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주민 재산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남윤표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When a North Korean acquires the right to property in South Korea for reasons stipulat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for Inter-Korean Families, such as inheritance and bequest, a property manager is appointed to manage the inherited and bequeathed property of the North Koreans. At the time of legislation, the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system used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as the main framework,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purpose and content. To this end, I offer the following opinion. ①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confirmation of acquisition of rights” as the time and reason for appointing a property manager, in case of inheritance and bequest, the time of death of the deceased (the testator) shall be the standard, but if there was inheritance under false pretenses, North Korean residents exercise their rights and make a judgment It should be based on the time when the provisional execution was confirmed, and if the right was actually acquired through provisional execution, it should be based on the time of provisional execution. ② Regarding the appoint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sidents,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allow the court to ex officio appoint a property manager. ③ Regarding the management of financial assets, the current Act on Special Cases for Inter-Korean Families is used and managed in combination with the property of a property manager, so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perty of North Korean residents will not be protected against compulsory execution. Therefore, the law needs to be amended to recognize North Korean residents' names and North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s “real names” under Act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s And Confidentiality. ④ Regarding the issue of proving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heir, a North Korean citizen, and the ancestor, the genetic test system of the Missing Children Act should be introduced and genetic information should be managed. ⑤ Reasons for terminating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must be specifically determined separately from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When North Korean residents are able to manage their property on their own, they must be allowed to transfer the property from the property manager to the North Korean residents with the permission of the Minister of Justice. The law should be amended so that the court can cancel the property management at the request of North Korean residents, property managers, interested parties, or prosecutors when the property transfer process is completed. Considering that the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system has a legitimate legislative purpose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South Korean property being diverted to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 anti-state organization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restricts the property rights of North Korean heir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chieve the legislative purpose by reorganizing the regulations in more detail, and to prepare for unexpected disputes. 북한주민이 상속⋅유증 등 남북가족특례법에 규정된 사유로 남한 내 재산에 관한권리를 취득한 경우에는 북한주민의 상속⋅유증재산 등을 관리할 재산관리인이 선임된다. 북한주민 재산관리 제도는 입법 당시 부재자 재산관리 제도를 주된 틀로 삼았으나, 목적이나 내용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기에 이로 인하여 발생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필자는, ① 재산관리인의 선임시기 및 사유로서 “권리의 취득의 확정”의 해석에 관하여 상속 및 유증의 경우 피상속인(유언자)의 사망시기를 기준으로 하되, 참칭상속 등이 있었다면 북한주민이 권리행사를 하여 판결 등이 확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해야 하고, 만약 가집행 등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권리를 취득했다면 가집행 선고를 받은시점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 ② 북한주민의 선임절차와 관련하여 법원이 직권으로 재산관리인을 선임케 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③ 금융재산관리와 관련하여 현재 남북가족특례법으로는 재산관리인의 재산과 혼용되어 관리되기때문에 강제집행 등에 있어 북한주민의 재산이 보호받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북한주민 명의와 북한주민등록번호를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상 “실지명의” 로 인정하는 법령의 개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 ④ 상속인인 북한주민과 피상속인과의 혈연관계 입증과 관련하여는 실종아동법의 유전자 검사 제도를 도입하고, 유전정보를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 ⑤ 북한주민 재산관리 종료사유를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와 별도로 구체적으로 정하고, 북한주민이 스스로 재산을 관리할수 있게 된 경우 직접 사용⋅관리와 관련한 법률의 개정, 혹은 별도의 규정으로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재산관리인으로부터 북한주민으로 재산을 이전할 수 있도록 한뒤, 재산이전절차가 종료되면 북한주민, 재산관리인, 이해관계인, 검사 등의 청구에 따라 법원이 재산관리를 취소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법률 개정이 이루어지는 등의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각 제시하였다. 북한주민 재산관리제도는 남한의 재산이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인 북한당국에전용될 가능성을 막기 위한 정당한 입법목적이 있는 동시에, 북한주민 상속인의 재산권을 상당히 제한하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기존의 규정을 더 섬세히 정비하여 입법목적의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예상치 못한 분쟁을 대비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과학기술분야 법제 변화와 전망: 헌법과 과학기술법을 중심으로

        신유리 통일과북한법학회 2023 북한법연구 Vol.30 No.-

        북한은 체제수호와 경제발전을 강조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 강화를 대내외적으로 강조해왔다. 자력갱생과 민족자립경제의 기치를 올리면서도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극복을 위한 주요 동인으로 과학기술 부문의 발전을 전략적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인력 우대정책을 집중적으로 전개하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강화 국면에서도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첨단기술 축적과 이를 기반으로 한 경제발전을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은 이러한 전체적 목적을 당의 노선과 정책,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까지도 법률화의 형식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는김정일에 이은 김정은체제에서도 북한은 대내외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법제를 통해 꾸준히 정비하여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전협정 이후 70년간 북한의 과학기술정책의 주요변화와 특징을 배경으로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그간 북한의 과학기술법령의 내용과 특징을 북한 헌법과 과학기술분야에 기본법에 해당하는과학기술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에 따른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over the past seven decades following the armistice agreement. Emphasizing regime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has consistently highlighted the enh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espite its commitment to self-reliance and a selfsufficient national economy, the country has strategically place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entral driver in overcoming its significant economic challenges. This has involve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favor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xpertise, persisting in the face of increasing international sanctions. The paper delves into how North Korea aims to realize these overarching goals by institutionalizing the party’s directives and policies, along with the teachings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through legal means. This approach has continued under the Kim Jong-un regime, with a consistent effort to revise and adapt the legal framework to support both domestic and external policies. Accordingly, the paper explores the main changes and feature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in the backdrop of the post-armistice period. It provides an analysi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legisl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its constitution and the basic laws governing the field, focusing on the laws pertinent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projecting future prospects based on these legislative underpinnings.

      • KCI등재

        1948~2019년 북한의 사회복지 정책 변동에 대한 소고: 북한헌법을 중심으로

        이철수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licy changes by tracking social welfare-related clauses in North Korea's constitution. To achieve this, this research reviews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which has been amended ten tim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1948. The constitution is analyzed by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North Korea's position on social welfare changed significantly only between the first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second constitution of 197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fter that.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ason why North Korea hasn’t changed their social welfare policy for about 50 years and what the rationale is, and the background for it. In this paper, four reasons are considered. First, it is due to the basic nature of North Korea's concept of welfare, and the limitations rooted in the blind belief that their social welfare system is superior and complete. Second, expansion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constitution would imply acceptance that there is a flaw in their current constitution. However, ratifying an amendment would require acknowledgment of such a flaw by the North Korea regime itself, which they are unwilling to give. Third, extending from the second reason, the social welfare system is especially considered to be an achievement of the North Korean supreme leader, and changing the social welfare policy could be considered contradictory to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 of these policies. Fourth, as an extension of the third reason, North Korea’s constitution can only be changed by the leader or under the leader’s permission. It is therefore the leader's sole right to change or expand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constitution. Because of these reasons, North Korea has not been able to change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constitution in the years since 1972. 본 연구 목적은 북한의 헌법에 나타난 사회복지 정책 관련 내용을 추적하여 정책적 변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북한 정권수립부터 현재까지 모두 열 차례개정된 북한 헌법이다. 이는 시간적 범위로 1948년 정권수립 당시 최초 헌법부터 2019년현재 헌법까지를 의미한다. 본 연구방법은 북한 헌법을 문헌연구방법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은 최초 1948년 헌법에서 2차 헌법인 1972년 헌법 사이에서만 입장이크게 변화하였을 뿐, 그 이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북한이약 50년 동안 거의 동일한 입장을 왜 유지해왔느냐, 그러한 배경과 근거가 무엇이냐이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무엇보다 북한의 복지 인식과 프레임의 기본적인 속성과 그로 인한한계에 기인한다. 이는 북한이 갖는 국가사회복지체제의 완결성 혹은 우월성에 대한 맹신적 인식과 자세를 의미한다. 둘째, 북한의 입장에서 만약 체제 내의 복지확장을 시도할경우 기존의 한계를 일부 인정하고 시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는 반드시 북한체제 자체의 건설적이고 자정적 비판이 전제된다. 셋째, 두 번째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사회복지의 경우 무엇보다 북한은 통치자의 업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는 것은 기존과 현존하는 통치자에 대한 사실상의 도전행위이다. 넷째, 세 번째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헌법의 주요 내용은 종국에는 통치자만이 수정할수 있고, 통치자의 허락이 전제되는 것이 북한체제의 특징이다. 이러한 점에서 접근하면장기간 유지된 복지인식의 변화와 확장의 권한과 결정은 결국 통치권자의 고유권한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북한은 1972년 이후 지금까지 기존의 체체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최근 북한입법의 변화 분석

        류지성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unification policy under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 by observing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 meaning and content of certain aspects of recently enacted or revised North Korean laws. It was found that recent legislation in North Korea i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unique and special socialist rule of law state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ocialist countries.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power in North Korea, laws were influenced by Marxism-Leninism before gradually evolving into the Juche ideology from the late 1960s onward during the Kim Ilsung regime. During the mid-1990s under the Kim Jongil regime, North Korean law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litary-first ideology, which is a de facto emergency system. Furthermore, laws were frequently enacted by promoting law enactment project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in 2012, as the regime sought to “normalize the state” by revising the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2019. Therefore,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s legal system raise certain implications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of change in North Korea. As North Korea is in a special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al environment surrounding North Korea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changes in North Korea's legal system. In other words, to understand the ongoing changes in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one must understand that the North has no choice but to pursue a policy of self-reliance, regime protection, and internal control due to the sanctions imposed against it, the blockade due to COVID-19, and the breakdown of the North Korea-US talks on denuclearization (the “Hanoi Talks”).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when recent North Korean legislation is observed in this context. First, the legal system has been drastically reformed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Legislative trends related to maintenance of the regime include constitutional revisions designed to consolidate Kim Jongun’s regime, enactment of the Emergency Quarantine Act to cope with the COVID-19 crisis and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a national emergency quarantine system, and ideological control laws for the general population, such as the “law against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and the “Youth Cultural Guarantee Act”. Second, North Korea’s awarenes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hanging.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ighlights human rights issues, North Korea is 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ome extent while revising its internal legal system. For instance, changes can be observed in the duality of the North’s policies, that is, its arrangement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and its control of the people through sanctions and punishment. North Korea also aims to normalize the state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international order, considering its accession to the Ramsar Convention in 2018 and the CISG Convention in 2019. Third, a number of formal changes have made North Korean law similar to South Korean law. Previous North Korean laws did not comprise chapters, sections or articles, but contained many political declarations, resulting in low legislative density and normative power. Recently enacted laws, however, have distinctive chapters, articles and subheadings, and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their substantive and procedural content i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these changes have some positive aspects, many negative aspects can be pointed out. For example, actual operation of the law differs from the reality, a norms control system, which is the core of the rule of law, has not been prepared, and many laws have been enacted that can be regarded as opp... 이 논문은 최근 북한법률의 제⋅개정의 양상을 관찰하면서 그 의미와 내용을 통해북한사회의 변화상을 전망함으로서 남북교류협력과 우리헌법상 통일정책 수립에 관한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최근의 북한입법은 전통적인 사회주의 국가와도 다른 북한만의 독특하고 특수한사회주의법치국가를 형성해 나가고 있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북한법은 정권수립 초기 마르크스레닌주의(Marxism-Leninism)의 영향에서 김일성 정권기 1960년대 후반부터 주체사상으로 전화되었으며, 김정일 정권기인 1990년대 중반 이후는 사실상 비상체제인 선군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특히 201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주의헌법’의 개정을 통해 정상국가화를 지향하면서 적극적인 법제정사업을 통해 입법이 활성화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북한법제의 변화는 북한의 현재 실상과 추후 변화방향을 예측하는데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북한법제의 변화는 북한이 특수한 상황에 있는 만큼 북한을 둘러싼 특수한 환경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북한은 대북제재(Sanctions)와 COVID-19으로 인한 봉쇄, 비핵화에관한 북-미 회담(하노이회담)의 결렬에 따라 자력갱생과 체제수호, 내부단속을 도모할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법제변화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북한입법을 관찰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첫째, 체제유지에 관한 법제정비가 왕성하였다는 점이다. 헌법개정을 통한 김정은 집권의 공고화와 COVID-19에 대비한 비상방역법을 통한 국가비상방역체제로의 전환,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청년교약보장법 등 주민에 대한 사상통제 법률은 체제유지와 관련된 입법동향이다, 둘째, 국제사회에 대한 인식이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인권문제 지적에 대해 내부법제의 개선을 함과 동시에 여타 국제사회의 질서에 어느 정도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고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재와 처벌을 통한 주민단속을 하면서도 사회복지제도의 정비 등을 통한 양면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2018년에 람사르협약 가입, 2019년에 CISG협약 가입 등을 볼 때 국제질서에 편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상국가화를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법령의 형식적 변화로서 남한법과 유사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종전북한법은 장, 절, 조제목 등이 없었고 내용적으로도 정치적, 선언적 내용이 다수여서입법밀도가 낮고 규범력이 미약하였는데 최근 입법은 장, 절을 구분하고 조제목을 달고 있다. 내용적으로도 실체적이고 절차적인 내용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 관측된다. 이상의 변화는 일정 부분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하겠으나 법운용의 실상이 다소 다른 부분이 있고 법치주의의 핵인 규범통제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인권탄압으로볼 수 있는 법률제정이 왕성하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은 국가정책적 결단을 법률제⋅개정을 통해 내부결속을 다져나가면서 형식적 법치주의를 달성해 나가고 있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북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에 관한 고찰

        한명섭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7 No.-

        On December 4, 2020, North Korea adopted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Rejection Act’ at the 12th Plenary Meeting of the 14th Presidium of Standing Committee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Although the full text has not been obtained, the confirmed punishment rules mainly focus on severe punishment such as the death penalty for viewing and distributing cultural content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well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ornography.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there have been reports of cases of execution by firing squad by actually applying this law. Formally, North Korea can claim that this law restricts freedom of expression as a law for national security based on Article 19(3) of the ICCPR. However, if you look at the specific details, it restricts freedom of expression too broadly. In particular, the death penalty is a violation of Article 6(2) of the ICCPR. Even i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eased in the future, it will become a major obstacle to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inter-Korean social and cultural field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riticism and calls for improvement of this law should continue in order to promote the North Korean people's right to access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in-depth review and improvement of the domestic legal system related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including the so-called 'North Korea Flyer Prohibition Act', where various problems are pointed out not only in content but also in the legislative system 2020년 12월 4일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채택하였다. 전문이 입수되지는 않았지만 확인된 처벌 규정을 보면 남한과 미국 및 일본의 문화콘텐츠의 시청 및 유포, 음란물 제작 및 유포 등에 대해심한 경우 사형 등 강력한 처벌이 주된 내용이다. 법 제정 이후에 실제로 이 법을 적용하여 총살형을 집행한 사례 등이 보도되고 있다. 형식적으로 보면 북한은 이 법은 ‘자유권규약’ 제19조 제3항에 근거하여 국가안보를 위해 법률로써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제한하고 있다. 특히 사형에 처하도록 한 것은 ‘자유권규약’ 제6조 제2항에 대한 위반이다. 향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완화되더라도 남북한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협력에도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북한 주민의 정보접근권 증진을 위해 이 법에 대한국제사회의 비판과 개선촉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 북한 주민의 인권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내용뿐 아니라 입법 체계적으로도 여러 가지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이른바 ‘대북전단금지법’을 비롯하여 국내의 북한 인권 관련법체계에도 깊이 있는 검토와 개선이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북한을 채무자로 하는 추심금소송의 당부: 서울동부지방법원 2022.8.10. 선고 2021가합106706 판결을 통해서

        김태훈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Judgment on North Korea's capacity as a party in civil proceedings must be based on North Korea's dual statu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pecial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domain of norms acting as a partner for dialogue and cooperation, North Korea can be seen as an organization equivalent to a foreign country, so the capabilities of the parties can b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domain of norms that operate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North Korea is considered an unrecognized country, and its capabilities may be denied. At this time, in relation to whether North Korea can be recognized as a non-incorporated association under domestic law, the requirement for a corporation under the civil law, which is mainly reviewed by the target judgment, is suitable for a general organization that exists in Korea and lacks registration, but has the same corporate character. It is reasonable to evaluate whether an unapproved count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legal entity based on whether or not it meets the conditions for establishment of a country. According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contract for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the Inter-Korean Copyright Center, a copyright agency in South Korea, can be seen as a copyright agency brokerage business between “North Korean copyright holders” and “South Korean users.” And since North Korea's Copyright Office is not a copyright trustee, but only a copyright agent, it cannot be seen that North Korea has a copyright claim. However,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the royalties receivable belong to North Korea, such as ‘5. Chosun Central TV video production’ 민사소송상 북한의 당사자능력에 대한 판단은 남북한 특수관계론에 따른 북한의이중적 지위에 의거하여야 하며,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로서 활동하는 규범영역에서는외국에 준하는 단체로 보아 당사자능력을 인정할 수 있고, 반국가단체로서 활동하는규범영역에서는 미승인 국가에 해당하여 당사자능력이 부인될 수 있다. 이때 국내법상비법인사단으로서 당사자능력이 인정될 수 있는지와 관련, 대상 판결이 주로 검토하고있는 민법상 사단법인의 요건은 국가 내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단체로서 등기를 결하였으나 동일한 사단성을 구비한 경우에 적절한 것으로 미승인 국가의 사단성은 국가의성립요건 구비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저작물 이용 계약약관에 따르면, 남한의 저작권대리중개업자인 남북저작권센터는‘북한 저작권자’와 ‘대한민국 이용자’ 사이의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한다고 볼 수 있고, 북한 저작권사무국은 저작권신탁관리업자가 아니라 저작권대리중개업자에 불과하므로 북한이 저작물 사용료채권을 가진다고 볼 수 없다. 다만, ‘5. 조선중앙TV 영상제작물’과 같이 그 사용료채권이 북한에 귀속되는지 개별적인 판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 KCI등재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경제 관련 법령의 변화

        현두륜 통일과북한법학회 2023 북한법연구 Vol.29 No.-

        JAfter Kim Jong-il died in December 2011, his son Kim Jong-un implemented various economic reform measures to solve North Korea's economic problems, and accordingly,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North Korean economy-related law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economy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focusing on North Korean laws and regulat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Socialist Constitution in 1972,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been ‘socialist relations of production(national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independent national economy’, and ‘planned economy’, which have been maintained even after Kim Jong-un took power. However,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North Korea adopted a new method of economic management called the “socialist corporat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was also specified in the 2019 amended constitution. The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granted “actual management rights” to enterprises, and as a result, the autonomy of enterprises was greatly expanded. In particular, enterprises and farms were able to plan and produce on their own under the names of 'enterprise index' and 'farm index', respectively, and decide the price to sell, which i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can be said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much the socialist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can achieve in a situation where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enterprises are not separated.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economy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early days of Kim Jong-un's reign, and the results are being completed and organized through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From the time Kim Jong-un came to power until 2019, North Korean economy-related laws were mainly revis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management rights and autonomy of enterprises and farms. However, after 2020, it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trol over enterprises and society as a whole.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nomy of enterprises or private economic activities will shrink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hanges in North Korea's economy-related laws in the future. 김정일이 2011년 12월 사망하자, 그 아들 김정은은 북한의 경제문제 해결을 위하여여러 가지 경제개혁조치들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라 북한 경제 관련 법령에도 상당한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북한 법령을 중심으로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경제의 변화 모습과 그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1972년 사회주의헌법 제정 이후 북한 경제의 근본이념은 ‘사회주의적 생산관계(생산수단의 국유화)’와 ‘자립적 민족경제’, ‘계획경제’이고, 이는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계속 유지되고 있다. 다만,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경제관리방법에 있어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라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였고, 이는 2019년 개정 헌법에도 명시되었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사회주의적 소유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기업소에 ‘실제적인 경영권’을 부여하였고, 그 결과 기업소의 자율성이 대폭 확대되었다. 특히, 기업소와 농장은 각각 ‘기업소지표’와 ‘농장지표’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계획해서 생산하고, 그 가격을 결정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소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가 얼마나 기대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김정은 집권 초기부터 여러 가지 경제개선조치들이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는 관련법령의 개정을 통해 완성 및 정리되고 있다. 김정은 집권 이후부터 2019년까지 북한경제 관련 법령들은 주로 기업소와 농장의 경영권과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나, 2020년 이후에는 기업소와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그에 따라 향후 기업소의 자율성이나 사적인 경제활동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향후 북한의 경제 관련 법령의 변화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에 관한 헌법합치적 고찰: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분석을 중심으로

        박원연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Recently, South Korea has continuously encountered with issues derived from legal status of the North Korea refugees. Those North Korea refugees are basically entitled with the legal status under the Constitution and legal status under the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ct」 (hereinafter, the ‘North Korea Refugees Act’), and there are frequent confusions regarding the legal status of the North Korea refugees within the government, legal profession and academic circle in Korea due to the ambiguous legal definition of the North Korea refugee under the 「North Korea Refugees Act」, realistic difficulties to apply the same to the international law, and so forth. Therefore, under Article 2 of the 「North Korea Refugees Act」, a requirement of ‘a person who has applied for protec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be added to the requirements of a North Korea refugee for its definition, that a North Korea resident is vested with the fundamental entitlement as a person of the Republic of Korea pursuant to Article 3 of the Constitution, but in case of such a person is in an area (North Korea or foreign country during the process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whe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is not extended,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suspended, and in the case of the North Korea resident clearly indicating its intent to seek for protection to an oversea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like, it may render tentative conclusion to restore the legal status as a 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efinitions for the North Korea Refugees Act, a reasonable plan may be sought for enthusiastic protection for the North Korea refuge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decrease in diplomatic controversies 최근 대한민국은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로 파생된 문제들과 논란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기본적으로 북한주민의 헌법해석상 법적 지위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북한이탈주민법)상 법적 지위를 가지게 되는데, 위 법에 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정의가 모호하고, 국제법적 현실에 적용하기어려운 문제 등으로 인하여 대한민국 정부, 법조계, 학계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에 대한 혼동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위 법 제2조상 북한이탈주민의 요건에‘대한민국에 보호신청을 한 자’라는요건을 추가함으로써, 북한 주민은 기본적으로 헌법 제3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나, 헌법의 효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북한, 외국 등)에 있는 경우대한민국 국적효력이 정지되고, 대한민국 재외공관 등에 보호신청 의사를 명확히 표시한 경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회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법」상 정의규정을 수정⋅보충하여 대한민국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와 외교적 마찰 감소라는 합리적 방안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장애인보호법 체계와 과제: SDG-10. 국가 주체로서 인민대중의 권리 및 역할보장을 위한 지원방안

        이성희,최경원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7 No.-

        In this study, North Koreas SDG-10. It proposes support measures to guarantee the rights and roles of the masses as a state entity. In North Korea,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include the 「Disabled Persons Protection Act」, 「Social Security Act」, 「The Elderly Protection Act」, 「Ordinary Education Act」, 「Children Rights Guarantee Act」, 「Labor Act」, and 「Medical Act」. Analysis of the Rodong Sinmun, New Year's Address, and legal literature related to the disabled, which are North Korean nuclear sourc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ere conducted. North Korea adopted the Disabled Persons Protection Act in 2003 to ensure that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satisfactorily protected, and amended and supplemented in 2013. At the 6th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s National Periodic Review (UPR) working group submitted by North Korea, it was emphasized that they receive education and treatment, choose a profession according to their wishes and talents, and enjoy a cultural life with equal rights with others. did. However, a report submitted to the Working Group for Universal Periodic Review in 2009 warned against considering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is evaluated that North Korea's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very weak compared to South Korea's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Also, contrary to what North Korea reported on the implementation of SDG-10, the working hours and working age of the disabled were not obser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of the disabled was not carried out well and that they were not receiving adequate treatment. Therefore, in order to empower and promot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nclusion for all by 2030, it is necessary to first establish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facility for the disabled and provide various social services. Above all, in the context of limited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in North Korea, the UN has suggested that if North Korea requests it, it will support policy development a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at the macro level.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장애인보호법 및 2021년 발표한 자발적 국가검토 보고서, 장애인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북한의 SDG-10. 국가 주체로서 인민대중의 권리 및 역할보장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북한의 장애인 관련 법률은 장애자보호법, 사회보장법, 년로자보호법, 보통교육법, 아동권리보장법, 로동법, 의료법 등이 있다. 북한의 원전 자료인 노동신문, 신년사, 장애인 관련 법률 문헌 분석과 북한이탈주민들의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북한은 장애인 권리가 만족스럽게 보호되기 위해 2003년 장애자보호법을 채택했으며, 2013년에 수정⋅보완했다. 북한이 제출한 인권이사회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실무그룹 제6차 회기에서는 교육과 치료를 받고 자기의 희망과 재능에 따라 직업을선택하고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문화생활을 향유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2009년 보편적 정례검토 실무그룹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의 비준을 고려할 것을 경고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북한의 장애인보호법은 장애인 복지의 향상을 위한 법규의내용이 남한의 장애인복지법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고 평가된다. 또한 SDG-10 이행에대한 북한이 보고한 내용과 다르게 장애인들의 노동시간과 노동의 나이가 준수되지않았다. 또한 장애인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치료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03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사회적⋅경제적⋅정치적 포용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장애인을 위한 종합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여 다양한사회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정보 접근과 활용이 제한적인 북한의 상황에서 UN은 북한이 필요에 따라 요청할 경우 정책개발과 거시적 차원의 정보수집및 분석을 지원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남북 그린데탕트 추진을 위한 국내법제 정비 방안

        류지성 통일과북한법학회 2023 북한법연구 Vol.30 No.-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climate change crisi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strained North-South relations influenced by the US-China rivalry. It presents a plan for the domestic legal revision needed to facilitate thi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North and South Korea, where land and sea are interconnected, a joint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necessary, and such cooperation can be mutually beneficial. Additionally,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North Korea can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its residents, offering a humanitarian aspect and potentially not conflicting with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this regard, efforts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are necessary for both Koreas, and there is a considerable possibility that North Korea will respond to these efforts. According to reports submitted to the UN and others, environmental pollution in North Korea is at a serious level, and there is observed intent to seek international support for its resolution. This situation implies that the resolution of environmental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 at least be achieved within the framework of multilateral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roposed the “Green Detente” policy as part of its North Korea policy to address the problems arising from climate change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East Asia. The Green Detente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aims for unification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y enhancing mutual benefits through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sector, which is a non-political field. In a situation where political exchanges are difficult, environmental cooper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less burdensome as it can be conducted through local governments, private sector, or so-called 1.5 track exchanges. However, when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legislation for promoting the Green Detente as part of this policy, several limitations and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Firstly, our laws do not anticipate the divided situation and are not formulated to be applicable to North Korean areas. Nor is there a special law for the promotion of Green Detente. Even if there were such a law, it would not be simple to pre-emptively legislate for various unpredictable situations. Therefore, the most useful approach currently available is to create a legislative environ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Green Detente policy by revising laws, particularly those governing North-South relations and laws addres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A brief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which regulates all area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needs revision due to unnecessary and complex regulatory elements concerning environment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lack the foundation for research and study on North Korean areas and nearly lack provision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including plans for cooperation,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North Korean areas in the provisions for establishing basic plans in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Additionally, provisions relate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may be difficult to apply to bilateral cooperation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revision of domestic laws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respects the basic principles of unification under the constitution, does not harm North-South relations, prepares for unification, and complie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on environmental issues. 본 논문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위기와 미국-중국간의 대립에 영향을 받은남북관계의 경색국면 속에서 환경협력의 필요성과 유용함을 제기하면서 국내법적 정비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육지와 바다가 연결된 남북한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은 공동으로 할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협력은 상호간 공동의 이익이 될 수 있다. 또한 북한지역의 환경개선 사업은 북한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도적이며 국제사회의대북제재에도 저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환경분야의 협력을 위한 노력은남북한이 동시에 할 필요가 있고 북한도 이에 응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특히, 유엔 등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내 환경오염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있고이를 해소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구하는 의사도 관측된다. 이러한 상황은 남북간의 환경오염이 최소한 국제사회 다자간의 틀 속에서는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는 남북간 및 동아시아의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린데탕트”정책을 대북정책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그린데탕트는 비정치적 분야인환경분야에서 남북간 협력을 통해 상호이익을 증대해 나가면서 화해와 협력을 통해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정치적 분야에서의 교류가 쉽지 않은상황에서 환경협력은 지자체, 민간 또는 소위 1.5트랙의 교류를 통해서도 가능하여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서 그린데탕트를 추진하기 위한 국내 법제도는 어느정도로 정비되어 있는가를 살펴볼 때 적지 않은 한계점과 문제가 나타났다. 우선, 우리의 법률은 분단상황을 예정하지 않고 있어 북한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형태로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다. 그렇다고해서 그린데탕트 추진을 위한 특별법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특별법이 있다고 하여도 예측 불가한 다양한 상황을 미리 전제하여 제정하는 것도 간단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취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방안은 국내 법률 가운데 특히 남북관계를 규율하는 법률과 환경오염 및 재난에 대비하는 법률의 정비를 통해 그린데탕트 정책의 추진 환경을 입법적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남북교류협력법이 모든 분야의 남북간 교류협력사업을 규율하다보니 환경분야의 교류협력에 대한 사항에 불필요하고 복잡한 규제적 요소가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어 정비가 필요하다. 개별 환경관련 법률은 북한지역에 대한 조사나 연구의 기초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남북간 협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항이 거의부재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개별 환경분야의 법률에서 기본계획 수립 조항에 북한지역에 대한 협력과 조사, 연구에 대한 계획을 포함하도록 입법할 필요가 있다. 또한국제협력에 관한 조항을 마련하고 있는 경우 다자간이 아닌 남북한 양자간의 협력사안에 대해서는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를 지적한다. 이러한 국내법의 정비는큰 틀에서 볼 때 헌법상 통일에 관한 기본원칙을 준수하면서 남북관계를 해치지 않을것과 통일을 대비할 것 그리고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준수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