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 -

        현두륜 대한의료법학회 2014 의료법학 Vol.15 No.1

        Under the new system of 'Separation of pharmaceutical prescription and dispensing' in Korea, which was implemented in 2000, physician could not dispense a medicine, and outpatient should have a physician's prescription filled at a drugstore. After pharmacist makes up outpatient's prescript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pay for outpatient's medicine to pharmacist, except an outpatient's own medicine charge. And NHIS only pay for outpatient's prescription fee to physician and, physician doesn't derive profit from dispensing medicine in itself. Nevertheless, if physician writes out a prescription with violation of 'Criteria for the Medical Care Benefits', NHIS clawed back the payment of outpatient's prescription and medicine from the physician or the medical institution which the physician belongs to. In the past, NHIS's confiscation wa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Health Care Insurance Act, Article 52, Clause 1'. But, since 2006 when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there was no legal basis on the NHIS's confiscation of outpatient's medicine payment, NHIS had put in a claim for illegal prescriptions on the basis 'the Korean Civil law, Article 750(tort)'. So, Many medical institutions filed civil actions against NHIS. The key point of this actions was whether the issuing outpatient prescriptions with violations of Criteria for the Medical Care Benefits constitute of the law of tort. On this point, the first trial and the second trial took different position. Finally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the constitution of the law of tort in 2013. In this paper, the author will review critically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ider the relativeness between the legal effect of Criteria for the Medical Care Benefits and the constitution of the issuing outpatient prescriptions with violations of Criteria for the Medical Care Benefits as the law of tort.

      • KCI등재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현두륜,Hyun, Dooyoun 대한의료법학회 2017 의료법학 Vol.18 No.1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대법원이 처음 설명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인정하였고, 그 후 판례를 통해서 설명의무의 구체적 내용이 형성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의사의 설명의무는 헌법 제10조와 진료계약상의 의무에 근거하고 있고, 보건의료기본법 제12조 및 개별 법률에서도 설명의무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2016. 12. 20. 개정된 의료법 제24조의2에 설명의무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고, 개정 의료법은 2017. 6. 21.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개정 의료법에 따르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 의료행위는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수술, 수혈, 전신마취'이다. 이러한 의료행위를 할 때에는 반드시 사전에 법정사항이 기재된 서면으로 설명을 하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를 위반하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된다. 개정 의료법의 내용과 학설 및 판례를 통해서 인정되어 온 설명의무에 관한 기존 법리를 비교 검토해 보면, 양자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정의료법의 시행 이후에도, 기존 설명의무에 관한 법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일한 사안에서 설명의무 위반 여부에 관한 판단이 민사상 손해배상사건과 의료법 위반으로 인한 과태료처분사건에서 서로 달라지는 것은 법적 안정성이나 법질서 전체 통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개정 의료법상의 설명의무에 관한 내용을 기존 법리에 맞게 수정하거나 독일의 경우와 같이 진료계약의 내용에 포함시켜 민법에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first admitted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breach of informed consent in 1979. From then on, specific details of informed consent are shaping up and developing through court precedents. The duty of informed consent of doctor is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nd medical contract, and is expressly prescribed Article 12 of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nd other acts and regulations. By the way, the regulations about duty of informed consent of doctor have been established in Medical Law revised on December 20, 2016, and the revised Medical Law will be implemented on June 21, 2017. According to the revised Medical Law, medical practices subject to description and consent are operation, blood transfusion and general anesthesia that threaten to cause serious harm to human life or to the body. When performing these medical activities, the written consent must be explained and agreed upon in advance. If a doctor violates the law, he will incur fines of less than 3 million won. Comparing and viewing the revised Medical Law and existing legal principles about the duty of informed consent,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rties. Accordingly,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medical law, the existing legal principles are unlikely to be affect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uniformity and stability, it is undesirable that legal judgments on the same issues differ from each other. The revised Medical Law about informed consent needs to be reformed according to existing legal principles. And, as in the case of Germany,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matters concerning informed consent in the civil code.

      • KCI등재후보

        북한법상 손해배상의 방법

        현두륜 법무부 2019 統一과 法律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North Korean law on how to compensate for damages and compare it with South Korean law. There are two ways to compensate for damages,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ate' and ‘compensation for damages(or monetary compensation)'. South Korean civil law puts monetary compensation first. However, in the event that there is a different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or there is a special provision in the law,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ate' may be requested. However, North Korean civil law differs in form and content from South Korean civil law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Civil Code, the primary remedy for property infringement is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ate', and the second remedy is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there are two ways to compensate for damages:a method to compensate with the same kind of object and a method to compensate with money. In cases where there is no consensus among the parties, monetary compensation is the principle. The reason that North Korea civil law gives priority to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ate' rather than ‘compensation for damages' is to protect victims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손해배상의 방법에 관한 북한법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남한의 법리와 비교하는 것이다. 손해배상의 방법에는 원상회복과 금전배상이 있다. 남한 민법에 따르면,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 발생시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제390조, 제750조). 그리고 민법 제394조는 손해배상의 방법으로 금전배상을 원칙으로 하고, 이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도 준용된다(제763조). 다만, 당사자 사이에 다른 의사표시가 있거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원상회복 청구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통설은 남한 민법이 손해배상의 방법에 있어서 금전배상주의를 채택하였다고 본다. 반면, 북한 민법에는 남한 민법 제394조에 해당하는 규정이 존재하지 않고, 대신 북한 민법은 민사책임의 형태를 여러 가지로 열거하면서 민사책임의 발생원인에 따라 민사책임 형태를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법상 ‘원상복구(원상회복)’는 손해배상의 방법 으로서의 금전배상에 대응하는 개념이 아니라, ‘손해보상(손해배상)’과는 독립된 별개의 구제수단이다. 그러한 점에서 북한법이 손해배상의 방법에 관하여 원상회복주의를 채택하였는 지, 금전배상주의를 채택하였는지 논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북한 민법에 따르면, 재산침해에 대한 1차적인 구제수단은 ‘원상복구’이고, 원상복구가 불가능한 경우의 2차적인 구제수단이 ‘손해보상’이다. 손해보상의 방법에는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으로 보상하는 방법(대물보상)과 금전으로 보상하는 방법(금전보상)이 있는데(북한 민법 제247조), 당사자 사이에 합의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전보상이 원칙이다(북한 손해보 상법 제55조). 북한법이 손해보상보다는 원상복구를 우선하는 이유는, 피해자 구제에 있어서 원상복구가 손해보상보다는 훨씬 더 철저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경제 관련 법령의 변화

        현두륜 통일과북한법학회 2023 북한법연구 Vol.29 No.-

        JAfter Kim Jong-il died in December 2011, his son Kim Jong-un implemented various economic reform measures to solve North Korea's economic problems, and accordingly,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North Korean economy-related law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economy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focusing on North Korean laws and regulat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Socialist Constitution in 1972,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been ‘socialist relations of production(national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independent national economy’, and ‘planned economy’, which have been maintained even after Kim Jong-un took power. However,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North Korea adopted a new method of economic management called the “socialist corporat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was also specified in the 2019 amended constitution. The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granted “actual management rights” to enterprises, and as a result, the autonomy of enterprises was greatly expanded. In particular, enterprises and farms were able to plan and produce on their own under the names of 'enterprise index' and 'farm index', respectively, and decide the price to sell, which i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can be said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much the socialist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can achieve in a situation where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enterprises are not separated.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economy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early days of Kim Jong-un's reign, and the results are being completed and organized through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From the time Kim Jong-un came to power until 2019, North Korean economy-related laws were mainly revis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management rights and autonomy of enterprises and farms. However, after 2020, it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trol over enterprises and society as a whole.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onomy of enterprises or private economic activities will shrink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hanges in North Korea's economy-related laws in the future. 김정일이 2011년 12월 사망하자, 그 아들 김정은은 북한의 경제문제 해결을 위하여여러 가지 경제개혁조치들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라 북한 경제 관련 법령에도 상당한변화가 발생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북한 법령을 중심으로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경제의 변화 모습과 그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1972년 사회주의헌법 제정 이후 북한 경제의 근본이념은 ‘사회주의적 생산관계(생산수단의 국유화)’와 ‘자립적 민족경제’, ‘계획경제’이고, 이는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계속 유지되고 있다. 다만,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경제관리방법에 있어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라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였고, 이는 2019년 개정 헌법에도 명시되었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사회주의적 소유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기업소에 ‘실제적인 경영권’을 부여하였고, 그 결과 기업소의 자율성이 대폭 확대되었다. 특히, 기업소와 농장은 각각 ‘기업소지표’와 ‘농장지표’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계획해서 생산하고, 그 가격을 결정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소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가 얼마나 기대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김정은 집권 초기부터 여러 가지 경제개선조치들이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는 관련법령의 개정을 통해 완성 및 정리되고 있다. 김정은 집권 이후부터 2019년까지 북한경제 관련 법령들은 주로 기업소와 농장의 경영권과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나, 2020년 이후에는 기업소와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그에 따라 향후 기업소의 자율성이나 사적인 경제활동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향후 북한의 경제 관련 법령의 변화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규제와 그 문제점

        현두륜 대한의료법학회 2022 의료법학 Vol.23 No.1

        원격의료와 관련해서, 우리나라 의료법은 제17조 및 제17조의2와 제34조 규정을 두고 있다. 의료법 제17조 및 제17조의2의 ‘직접 진찰’은 ‘대면 진찰’이 아니라 ‘스스로 진찰’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위 규정은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규정으로 보기는 어렵다. 진찰의 개념이나 ‘대면진료의 원칙’만으로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다만, ‘진찰’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대면진찰을 대체할 정도의 충실성이 담보되어야 하므로, 전화를 통한 부실한 진찰 후 진단서나 처방전 등을 발급하는 행위는 의료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보면, 위 규정이 원격의료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는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통설은 제34조를 근거로 의료인과 환자 간 원격의료는 전면 금지된다고 해석하고 있으며, 최근 대법원은 환자의 요청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원격의료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2002년 의료법에 원격의료 규정이 도입될 당시의 입법의도와 상당한 거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의 요구나 외국의 입법추세와도 맞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는, 원격의료 규정이 잘못 입법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입법의 전제가 잘못되었고, 입법의 기술이나 체계, 그 내용에도 상당한 문제가 있다. 그 결과 당초 입법의도와는 달리 원격의료가 전면 금지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말았다. 외국에서도 원격의료를 전면금지하고 이에 대해서 형사처벌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원격의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법 제34조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성과와 과제

        현두륜,Hyun, Doo-Yoon 대한의료법학회 2013 의료법학 Vol.14 No.1

        After several bills for the reasonable medical dispute resolution had been proposed for over twenty years, "Act on Remedy for Damage from Medical Accident and Medical Dispute Mediation" was eventually enacted on April 7, 2011 and came into effect from April 8, 2012. This study evaluates the achievements and results of the past year, suggesting the future improvements or tasks. The main issue of Act on Medical Dispute Mediation is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Therefore, the success of the Act depends on the outcomes of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Although the Act has been enforced for only one year, this paper examines the outcomes of the Agency with limited materials for its development.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was established for rapid, fair, and effective medical dispute resolution. Thus,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s of the Agency is based on the 1) rapidness, 2) fairness, and 3) effectiveness of the dispute resolution. To sum up, the system earned positive evaluations as for the rapidness and fairness, but some problems were indicate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As the system of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in Korea has no parallel in the world, other countries show many interests in it. The rapid and fair medical dispute resolution is of benefit in both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es and decreases social costs. As the Act had a difficult passage through Parliament, it should be maintained and improved continuously.

      • KCI등재

        북한 기업소의 조직과 지배구조

        현두륜 법무부 2024 統一과 法律 Vol.- No.57

        북한의 기업소는 법적으로는 법인으로서 그 설립자와는 독립된 별개의 권리주체이지만, 사회적으로는 국가의 경제계획을 실천하는 도구이자 소속 종업원들의 생활조건을 보장해야 하는 사회보장기관이면서, 정치적으로는 조선로동당의 하부조직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생산수단의 사유화를 인정하지 아니하는 북한 사회에서 사영기업은 존재하지 아니하고, 모든 기업소는국가나 사회협동단체만이 설립할 수 있다. 기업소 설립 후의 조직변경이나 해산, 폐지 등도 모두해당 기업소조직기관이 결정할 사항일 뿐, 기업소에게는 그에 관한 권한이 없다. 북한에서는 국가의 중앙집권적 계획에 따라 모든 경제활동이 진행되므로, 기업소의 경영 역시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실시 이후 기업소의 경영권이 많이 확대되었지만, 북한의 기업소에는 영업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고, 경영권이라는 것도 국가로부터 부여받은제한된 권한에 불과하다. 북한 기업소는 독립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지 아니하므로, 기업소에 대한 통제 역시 내부적 통제보다는 외부적 통제가 중요하다. 외부적 통제는 국가에 의한 통제와 당에 의한 통제로 나눌 수있다. 국가에 의한 통제는 ‘지도’, ‘보고’, ‘감독통제’의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국가의 지나친 통제로 인하여 기업소의 자율성이 침해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당이 모든 국가 활동을 영도하는 북한에서는 당에 의한 통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당에 의한 기업소 통제는 ‘행정대행’ 등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고, 이는 결국 경영의 악화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북한 기업소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경영활동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국가나 당에 의한 외부의 지나친 통제를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사례와 같이 기업소의 소유권과 경영권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North Korea’s enterprises are legally corporations and are independent entities with rights independent of their founders, but socially they are tools for implementing the state’s economic plan and social security institutions that must guarante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ir employees, and politically they perform functions and roles as a subordinate organiz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North Korean society, which does not recognize the privat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there are no private enterprises, and all enterprises can only be established by the state or social cooperatives. Organizational changes, dissolution, and aboli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an enterprise are all matters to be decided by the organization concerned, and the enterprise has no authority over them. In North Korea, all econom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tate’s centralized plan, so the management of the enterprise is also subject to considerable restrictions. Although the management rights of enterprises have been greatly expand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ist Corporat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freedom of business is not guaranteed for enterprises in North Korea, and management rights are only limited powers granted by the state. Since North Korean enterprises are not guaranteed independence and autonomy, external control is also more important than internal control. External control can be divided into state control and party (‘Chosun Workers’ Party’) control. Control by the state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guidance’, ‘reporting’, and ‘supervisory control’,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autonomy of the enterprise will be violated due to excessive control by the state. In North Korea, where the party leads all state activities, control by the party is also very important. However, control of enterprises by the party causes many side effects, which inevitably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management of enterprises. In order to guarantee the autonomy of North Korean enterprises and normalize managemen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reduce excessive external control by the state or party and, in the long run, separate ownership and management rights of enterprises, as in the case of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