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촌지역 산림관리를 위한 임업노동력 미래 전망

        정병헌(Byung Heon Jung),김철상(Chul Sang Kim),김기동(Ki Dong Kim)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임업 노동력의 미래 수요를 전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업 노동력 수요 예측에 필요한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공표하는 임업부문 취업자수와 임업의 부가가치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산림작업 노동력의 수요는 201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2030년까지 매년도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임업의 부가가치는 2003년 이후부터 숲 가꾸기 및 벌채생산 등 산림 사업량이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임업의 부가가치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예측한 산림작업 노동력의 수요는 2010년 24,372명, 2020년 23,942명, 2030년 23,185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산림작업 부문에 참여하는 취업자 수는 2010년 72,213명, 2020년에는 67,441명 그리고 2030년에는 61,92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현재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임업노동의 취업여건 개선과 임업 노동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산림작업 노동력을 전업·전문적 직업으로 육성해 가는 정책이 요구된다. 영림단의 작업일수를 확대하고, 임금수준을 유사업종의 수준으로 높여가고, 경력 및 능력별 임금체계 조성, 영림단 운영의 개선 및 조직적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산림작업 노동을 전업적 노동으로 육성하는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forecasting future demand for forestry workforce in Korea. Data for the employed workers and value added in forestry that are used in this research were obtained of the Bank of Korea. Value added was based on the data of the constant prices in 2000 released by the Bank of Korea. The estimate of future demand stretches from 2010 to 2030. Value added in forestry has shown a growing trend due to the increase in forestry activities including forest management and timber harvest since 2003. Based on this trend, the demand for forest workers is predicted to continuously reduce to 24,372 in 2010, 23,942 in 2020 and 23,185 in 2030. And owing to poor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of forest industries, the number of overall employed persons in forestry is likely to go down to 72,213 in 2010, 67,441 in 2020 and 61,920 in 2030, respectively. To make forestry activities the more attractive full-time job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forest favorable polices, including extending annual working days and raising wages for forest workers.

      • KCI등재후보

        표고버섯 중장기 수급전망 모형 개발

        정병헌 ( Byung Heon Jung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장·단기 추세예측과 정책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계량경제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델은 시장균형 조건에 의해 수요량, 공급량, 가격 등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모델로 구성하였다. 모형내 각 방정식들은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모형의 안정성은 RMSPE, MAPE, Theil의 불균등계수를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예측력 검토결과, 생표고버섯 수입가격을 제외하고 우수한 오차율을 보였다. 중장기 수급전망 결과, 생표고버섯 수요량은 2027년에 29,931톤으로 현재 수준보다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생표고버섯 생산량은 2021년 23,064톤으로 약간 증가한 후 2027년에 22,950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표고버섯 수요량은 2017년 2,504톤에서 2027년에 2,142톤으로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건표고버섯 생산량은 국내 생산비용 증가 등으로 2017년 1,063톤에서 2027년에는 783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conometric model that predicts the short and long term trend of oak-mushroom while estimating the policy effect on it. The model endogenously determines the demand, supply and price of oak-mushroom depending on market equilibrium condition. Each equation in the model was solved by econometric techniques. Inequality coefficients such as RMSPE, MAPE and Theil’s were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evaluation, the model showed good performance except for the import price of raw oak-mushroom. The demand for raw oak-mushroom in 2027 was forecasted to be 29,931 ton, which is slightly more than the present. The production of domestic raw oak-mushroom was projected to be 23,064 ton in 2021 and 22,950 ton in 2027. The demand of dry oak-mushroom was predicted to be 2,504 ton in 2017 and 2,142 ton in 2027 showing consistent decrease. The production of domestic dry oak-mushroom was forecasted to be 1,063 ton in 2017 and 783 ton in 2027 due to the increase of production cost.

      • KCI등재
      • KCI등재

        산림통합수급모델 개발 및 활용방안

        정병헌 ( Byung Heon Jung ),한희 ( Hee Han ),김기동 ( Ki Dong Kim ),곽두안 ( Doo Ahn Kwak ),임종수 ( Jong Su Yim ),이정희 ( Jeong Hee Lee ),최형태 ( Hyung Tae Choi ),김은숙 ( Eun Sook Kim ),신중훈 ( Joong Hoon Shi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1 산림경제연구 Vol.28 No.2

        산림청은 우리나라 산림을 지속가능하게 경영하기 위해 산림자원, 임산물 및 산림서비스에 대한 장기전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산림자원, 임산물시장, 산림서비스 3개 부문의 8개 개별모델로 구성된 산림통합수급모델의 구조를 소개하고 개발된 모델의 활용 방안을 논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산림통합수급모델은 산지면적과 임상비율, 임목축적의 변화를 다루는 산림자원 부문과 목재제품과 단기소득임산물의 수급을 다루는 임산물시장부문, 산림수자원, 산림복지서비스, 산림탄소흡수량의 변화를 전망하는 산림서비스 부문으로 구성되며, 각 부문의 개별모델들이 상호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각각의 장기전망치를 산출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품목별로 장·단기 수급전망 자료를 도출할 수 있으며 향후 산림기본계획의 수정이나 임산업 생산 및 유통 관련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ustainably manage forests in Korea,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made long-term projections for forest resources, forest products, and forest services, and has been establishing a forest master plan based on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cases of the integrated supply and demand model in forest sector and to discuss how to use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for the model. The integrated model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1) forest reosures, which predicts total forest area, proportion of each forest type and forest growing stock, 2) forest product markets, which forecasts supply and demand for wood product and forest by-product, 3) forest service, which outlooks forest water resources, forest welfare service and forest carbon absorption. The respective models in each category interconnectedly work and comprehensively compute their long-term projections. Through these results, we can derive short-term and long-term supply and demand forecast data for each item as well as ca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vising the forest master plan or supporting policies on forest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도시설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승정 ( Seung-jung Lee ),정병헌 ( Byung-heon Jung ),김기동 ( Ki-dong Kim ),전현선 ( Hyon-sun Jeon ),조민우 ( Min-woo Jo ) 한국임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2

        임도는 산림자원의 조성과 관리, 그리고 목재와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운반 등 산림경영을 위한 필수적인 기반시설이다. 최근에는 산림 병해충 방제, 산불예방 및 진화뿐만 아니라 산림휴양과 산림스포츠 등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임도를 건설하면 산림 내에서 경제적 기능이 활성화되어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은 물론 고용창출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도를 건설함에 따라 경제 전반으로 발생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산업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산업연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2014년 한국은행의 투입산출표를 사용하였다. 임도를 건설하면 임도 건설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발생하지만, 임도 건설 후 임산물 생산 증대로 인한 경제적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가지 효과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몇 가지 가정을 통해 임산물 재배의 경제적 효과인 임산물 생산액 예측치를 계산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임도 건설부문은 농림수산토목 부문으로 정의하였고, 임산물 부문은 원목, 식용임산물, 기타임산물의 합으로 정의하였다. 임도건설과 임업임산물로 정의한 2개 부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문은 기존 한국은행 30개 통합대분류의 분류체계에 맞게 통합하여 총 32개 부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임도건설에 대한 생산유발계수는 2.767로 분석되었고 임업임산물에 대한 생산유발계수는 1.565로 분석되었다. 이는 임도를 건설하면 임도건설에 따라 그 투자수요의 2.767배 만큼의 생산이 전체 산업에서 유발됨을 나타내고 임업임산물생산 증대에 따라 전체 산업에서 임업임산물 생산액의 1.562배 만큼의 생산이 유발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도건설에 대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977로 분석되었고 임업임산물에 대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985로 분석되었다. 임도시설은 임업발전의 필수적인 기반시설로서 산림경영, 산림휴양, 산림스포츠, 마을연결 등의 기능과 함께 목재생산과 단기임산물 생산의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orest road i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forest management such as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timber and forest byproduct production & transportation. It has recently been utilized forest recreation and forest sports as well as also forest pest control, forest fire prevention and evolution. When you build a forest road, the economic function in the forest is activated, so that it can result in the ripple effect of induced employment , value-added creation and production indu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caused by forest road construction occurring as the overall economy. For analysis it was applied to inter industry analysis method that is a method for analyzing the quantitative cross-correlation. The data were used in the Input-Output Tables In 2014, the Bank of Korea. When you build a forest road, economic effec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forest road is generated and economic effects are also gener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orest road. Therefore, we will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the two effects. The estimated economic value of forest products, which is the economic effect of forest product cultivation, was calculated through some assumptions and the economic ripple effect was analyzed. The forest road construction sector is defined as land clearing and reclamation, and irrigation project construction and the forestry forest products sector is defined as the sum of raw timber, edible forest products and misc. forest products. In total, 32 sectors were classified, and except for the two sectors defined as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forestry forest products, the remaining sectors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30 integrated classifications of the Bank of Korea. As a result,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for forest construction was analyzed to be 2.767 and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for forestry forest products was analyzed to be 1.565. This means that 2,767 times the production of forest road construction investment is induced in the whole industry and the production of 1.562 times the amount of forestry forest products is caused by the whole industry as the production of forestry forest products increases. The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for forest road construction was 0.977 and the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for forestry forest products was 0.985. Forest road are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forestry development and should be continuously invested because they are essential elements of timber production and forest byproduct production with functions such as forest management, forest recreation, forest sports, and town connection.

      • KCI등재

        공판되는 송이의 등급별 비율을 통한 향후 생산량 추이 예측

        박현 ( Hyun Park ),정병헌 ( Byung Heon Jung ) 한국산림과학회 201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9 No.4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ily yield and quality of pine-mushroom to predict the annual production pattern and unit price of the mushroom with the records of pine-mushroom trade at Yeongdeok forestry cooperative`s market for nine years (2000-2008). Al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due to extreme drought or extraordinary temperature, the production ratio of high quality (first and second grade) was more than 50% in early stage and decreased, while that of low quality (pileus opened and defected ones) showed increasing pattern after the production reached in peak. The ratio of high quality and that of low quality were reversed 1-9 days before the mushroom production reached the acme of daily yield, which allowed us to predict that the mushroom production would be decreased when the ratio of low quality overcomes that of high quality. The ratio of high quality preceded about 3-4 days prior to that of daily yield, and the mushroom yie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ratio of high quality mushroom prior to 3-4 days of the day with the coefficient larger than 0.5 (1-0.51 for 3 days and 1-0.54 for 4 days). Thus, we concluded that the analysis of grade distribution of pine-mushroom at the market may provide a significant clue to predict production pattern of the mushroom. In addition, the price of high quality pine-mushroom showed clear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yield. Thus, the analysis may take a good role for the trading of pine-mushroom with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ice of pine-mushroo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