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박람회에 나타난 권번 기생 연구

        신현규(Shin HyunGyu)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1 인간과자연 Vol.2 No.2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는 대·소형 박람회와 공진회가 173개나 열렸다. 조선총독부가 1910~40년에 일본에서 열린 박람회·공진회에 참여한 것도 104차례에 이른다. 박람회는 일본이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이었으나, 동시에 산업발전을 이끌고 유행과 소비를 창출했으며 민중에게 유흥을 제공했다. 일제는 병합 후의 조선의 진보를 전시하고 과시함으로써 이른바 일선융화를 강조하고 일선동화를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수단으로서 조선물산공진회를 열었던 것이다. 1929년 경복궁에서 조선박람회가 열렸고 평양의 기생들이 총동원되어 서울에 원정을 온다는 광고를 하였다. 이처럼 기생 이미지는 국내외의 사람들에게 기생을 조선의 대표적 이미지로 각인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공진회를 찾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박람회의 꽃이 기생이라는 암시를 주게 되었다. 여기서 기생의 이미지는 중요한 의미를 차지한다. 조선박람회는 관민일치의 노력으로 성공리에 끝났다고 자체평가하고 있지만 어용행사였다. 그러나 서구 선진과학기술문명의 소개 를 통해 우리민족에게 준 ‘문화충격’은 간과할 수 없다. 공진회 및 박람회는 조선총독부 지배 이전과 이후의 조선에 대한 백과전서적 지식을 관람객의 눈앞에 분류·배열·진열해 놓고 상호·비교·대조하여 일본(문명)과 조선(야만, 전근대)의 이항대립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73 large and small expositions and symposium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rticipated in expositions and symposiums held in Japan 104 times between 1910 and 1940. Expositions were a means of justifying Japan s colonial rule, but at the same time led industrial development, created fashion and consumption, and provided entertainment for the people. By displaying and showing off the progress of Joseon after annexation, the Japanese imperialism held the Joseon Trade Fair as a concrete practical means to emphasize the so-called front-line fusion and promote front-line assimilation. In 1929, the Joseon Expo was held at Gyeongbokgung Palace, and an advertisement was advertised saying that all gisaengs from Pyongyang were mobilized to go on an expedition to Seoul. As such, the image of gisaeng became a decisive opportunity to imprint gisaeng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Joseon to people at home and abroad, and gave a hint to those who did not visit the Gongjinhoe as the flower of the fair as a gisaeng. Here, the image of parasitism occupies an important meaning. The Chosun Expo was self-evaluating that it was successfully completed through the effort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but it was a misleading event. However, the ‘culture shock’ given to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cannot be overlooked. The Gongjinhoe and the exposition classify, arrange, and display encyclopedic knowledge of Joseon before and after the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front of the viewer, and compare, contrast, and contrast each other, and thus the binary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Japan (civilization) and Joseon (barbarism, pre-modern times).

      • KCI등재

        모바일 기반 한국어의 한자 어휘교육 콘텐츠 연구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신현규(Hyungyu, 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이 연구는 비정규교과로서 한국어 교육에 베트남 출신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기반의 한국어 학습 콘텐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어휘교육은 다른 언어 기술을 익히는 데 그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Mobile Assisted Vocabulary Learning)’ 분야는 한국어 한자 어휘교육에서 필수적인 과정이 될 것으로 주목된다. ‘비정규과정의 한국어 교육’은 적절한 대상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논의의 목표는 한국어의 한자어휘를 자기 주도적 학습 방안으로 ‘모바일 기반 한국어의 한자 어휘교육 콘텐츠’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자어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단어의 설명은 베트남어에도 같은 혹은 비슷한 발음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어와 모국어 그리고 한국어를 연계하여 교육하며 주로 예문 제시, 모국어와 대응, 유의어와 반의어 연습, 문장 완성, 문장 만들기, 어휘 게임 등 방법 등을 통해 교육해야 한다. 유의어 교육에서 결합 관계를 활용해서 유의어 간의 결합 차이를 베트남 학습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유의어 간의 의미 차이만 안다고 해서 모든 상황에서 적절한 어휘를 골라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일상생활에서 유의어 두 어휘만 나타나서 구별해야 할 상황은 드물기 때문이다. 주로 제시된 문장이나 구절 안에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유의어의 결합 정보를 제공하면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유의어를 교육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래 한자 학습은 반복 학습과 연상 학습이기에 모바일 기기의 간편한 휴대성과 편의성을 활용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장점이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지, 영상, 게임 등을 응용해서 다양한 활용도 가능하다. 모바일의 기능성 게임은 한자 학습에 흥미를 이끌어 학습 대상을 아동부터 대학생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is a non-formal subject to discuss mobile-based Korean learning contents to improve the vocabulary of Vietnamese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other language skills. In particular, the field of “Mobile Assisted Vocabulary Learning” is expected to be an essential process in Korean kanji vocabulary education. ‘Training Korean language in non-regular courses’ is considered appropriate. Therefore, the goal of the discussion is to present ‘mobile-based Korean kanji vocabulary education contents’ as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of Korean kanji vocabulary. Since the explanation of the words rooted in Chinese characters is used in the same or similar pronunciation in Vietnamese, education is provided by linking Chinese characters, mother tongue and Korean. And vocabulary games. In synonym education, we can show the difference in the combination of synonyms to Vietnamese learners by us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Just knowing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synonyms does not mean choosing the right vocabulary in all situations. This is because, in everyday life, only two vocabulary words appear to distinguish them. Most often, the proper vocabulary is used in a given sentence or phrase. Therefore, providing synonym information can help to educate Vietnamese learners. Originally, Chinese character learning is repeated learning and associative learning, so you can increase efficiency by taking advantage of easy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mobile devices. The advantage of mobile devices is that they can be easily learned anytime, anywhere.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by applying images, videos, games, etc. The functional game of mobile is expected to attract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o that it can be expanded from children to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2) : 조선권번(1938년) 소속의 기생 중심으로

        신현규(Shin Hyun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이 글은 1938년 일제강점기 조선권번의 기생 명단이 수록된 월보(일람표)를 분석하여 권번에서의 학습 시스템을규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조선권번 ‘예기(藝妓)월보’(1938년 4월)는 수집가에 의해 비공개되었다가 최근에 연구 자료로 학계에 보고되었다. 조선권번은 설립 당시 서울 장안의 여타 권번과 달리 신생 권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에는 다른 권번을 뛰어 넘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장했다. 조선권번 기생들은 하규일의 창조적지도하에 다양한 공연예술종목을 선보임으로써 당시 궁중 가무로 독보적인 지위를 갖고 있었던 한성권번보다 세를키울 수 있었다. 한성기생조합이 기부(妓夫) 있는 기생을 대상으로 한 유부기(有夫妓) 조합이었다면, 이에 대항하여 기부 없는기생을 대상으로 조직한 조합이 ‘다동기생조합’이다. 이 조합의 구성원은 주로 평양 중심의 서도 출신의 기생으로구성되었는데, 이후 1919년(대정 8년)에 대정권번으로 개칭하며, 대정권번에서 분리되어 평양기생들로만 조직된 대동권번이 이로부터 분리된다. 조선권번은 1923년에 하규일을 중심으로 대정권번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다. 초창기로부터 1936년까지 조선권번에서 교육시킨 기생만도 3,000여 명을 헤아렸다고 할 만큼 조선권번은 서울의 대표적인 권번이었다. 조선권번은 종로권번과는 달리 당시 설립 이후부터 독자적으로 명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조선 권번 예기월보(일람표)’에는 전혀 표시가 없다. 이는 권번 사무실에 모든 연락을 전화 4대로 지원해주고, 소속 기생들은 개인 전화를 소유했더라도 일람표에는 표기를 하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1938년 기준으로 ‘조선권번 및 종로권번 예기월보(일람표)’는 398명과 476명을 포함하면 중복되지 않는 874명이나 된다. 1914년 매일신보 예단일백인(藝壇一百人) , 1919년 조선미인보감(朝鮮美人寶鑑) 등과 마찬가지로 기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list of gisaengs in the Chosun Kwon-beon during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clarify the learning system at the gisaengs training center. Despitethe fact that Chosun Kwon-beon was a new volume unlike other volume numbers in Seoul, it hadgrown enough to surpass other volume numbers in the 1930s. By presenting various performingarts under the creative guidance of Ha Gyu-il, the gisaengs of Chosun Kwon-beon were able toraise their ranks compared to Han Seong Kwon-beon, who had a unique position in the courtsinging and dancing at the time. The members of the Daedong Kwon-beon were mainly composed of gisaengs from West inthe center of Pyongyang. Later, in 1919, the name was changed to Daejeong Kwon-beon. areseparated The Chosun Kwon-beon split from the Daedong Kwon-beon in 1923 with Ha Gyu-il asthe center. The Chosun Kwon-beon was the representative Kwon Beon of Seoul, so that it is saidthat about 3,000 gisaengs were educated in the Chosun Kwon-beon from the early days to 1936. In the ‘Chosun Kwon-beon gisaengs Monthly Report’, it is speculated that 4 telephones areprovided to contact the Kwon-beon office, and even though the gisaengs in the affiliated trainingcenter owned a personal phone, they did not mark it on the list. ‘List of the gisaengs for Chosun and Jongno Kwon-beon.’(1938) included 398 and 476 persons. There are 874 people who do not overlap. Like <Maeil Shinbo> in 1914, Yedan Ilbaekin, and1919 in <Chosun Myin Bogam>, it is an important data for gisaengs research.

      • 문헌 자료에 나타난 평양 교방 “노래서재[歌齋]” 연구

        신현규(HyunGyu Shin)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1

        ‘노래서재’는 1924년 평양 기생학교가 설립되기 이전에 평양에 있었던 기생 교육 시설이 었다. 당시 경성에도 기생학교를 설립하고자 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다. 평양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독립적인 기생 기예 교육의 전통이 있어서, 노래서재·가무학교·기생서재·기생학교 등에서 기생에게 음악과 노래를 교육시키고 있었다. 내외진담집의 ‘평양 기생학교’에서 방문한 곳은 ‘대흥면1리’로 신창리를 말한다. 그곳 노래서재는 신창리 27번지 ‘김해사 노래서재’로 추정된다. 기생 수가 7명이었고 ‘진홍’ 기생이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추측할 수 있다. 이 글에서의 ‘평양 기생학교’는 저자의 이방인 시각으로 노래서재, 즉 ‘가재’를 이해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기생학교’와 ‘노래서재’의 구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보고 싶은 것만 기억해서 서술한 셈이다. 특히, 노래서재, 즉 가재의 존재를 알려준 자료이기에 의의가 있다. 앞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가재’는 가객과 금객이 시와 시조를 읊는 서재라는 뜻으로 한양의 ‘노가재’를 예를 들 수 있다. 평양에는 주로 정가, 즉 가곡, 가사, 시조 등을 노래하는 서재로 기생들에게 이를 가르치는 ‘양성소’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처럼 기생의 음악과 춤을 매개로 활동함으로써 단절된 위기에 있었던 ‘여악’과 전통예술을 비롯한 민속 음악을 교육하고 전승한 공로가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Noraeseojae’[歌齋] was an educational facility for gisaeng in Pyongyang before Pyongyang’s gisae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24. At that time, there are many records of trying to establish a gisaeng school in Gyeongseong.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Pyongyang region has an independent tradition of gisaeng arts education, and music and songs are taught to gisaeng at song study, song and dance school, gisaeng study, and gisaeng school. The place visited in ‘Pyongyang Gisaeng School’ in Collection of Conversations with Inside and Outside is ‘Daeheung-myeon 1-ri’, which means Shinchang-ri. The song library there is presumed to be the “Kimhaesa Song Study” at 27 Shinchang-ri.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seven gisaengs and that there was a ‘crimson’ gisaeng. The ‘Pyongyang gisaeng school’ in this article seems somewhat unreasonable to understand the song library, or ‘crayfish’, from the author’s stranger’s point of view. I did not properly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Gisaeng School’ and ‘Norae Library’, and I only remembered what I wanted to see and described it.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material that informs the existence of song library, that is, crayfish. As mentioned before, ‘Gajae’ means a study where singers and geumgaeks recite poems and sijos, and ‘Nogajae’ in Hanyang can be taken as an example. In Pyongyang, it was mainly a library for singing Jeongga, that is, Gagok, Gasa, Sijo, etc., and played the role of a ‘training center’ to teach gisaeng. In this way, it was reconfirmed that there was merit in educating and passing down folk music, including ‘Yeoak’ and traditional arts, which had been in crisis by being active through the music and dance of gisaeng.

      • 분산 그래프 처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조사

        고성윤 ( Seongyun Ko ),서인 ( In Seo ),신현규 ( Hyungyu Shin ),이진수 ( Jinsoo Lee ),한욱신 ( Wook-shi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그래프 데이터는 객체와 객체들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여 사회 관계망 서비스, 사물 인터넷 그리고 뇌 네트워크등의 데이터를 표현하며 저장한다. 빅데이터의 시대에 빅 그래프를 처리하기 위한 수요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분산그래프 처리 시스템을 매우 큰 그래프 데이터를 클러스터 내의 여러 머신의 메모리에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빅 그래프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분산 그래프 처리 시스템들의 특징들을 비교 연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