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과 선거제도 효과 -지방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황아란 ( Ah Ran Hwang ),서복경 ( Bo Kyeung Seo ) 한국선거학회 2011 선거연구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제3회-제5회 지방의회 선거의 제도변화 가운데 비례대표제, 정당공천제, 중선거구제 도입이라는 보편적인 선거제도 변화가, 다양한 수준의 여성할당제와 결합되었을 때 발생하는 효과를 경험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기초의회 정당명부 작성에서 권고조항으로 존재했던 여성할당제가 위반 시 등록무효가 되는 강제조항과 결합되면서, 2010년 기초의회 비례대표 선거에서 여성후보자 및 여성당선자가 확대되는 효과를 발견하였다. 지방선거에서 여성할당제는 비례대표제와 결합하여 등장하였다. 여성할당제의 제도내용은 2002년 50% 의무공천제와 2인마다 1인 의무배정제에 이어 2006년 홀수순번 의무배정제로 강화되었고 위반 시 명부등록이 무효 처리되는 강제조항이 2010년 선거에서 기초의회까지 확장됨으로써, 사실상 비례대표 선거와 결합될 수 있는 여성할당제의 가장 강력한 형태를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2010년 선거 지역선거구 후보자 공천과정에서 여성후보 의무공천규정이 도입되면서, 지역선거구 당선자 수준에서도 작지 않은 변화가 발견되었다. 2006년 선거에 비해 광역의회 여성당선자는 3.2%포인트, 기초의회 여성당선자는 6.5%포인트의 증가율을 보인 것이다. 이런 결과는 전체 정당들이 지역선거구 후보공천의 여성할당제 도입취지를 어느 정도 수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0년 정당의 기호 자율배정제의 효과는 한국 여성정치에 유의미한 진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5인 이상 대선거구제와 다르게 2-3인의 중선거구제는 일반적으로 여성 및 소수자 대표성을 확대하는 제도효과를 주장하기는 어렵다. 2006년 선거에 이어 2010년 선거결과에서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듯이, 제도 비교연구 분야에서도 중선거구제의 효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신중한 입장이 우세하다. 이런 조건에서 각 정당들이 중선거구 추천후보들에게 기호를 배정할 때 여성후보자에게 유리한 방식을 자발적으로 선택했다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든 여성 대표성 확대라는 규범이나 가치가 정당 행위에 일정부분 내면화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정당이 기호배정에서 여성후보를 우대하는 선택을 한 것은 정당의 자발적인 여성할당제(voluntary gender quotas)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gendered institutions through Korean local council election`s collective data from third to fifth. Since 2000, the diverse gender quotas have been introduced in local elections and those measures have been combined of the other level`s electoral institutions. At first, The earlier studies found the gender effects of party`s female compulsory nominations in PR list making. In fifth municipal council( Gu/Si/Gun) election of 2010, the new sanctions against violation of party`s female compulsory nominations was introduced. The electoral results show the expansion of female candidates and winners compared with fourth election. Second, in both broadband council(Si/Do) and municipal council elections of 2010, gender quotas were introduced in party`s district candidate nominations. Each party should nominate at least one female candidate in every district of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at municipal elections, each parties exercised the right of the ballot position assignment of their endorsed candidates in medium district system(2-4). Compared with local council elections of 2006, the female winners of broadband councils increased 3.2%p, those of municipal councils increased 6.5%. The district level electoral results of 2010 show the effects of the parties` voluntary gender quotas. Generally the first ballot position in multi-district raises the possibility of winning and each party in 2010 municipal elections nominated more female candidates than male candidates in first ballot positions.

      • 제한적 경쟁의 제도화 1958년 선거법 체제

        서복경 ( Bo Kyeung Seo ) 한국선거학회 2013 선거연구 Vol.3 No.1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운동과 아닌 정치활동을 구분하고 선거운동 기간을 제한하는 원리에 기초해 있으며, 제58조와 제59조가 그 핵심을 이룬다. 이 두 조항은 1934년 일본 군국주의 선거법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958년 한국 선거법 체제에 최초로 도입되어 현재에까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58년 당시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 그리고 민주당이 이 제도를 도입하게 된 정치사적 배경을 당대 회의록 등의 자료를 통해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제도의 기원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 제도가 1987년 민주화 이후 선거법 개정과정에서 재검토되거나 폐기되지 않은 채 온존될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경쟁제한과 규제중심의 1958년 선거법 체제의 지속 동인을 밝히고자 한다. The Korean electoral law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electoral campaign periods limitation. The citizen`s political actions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electoral campaign and the others. The core provisions of the electoral law are the article 58 and 59. The two articles had rooted in the Japan militaristic electoral law of 1934, and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electoral law in 1958 by the bargaining of Rhee syngman government, the government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This paper analyzes the origin of the 1958 electoral law system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assembly records, and why this system has preserved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1987.

      • 일반논문 : 재외국민 선거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내용

        김종법 ( Jong Bub Kim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재외국민 선거제도의 바람직한 정책과 제도의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고자 한다. 재외국민 참정권이나 투표제도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이 다시 시행하고자 하는 재외국민 투표제도를 중심으로 논의한다는 것이그리 쉽지만은 않지만, 선거라는 제도를 통해 향후 발생하리라 예상될 여러 문제들을 정책적으로 예방하고 보다 바람직한 제도적 발전을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민주주의가 발달한 OECD 국가들 대부분에서 해외 국민들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있는 현재 추세에 비추어 본다면 한국의 경우에도 제도 운영이나 시행 방법 등에 있어 한국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도의 발굴과 정책 계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를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서문에 이어 제2장에서는 재외국민 선거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국가, 특히 유럽 국가들의 선거제도에 주목하여 이를 소개하고 정책과 제도의 다양함을 거론하는 예시를 제시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해외의 주요 사례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한국에서의 재외국민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겠다. 덧붙여 재외국민 선거제도가 갖는 국내정치적 의미와 영향 관계도 첨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특히 지난 1966년과 1972년 시행된 해외부재자 투표제도와 현재 예고된 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변화된 정치적 상황을 돌아보고, 아울러 예상되는 제도적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국내정치에 미치는 효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분석할 것이다. This paper is examined on the policies direction and their content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voting from abroad with an italian case study. And also is a comparing study of Foreign Constituency as a voting system between Italy and Korea. Law 459 dated 27 December 2001 now allows Italian citizens living abroad to vote. Voting can be done by post. All Italian citizens listed in the electoral rolls of their Foreign Constituency, namely all the citizens registered with AIRE (Registry Office of Italian Citizens living Abroad), will have the right to vote. In this paper we treat with the korean case of voting system for a people living abroad, although it should call the suffrage of the abroad-compatriots or the Foreign Constituency. I will try to research a political meaning of relative relation on effect analysis by introducing a suffrage of the abroad-compatriots that will be enforced by a relative law on this April for a special parliament-election.

      • 다수제적 혼합선거제도 하에서의 투표행태에 대한 다차원 분석

        ( Chia Hung Tsai ),( Lu Huei Chen ),( Chao Chi Lin ),( Su Feng Cheng ) 한국선거학회 2011 선거연구 Vol.1 No.2

        혼합선거제도는 영국의 전통적 소선거구제와 비례제 양자 모두의 좋은 점을 제공한다고 언급된다. 학자들은 후보자와 정당들이 이러한 선거 규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고찰해 왔으며, 이 제도 하에서는 상이한 유인 요인이 존재한다고 주장해 왔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층 간의 상호작용 또한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은 소선거구제에서의 투표 행태가 정당의 명성에 의해 영향 받는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는데, 이는 소선거구 선거 결과와 비례대표 선거 결과 간의 차이에 의해서 측정된다. 대부분의 유권자가 비례대표 표를 던질 때 자신들의 선호를 따르며, 소선거구 표를 던질 때는 현직자를 고려할 것이라고 우리는 가정한다. 한국, 대만, 그리고 일본에서의 투표 행태를 비교함으로써, 사회적 배경, 정치적 태도, 쟁점에 대한 의견 등이 투표 행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이들 세 국가에 걸쳐서 평가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는 선거제도 비교연구(CSES) 2차조사 (2001-2006), 21세기 전국적 장기 설문조사 자료 (JES 3차), 대만의 선거 및 민주화 연구 자료 (TEDS 2008L)이며, 이를 통해 각기 한국의 2004년 총선, 대만의 2008년 의회선거, 그리고 일본의 총선을 고찰한다. It is said that mixed-member systems offer the best of both the traditional British single-member district system (SMD)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s (PR). Scholars have examined how candidates and parties respond to the electoral rule, arguing that there are different incentives for the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iers is also investigated. This paper attempts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voting behavior in the SMD districts would be influenced by party reputation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MD and PR voting results. We assume that most voters follow their preferences when they cast their PR votes, but that they consider the incumbents when they cast their SMD ballots. Comparing voting behavior in Korea, Taiwan, and Japan, we are able to assess the relative effect of social backgrounds, political predispositions, and issue opinions on voting behavior across three countries. We use CSES Module 2 (2001-2006) data, the Nation-wide Longitudinal Survey Study on Voting Behavior in the 21st Century (JES III) data, and Taiwan`s Election and Democratization Study (TEDS 2008L) data to examine voting behavior i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of Korea, the 2008 legislative election of Taiwan, and the 2005 general election of Japan respectively.

      •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선거에서 제3후보 현상과 선거연합에 관한 연구

        조성대 ( Sung Dai Cho ) 한국선거학회 2013 선거연구 Vol.3 No.1

        이 글은 민주화 이후 주기적으로 출현했던 제3후보 현상과 선거연합을 균열구조와 선거제도에 대해 정치행위자들의 전략적인 대응이 빚어낸 결과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첫째, 제3후보 현상이다. 한국의 지역주의가 양당제적 구심력을 지니는 단순다수제 아래서도 다당제적 원심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제3후보의 출현은 영남을 중심으로 한 지배연합의 분열과 새로운 균열의 등장에 편승한 전략적 행위의 결과로 설명된다. 둘째, 선거연합 현상이다. 지역주의, 단순다수제, 그리고 제3후보의 존재는 선거연합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지역주의 지배연합에 대항한 대응한 역지역주의 승리연합의 구축 그리고 새로운 균열에 편승한 제3후보가 인접한 정체성을 지닌정당의 후보와 후보단일화를 구축한 사례가 설명된다. 결론에서는 그간의 분석을 요약하면서, 지역주의 균열구조, 대통령 중심의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등이 자아내는 정치적 대표성의 악화를 연합정치의 제도화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음을 역설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third party candidate phenomena and electoral coalition buildings since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as the political outcome of dynamic relationship among cleavage structure, electoral system, and strategical reactions of major political actors. The first examines the third party candidate phenomena. While plurality rule wields centripetal force, making two party system, defying agasint it, the regional cleavage in Korea has produced multiparty tendency. And the third party candidates have emerged on the one hand through the schism of regional ruling coalitions, and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good use of emerging new cleavage structure. Second, the presence of regionalism, the plurality rule, and third party candidate tends to entice the formation of electoral coalition. And it has been done in Korea, either through building the anti-ruling regional band, or candidate unification between the third party candidate and the major party one.

      • 혼합선거제도 도입에 따른 정치적 효과 분석

        어수영 ( Soo Young Auh ) 한국선거학회 2011 선거연구 Vol.1 No.1

        1987년 민주화 이후 도입된 한국의 선거제도는 소선거구-비례대표 병립제(mixed-member majority system)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선거제도를 실시한 결과 과연 어떠한 정치 제도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두 가지 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제도의 실시로 나타난 가장 주요한 효과는 유권자들의 분할투표 현상이다. 유권자 표본조사자료(survey data) 분석에서 이러한 분할투표율은 약 20%정도였다. 분할투표 양태 중 흥미 있는 유형은 지역구선거와 비례대표선거에서 각기 다른 당을 투표하는 견제균형의 분할투표라 할 수 있다. 양대 정당이 서로 견제하여 특정 정당의 독주를 방지하고, 상호 조화를 유도하는 심리상태에서 비롯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민주노동당의 제3당으로의 급성장은 혼합선거제도가 정당체제의 다당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혼합선거제도의 도입은 과거의 뿌리 깊은 지역주의 투표행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거나 그 관행을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만 열린우리당이 상대적으로 과거 김대중 대통령 시절의 민주당이 얻은 득표보다 전국적으로 많은 지역에서 표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민주노동당이 획득한 표가 호남지역뿐만 아니라 영남지역, 수도권에서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은 지역주의가 완화될 수 있는 조짐을 보여준다. 또한 선거 개혁론자들이 주장해왔던 표의 비례성을 높이는 데도 혼합선거제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2표 병립 혼합선거제도의 제도적인 문제이기보다 비례대표의석 비율이 너무 낮은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표의 비례성을 높이려면 비례대표로 뽑는 의석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current Korean electoral system is a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1987 as a result of the democratization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is mixed electoral system, and changes in voters` vot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effects of this new system is the phenomena of split-ticket voting. According to a survey data, approximately 20% of voters split their tickets. One intriguing pattern of split-ticket voting is that of checks and balances, where voters vote for one party in the district level voting and for another party in the party list voting (for PR seats). This pattern of split-ticket voting seems to originate from voters` psychology to prevent one party`s predominance and encourage a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two major parties in Korea.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as a third party demonstrates that the mixed electoral system has contributed to promoting a multi-party system. In contrast, the introduction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 has had limited success in fundamentally changing the regional voting behavior, although there were some positive signs of the weakening of regionalism. One is the Uri Party`s votes being more evenly distributed in terms of regions than those of the Democratic Party during Kim Dae-Jung government., and the other is the Democratic Labor Party getting balanced votes from various regions including Honam, Youngnam, and Seoul areas. The mixed electoral system has not had great effects on improving the proportionality, which was one of the major goals the reformers sought to achieve. This ineffectiveness, however, is a result not so much of the mixed system itself as of the exceptionally small number of PR sea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portional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R seats drastically.

      • 제5회 지방선거의 주요 이슈와 유권자 평가

        이현우 ( Hyeon Woo Lee ) 한국선거학회 2011 선거연구 Vol.1 No.1

        본 글에서는 선거이슈 선정, 이슈의 전개와 정당 및 후보들의 입장과 그 변화 그리고 유권자의 이슈에 대한 반응정도를 살펴보며 과연 한국의 지방선거에서도 이슈가 중요한지를 검토해 본다. 선거이슈가 중요한 것은 정당, 이념, 그리고 후보자라는 세 가지 기본적인 투표결정 요인 중 가장 합리적인 투표결정 방법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 역시 이전 지방선거와 마찬가지로 전국적 이슈가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전 선거들에서는 특별한 선거이슈보다는 야당은 여당에 대한 중간평가라는 정치구도를 국민들을 대상으로 설득시키고, 국민들은 집권당에 대한 평가의 기회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비록 야당은 여당에 대한 중간평가라는 점은 일관적으로 주장했지만, 지난 선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천안함 침몰, 무상급식 그리고 4대강 개발이라는 선거전 이슈가 선거기간 동안에도 지속되었다. 기존의 한국선거의 고질적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지역주의를 약화시키는 효율적 방안으로 제시되는 것은 지역주의를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갈등축의 등장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이슈에 의한 선거 경험이 늘어난다는 것은 고무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election of election issues, the evolution of issues, the issue positions (and potential changes in positions) on the part of parties and candidates, and voters` responsiveness to these issues with reference to the 5th local election. More comprehensively, the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issues are important even in local elections or not. Political parties, issues, and candidates are widely accepted to be the three basic determinants of voting choice. Among the three factors, the “issues” factor is deemed important, because it is the closest to the rational voting decision. As in previous local elections, national issues ha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utcome of the 5th local election. The difference lies in the nature of issues. In previous local elections, the issues were phrased in general terms. Typically, the opposition parties would try to raise the issue of mid-term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ing would respond to that. Before and throughout the 5th local election, however, there were more specific issues such as the sinking of Cheonan-Ham, free meals for school children, and development of four major rivers, in addition to the general issue of mid-term evaluation. It is suggested that one effective way to weaken the regional voting pattern would be the emergence of a new cleavage, which could possibly replace the all too dominant regional cleavage. From this perspective, the increase in voters` experiences with issue-oriented elections could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 a desirable direction.

      • 일반논문 : 일본민주당의 성공과 실패, 그리고 유권자의 유동성

        고선규 ( Seon Gyu Go ) 한국선거학회 2014 선거연구 Vol.4 No.1

        1998년에 재창당된 민주당은 2009년 정권을 획득하기까지 빠르게 성장하였다. 국정선거인 중의원과 참의원선거에서뿐만 아니라 지방선거에서도 의석을 확대하여갔다. 민주당은 무당파층 또는 유동적 정당지지층의 지지를 토대로 의석을 확보하여왔다. 민주당 지지자는 선거에서 지지정당을 바꾸기 쉬운 ‘변덕스러운(きまぐれ)’유 권자가 대부분이다. 민주당은 정권획득 이후 이러한 유권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정권공약의 입법화에도 실패하였고 국회에 전개되는 야당과의 관계에서도 정국을 주도하지 못했다. 결국 민주당은 무당파층을 지지기반으로 동원에 성공한 시기에는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으나 무당파층과 선거연합 형성에 실패함으로써 정권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개별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2012년총선거에서 유권자의 투표정당이 자민당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2009년 총선거에서는 반대현상이 관찰되었다. 최근 일본에서는 선거 때마다 정당을 이동하며 투표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민주당의 지지층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주당의 지지동원은 유동적인 무당파층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지지철회가 야당 전락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investigate a growth process of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DPJ). The second aim is to provide the change of party system and voter``s volatility in Japan.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DPJ) lost its majority in Japan``s House of Representatives in 2012. The DPJ``s which had been in power for about three years until it lost last year``s lower house election, suffered a humiliating defeat, winning the smallest number of seats since its founding in 1998. Its leader Banri Kaieda``s responsibility for the loss is extremely grave as he failed to show clear policies to confront the Abe Cabinet or to dispatch clear messages to voters. The DPJ``s crushing defeat has even called its raison d``etre into question. The DPJ was once successful in becoming one of the two major political parties under the lower house electoral system centering on single-seat constituencies, and taking over the reins of government, but failed to properly run the government. It is inevitable for voters to view the DPJ as a “second LDP,” as it failed to work out specific measures to carry out the integrated reform of the tax and social security systems. DPJ should be aware of its responsibility as the largest opposition party for losing support from voters and failing to spark policy debate and causing politics to lose its dynamism.

      •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운동 관리의 과제

        조희정 ( Hee Jung Cho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2

        온라인 선거규제는 1996년부터 시작하여 2005년부터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채 10년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중요 선거 시기마다 제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였다. 논쟁이 제기된 근본적인 원인은 신기술을 따라가는 법제도의 늦은 반응성혹은 과거의 부정선거 단속이라는 제도적 경로의존성을 버리지 못한 것에서 많은 사회적 폐단이 발생한다는 비판에 근거한다. 그러한 논쟁의 반복 과정에서 제도는 여전히 지체되었고 시민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여러 조항에서의 지나친 제한과 정부 개입의 과도함에 대한 비판 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였다. 이 글은 SNS 사용 확대를 배경으로 온라인 선거운동이 전면 허용된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규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19대 총선에서 나타난 온라인 선거규제의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남아 있는 과제를 정리한다. 특히 제도적 고려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 유념하여 온라인 선거규제의 원칙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1996, starting the online election regulations have been earnest in 2005. However, to date, not less than 10 years for each system during the critical period for the election has caused controversy. New technologies have raised controversy to follow the fundamental cause of law enforcement late reactive or past election did not abandon the institutional path dependence occurs from many social problems that are based on criticism. Such an process of debate and delay in the system is still freedom of expression in civil society, as well as other restrictions and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 various provisions of the transitional and ongoing criticism as was suggested. Increased use of SNS in the background of this article online campaigning is allowed in the front line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by analyzing the Regulations appeared online in the next elect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challenges that remain to clean up. Still remain particularly in the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in mind restrictions on the principle of an online campaign is to propose suggestions.

      • 혼합형 다수대표제의 정치적 결과에 대한 분석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김형철 ( Hyung Chul Kim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혼합형 다수대표제의 정치적 효과를 평가하고 투표율의 제고, 투표-의석 간 비례성의 확대, 지역정당체계의 극복, 그리고 정당정치의 제도화를 위해 어떠한 제도적 노력이 요구되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선거제도의 제도적 차원과 유권자의 투표행태로서의 분할투표라는 행위자적 차원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에서 조사한 ‘제19대 국회의원 유권자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혼합형 다수대표제의 행위자에 대한 효과로서 분할투표의 증가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또한 분할투표가 초기 예측과 달리 선거제도의 정치적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혼합형 다수대표제의 정치적 효과가 제한적인 이유로는 지역대표의석과 비례대표의석 사이의 커다란 편차 때문으로 이는 투표율 감소, 선거불비례성의 증가, 군소정당의 의회진입의 어려움 그리고 인물 및 지역에 기초한 투표행태의 변화를 보정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당면한 선거제도의 정치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례대표의석을 확대하고 비례대표 의석과 비례대표 의석이 연동되어 총의석이 할당되는 혼합형 비례대표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mixed member majoritarian system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Especial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an electoral system and voting behavior on the political consequences, which are increasing vote rate, enhancing proportionality, alleviating the regional party system, and institutionalizing the party politics.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the spilt-ticket voting,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ffects of voting behavior, has not influence on the political consequences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By contrast, the imbalance between the number of district seats and the party list seats affects the political consequences. In other words, the excessively small of party list seats did not achieve certain effective political consequences of mixed member majoritaria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olitical consequenc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y list seats and to change from the mixed member majoritarian system to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