재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발달장애인을 사회참여나 자립으로부터 소외시키는 투명상자를 발달장애인 스스로의 제한된 경험, 보호자의 인식, 그리고 사회의 시각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투명상자를 부수는 것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삶이 비장애인, 신체적 장애인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밝히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초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work and leisure. We conducted interviews fo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n used survey data as a second analysis to confirm the results of interviews of how their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vary depending on school types, how such characteristics affect employability (or willingness to work), leisure experiences, and finally,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ur findings indicated that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whe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aduated from, and graduates of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howed the highest sociality and independ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ork and leisure experiences differ based on varied sociability tendencies and independence depends on the school type, which can predict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and importance between work and leisure depends on individual values, suggesting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not only influenced by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Therefore, researchers defined ‘transparent boxes’ as a concept that alienate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ocial participation or self-reliance,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breaking these transparent boxes. They are namely limited experiences, guardians" perceptions, and social persp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at the liv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with non-disabled and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ir lives.

      • 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양상 및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성인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채우정(Chae Woo Jeong),한용재(Han Yong Jae) 한국장애인재단 2022 장애의 재해석 Vol.2022 No.-

        디지털 미디어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생활 도구이다. 정보교류, 의사소통, 사회참여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 하지만, 가짜 뉴스, 디지털 소외계층 발생 등은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따른 대표적 부작용이며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가 된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은 다소 부족한 부분이 많다. 또한, 교육 대상을 학생, 노년층 등 특정 계층에 한정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격차가 심화가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양상을 파악하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환경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성인 지체장애인은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서 기기 활용의 편의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주요 사용 목적은 정보 검색과 의사소통이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 파악되었다. 성인 지체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진행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호주, 영국, 핀란드 등 해외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 선진국은 전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제정, 운영하고 있다. 선진 사례를 참고하되 우리나라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현황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는 것은 사회적 과제가 된다. 본 연구를 계기로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모색방안이 지속적으로 도출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Digital media is an important living tool in modern society. It is used as a very convenient tool in various field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owever, fake news and the occurrence of the digital underprivileged are representative side effects of digital media use, and are the reasons why digital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re emphasized. In Korea,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s somewhat insufficient. In addition, education targets are often limited to specific classes such as students and the elderly. In particula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o not have many educational opportunities unlike disabled students. As the use of digital media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increases,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mo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environment for adult retarded people by identifying the digital media usage patterns of adult retarded people and conducting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value the convenience of using devices in the use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ain purpose of use of digital media is inform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and that the preference for video content is high. This is a part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eveloped countries in foreign digital media education, such as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and Finland,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various and systematic curricula to foster digital media literacy for the entire nation. It is a social task to develop and operate customized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media use by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while referring to advanced cases. With this study, we hope that social interest in cultivating digital media literacy capabilities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be increased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can be continuously sought.

      • 돌봄 역할의 전환과 교환 : 성인장애인의 기여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정은,조태흥 한국장애인재단 2015 장애의 재해석 Vol.2015 No.-

        이 연구는 그 동안 장애인을 돌봄의 의존적인 수혜자로 바라보는 일방적인 시각에서 탈피하여 “상호 돌봄과 공존”의 주체로서의 실제와 특성을 탐색하고, 장애인 돌봄에 관한 균형적인 관점으로의 변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성인장애인의“상호 돌봄과 공존”의 핵심적 체계로 가족을 주목하면서 19세 이상의 성인장애인과 그 가족을 짝(dyad)으로 하여 일대일 대면의 서베이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최종 성인 장애인과 가족 각각 90명씩 총 1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성인장애인의 “상호돌봄과 공존”의 실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성인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가족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기여에 대한 인식과 내용, 크기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SPSS 21.0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인장애인의 “상호 돌봄과 공존”의 다양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군집분석 방법으로 성인장애인의 가족 기여 요인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상호작용 유형을 도출하고 질적연구 방법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장애인이 가족에게 제공하는 기여 요인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인장애인의 경우 정서적 기여가 높을수록, 가족 기여 시간이 많을수록 가족관계가 긍정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경우, 성인장애인의 가족 기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성인장애인의 정서적 기여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성인장애인의 기여 시간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가족관계가 긍정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분석으로 성인장애인의 가족 기여 요인과 가족관계의 상호작용을 3개의 유형으로 도출한 결과, 성인장애인의 경우 가장 많은 수가 도구적 기여와 정서적 기여를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면서 나머지 요인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든 가족기여 요인이 부정적인 상태로 지각하는 유형이 뒤따랐으며, 가장 적은 수이지만 모든 요인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이 존재하였다. 가족의 경우 가장 많은 수가 성인장애인의 정서적 기여에 대한 지각이 약간 낮은 수준을 제외하고 모두 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든 요인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이 뒤를 따랐다. 셋째, 12명의 성인장애인과 가족, 전문가에 대한 FGI 방식의 질적 연구 결과 성인장애인의 가족 기여에 대한 인식의 하위범주는 “나 혹은 우리도 모르는 매우 생소하거나 상관없는 개념”, “한참 생각하면 발견되는 나름대로의 의미”, “확고한 자기인식과 책임감”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장애인의 가족 기여 내용은 “비장애인과 별 차이 없는 가족의 구성원에서부터 가족의 파수꾼”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가족과 사회관계의 중심추와 윤활유”와 같은 중심주제로 모아졌다. 위와 같이 성인장애인이 가족에게 제공하는 기여를 중심으로 탐색해 본 돌봄 역할의 전환과 교환은 실제적인 영향력은 물론 독특한 유형과 특성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 돌봄에 있어 “상호돌봄과 공존”이라는 사회인식의 변화와 함께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촉진하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장애인 유튜버의 미디어 생산 경험에 관한 연구

        윤형(Yun, Hyeong),조은총(Cho, Eunchong) 한국장애인재단 2020 장애의 재해석 Vol.2020 No.-

        이 연구는 장애인 미디어 생산자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장애와 미디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주로 TV나 신문 같은 레거시 미디어가 장애를 재현한 방식이나 장애인 권익을 위한 미디어 접근성에 관해 연구했다. 하지만, 1인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같은 뉴미디어가 부상하면서 미디어 환경이 변화되었고, 장애와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현상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 제작이 쉬워지며, 장애인 미디어 생산자가 생겨나는 점은 연구자들이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현상이다. 이에 이 연구는 장애인을 미디어에 의해서 재현되어온 대상에서 벗어나, 미디어 생산자로서 장애인을 연구하고자 했다. 뉴미디어 중에서도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장애인들을 연구했다. 본 연구자는 고프만(Goffman)의 개념과 미디어 생산자 연구를 참고하여 장애인 유튜버를 이해하는 이론적 틀로 사용했다. 고프만의 일상에서의 자아 연출 개념을 빌려와, 장애인 유튜버들이 콘텐츠에 표현한 자신이나 장애에 대한 이상적인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미디어 생산자 연구 관점에서 뉴미디어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창작자이자 노동자로서 이들을 재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튜브 활동을 6개월 이상 지속해 온 장애인 유튜버 8인을 심층 인터뷰하여 왜 이들이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어떻게 자신의 모습을 유튜브 공간에서 표현하며, 그 경험이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이들의 모습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장애인들은 유튜브 영상에서 ‘주체적인 나’와 ‘다르지 않은 나’로 자신을 표현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존 미디어가 재현해 온 장애인과 유사한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체적인 나’는 영상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이야기의 중심에 자신을 위치 시켜, 나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존재로의 표현이다. ‘다르지 않은 나’는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주로 담았다. 이들이 다르지 않다는 것은 장애를 극복했다거나 신체적으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이라는 정체성을 갈망한다는 것이다. 또한, 유튜버 활동은 이들에게 경제적, 사회적인 영향을 주었고 장애 정체성 형성에도 일부 영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유튜브 활동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경제적 보상을 얻고 있고, 사회 관계망이 넓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이 원하는 정체성을 더욱 강화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구독자가 많아지며, 나를 주인공으로 하는 삶의 관계망이 넓어지고, 이 결과로 경제적 소득 창출의 기회가 주어졌다. 이를 통해 실제 삶에서도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능동적인 존재로 자신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었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이자 자신의 콘텐츠의 주인공으로 많은 비장애인, 장애인 독자들과 대등하게 소통하면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은 나’의 모습을 삶에서도 실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을 미디어 생산자로 새롭게 바라보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장애인이 직접 생산한 미디어 콘텐츠에서 이들이 희망하는 자아 표현과 삶의 모습을 파악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장애학 연구에 대한 기여를 넘어서, 유튜브를 이용한 장애인 미디어 생산자의 삶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뉴미디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연구의 자료로도 의미 있는 결과일 것이라 기대한다.

      •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인고용인식 요인

        김선호(Kim Sun Ho),최유화(Choi Yu Hwa)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00대학교 소속 교직원 52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인고용인식 중 장애인과의 근무경험, 사업주지원제도 인지 여부, 근로환경 및 처우, 장애인고용인식 개선교육, 장애인 기업에 대한 이미지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설문지법을 통해 각 장애인고용인식 요인이 장애인고용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심층면접을 통해 장애인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실제 현장에서 제도로써 활용되고 있는 정도와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장애인고용인식 요인 중 사업주지원제도 인지 여부와 근로환경 및 처우, 장애인고용인식 개선 교육은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근무경험과 장애인 기업에 대한 이미지는 실제로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고용인식 요인과 관련된 제도는 운용되고 있지만 그 제도가 활용되고 있는 정도와 효과는 미비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장애인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인고용인식 요인들을 제도로 활용하고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2 faculty and staff at Anyang University, among the perceptions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that affect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ing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employer support system,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image of companies with disabilities. factors were studie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how much each factor in the employment perception of the disabled affects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extent to which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re being used as a system in the field and its effec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factors of recognition of the disabled, whether the employer support system was recognize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reatment, and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ing experience and image of companies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did not actually affect employment of the disabled. Although the system related to the employment recognition factor for the disabled is in operation,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system is being used and the effect are insignificant. In this regard, the direction of how to utilize the employment recognition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s a system and how it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its effectiveness was suggested.

      • 관광활동을 통한 장애인의 관광만족과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질 간의 영향 관계 연구 : 선천적 장애인과 후천적 장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현나(Kang Hyeon Na),문보은(Moon Bo Eun),이동렬(Lee Dong Ryeol)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선천적 장애인과 후천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관광활동을 통한 장애인의 관광만족과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질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장애 유형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변수의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관광만족,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질로 구성된 총 4개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관광만족은 신체적/정서적/심리적 만족의 3가지 차원으로, 장애수용은 장애극복의지와 장애인식으로 구성된 2가지 차원으로 분류했으며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은 각각 단일차원으로 구성했다. 연구 분석을 위해 ‘관광활동을 경험한 적이 있는 선천적 및 후천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회수한 설문지 중 응답불성실 설문을 제외한 225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만족 중 신체적 만족은 장애극복의지와 장애인식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만족은 장애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광만족 중 정서적 만족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장애수용(장애극복의지, 장애인식)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과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선천적 장애인과 후천적 장애인 간의 관광만족과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질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관광만족 중 신체적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장애수용은 장애극복의지와 장애인식 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와 관련한 학술적 연구 기여와 향후 무장애 관광 시장의 발전 방향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through tourism activities an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disability types. For research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d tourism activit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25 copies, excluding the unfaithful respons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s the final valid sampl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ourism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illingness to overcome disability and disability perception, respectively, and emotion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sability perception. Second among tourism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disability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and that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ourism satisfaction,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between congenital and acquired disabilities was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atisfaction among tourism satisfaction. Also disability acceptance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ribution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disabil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the barrier-free tourism market were presented as implications.

      • 발달장애인의 개별화가 주는 주변환경의 변화

        오상택(Oh Sang Teack)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연구자가 종사하는 장애인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행동으로 인해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이 불균형해지고 안정적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 사례를 계기로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생활의 안정화가 가져다 주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고자 시작되었다. 발달장애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삶을 이용시설 종사자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실천개입이 발달장애인 개별화였다.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인해 발달장애인 가족의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게 되었고, 이에 가족 뿐만 아니라 종사자,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 중 인지적 · 기능적 능력에 맞는 개별화 계획을 성립하고 그에 따른 관찰일지를 2021년 8월 16일부터 11월 5일 까지 8주간의 시간동안 발달장애인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8주간의 시간을 지나면서 발달장애인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용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 영향평가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인한 주변환경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인 개별화를 통해 발달장애인이 경험한 지역사회이용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를 통해 나타나는 주변환경의 변화를 5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의 변화, 발달장애인의 자립화, 욕구해소로 인한 활동범위 확대, 적응력강화, 지역사회이용시설 이용빈도가 미치는 장애인식의 변화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주변환경 즉 발달장애인의 가족, 이용시설, 지역사회 시설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가족의 돌봄부담완화, 이용시설 종사자의 사회복지실천개입의 최소화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식개선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fact that the life of the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ame imbalanced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the accidental behavior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the facility for the disabled where the researcher is eng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rought about by the stabilization of the liv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 thought about ways to help the life of the family that affects the lif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ention was individualized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e to the individualiz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daily life of famili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a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changes in percep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ot only in their families but also in the workers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researcher established an individualized plan suitable for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abilitie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using the facilities, and observed and recorded the observation log for 8 weeks from August 16 to November 5, 2021. In addition, after 8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family, and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evaluated and confirmed for worker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individualiz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changes in daily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ansion of the scope of activities due to self-reliance and resolution of needs. Through this study, positiv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amily, use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confirmed by individualiz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장애인 예배의 실태

        한규비(Han, Gyu Bi)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온라인 장애인 예배는 현장 예배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공존하는 또 다른 새로운 예배의 장이 될 것이다. 또한 장애인에게도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종교의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이다. 현재 현장 장애인 예배에 대한 연구 결과는 존재하지만 코로나 이후 온라인 장애인 예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므로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관찰 조사해보는 시도는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나 이후 형성되었던 2019~2021년까지의 온라인 장애인 예배가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 연구는 참여관찰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직접 조사하였고 총 10개의 기준을 바탕으로 구조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후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개선점과 대안 예배 모델을 제시하였다. 수평적인 관계 안에서 사랑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가치관의 관점으로 현재 온라인 장애인 예배를 운영하고 있는 교회의 예배를 분석한 결과 예배 형식, 구조, 특징, 진행 등의 부분에서 개선할 점이 발견되었다. 바로 이런 점에서 환경적 지원 방안, 하이브리드 예배, 참여적 예배 모델, 퍼포먼스적 예배 모델 등 다양한 예배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교회가 추구해야 할 장애인 예배를 공유한다. 온라인 장애인 예배가 지녀야 할 중요한 특징은 주체성, 수평적, 비전형적, 참여성 등이었다. 다시 말해, 예배에 참석하는 장애인들이 주체가 되어 예배에 참여하고 예배를 통해 가상의 공간에서 하나님께 기도와 찬양, 말씀을 봉독하는 과정에서 수평적인 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배의 세밀한 요소들이 장애인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변화되어야 하고 끊임없이 추가해야 할 부분들이 존재한다. 비장애인은 장애인과 다른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도 예비 장애인이며 우리 모두가 한 마음으로 예배를 드리고 하나님을 자유롭게 만날 권리가 있음을 재해석해야 한다. 기독교 관점으로 하나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모두는 누구 하나 빠짐없이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들이며 그런 우리에게는 함부로 누군가를 판단하고 혐오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예배란 장애인들에게도 꼭 필요한 종교적 생활양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사랑과 공동체 의식이 전제되어있는 하나님 나라를 미리 맛보는 것이 예배인 만큼 그들이 하나님 나라를 누릴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 교회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예배는 하나님 나라의 리허설로 나이, 성별, 인종, 가치관 등을 뛰어넘어 하나가 되는 공동체로서 편견과 차별을 탈피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만 한다. In the With Covid situation, online worshi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e another new place of worship that continues to coexist with on-site worship. It will also guarantee the right to worship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religious freedom. Although there are currently findings on on-site worshi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search on online worship with disabilities after the Corona is lacking, and attempts to observe and investigate online disability worship in order to create a society free of discrimination are essential tasks. In this sense, online disability worship from 2019 to 2021, which was formed after corona, may be the subject of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survey methods to directly investigate currently broadcast online disability worship and conducted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a total of 10 criteria. The report was then prepared to provide improvements and alternative worship models. An analysis of the worship of the Church, which currently operates online disability wo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values seeking to practice lov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found improvements in the format,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 of the church. In this respect, we share the disabled worship that the Church should pursue in the With Covid situation by presenting various worship models, such as participatory worship models and performance worship models. An important feature of online disability worship was subjectivity, horizontal, non-visionary, and engagement. In other words, horizontal structures were required as disabled people attending worship became subjects, participating in worship, and offering prayers, praise, and words to God in a virtual space through worship. To make this happen, the finer elements of worship had to be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parties, and there were parts that needed to be added. Non-disabled people are not different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too, are prospectively disabled and we all have the right to worship with one heart and meet God freely. Worship is one of the essential religious lifestyl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such, worship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reaks away fro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a community that goes beyond age, gender, race, and values etc. in the rehearsal of the nation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