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多重文化와 社會的 正體性

        薛光石 東亞大學校 社會科學大學 2004 사회과학논집 Vol.23 No.1

        여기서 다중문화란 일반적으로 모든 에스닉 집단이 그들이 가진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사회에 평등하게 참가하여 통합을 지향함을 말한다. 현재까지는 한국사회가 문화적 다양성을 전체사회의 통합에 장애가 되는 것으로 무시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세계화 내지 세계사회는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문화적 차이의 유지와 전체사회의 통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함께 지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급속한 세계화의 진전, 인터넷의 확장,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급증, 고속통신망을 중심으로하는 네티즌의 성장은 다중문화적 환경을 현실적인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있다. 따라서 국가정책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 다중문화적 환경하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공식적 또는 공식적으로 인정함으로써 국민 개개인의 아이덴티티의 안정감이 타자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을 타파하여 사회적 통합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긍정적인 사람은 타인의 아이덴티티에 대해서도 긍정적이고 이질적인 사람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 경향도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시점에서는 다중문화적 환경의 인정 또는 조장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갖는 양면성을 가진다. 긍정적인 면은 다양성의 수용이라는 가치전환을 통해 국가의 상징적 질서를 재구축하여 다양한 소수문화집단의 사회적 지위를 상승시킴으로써 다수 대 소수, 소수 대 정부의 관계를 새롭고 발전적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국가나 전체사회는 그 이념과 정책 양면에서 보다 보편주의적인 내용으로 발전할 수 있다. 부정적인 면은 다중문화적 환경이 사회를 세분화시켜 전체사회의 통합에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주장도 가능하다. 그리고 지나친 문화적 이질성의 허용은 사회적 아이덴티티에 혼란을 초래하여 소수문화를 반문화로 취급하려는 주류문화의 반발을 야기하여 편견과 차별의 토양을 확대할 수도 있다. 장단점이 여하하든 다중문화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정체성의 확립이 필요하다. 소위 World Wide Web을 통한 네티즌들의 무한 교류와 더불어 세계시장 참여와 역할이 기대되는 중국이나 구소련의 각 공화국들이나 그 밖의 아시아의 각국으로부터의 이주민은 출신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식할 것이므로, 자본주의 시장이 세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오늘날의 세계에서 문화적 다양성의 용인은 국가의 이익증대에도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在这里所谓的多重文化一般指所有的种族集团,即使在他们拥有的文化差异之中,也向往平等參勻与整个社会的一体化。事实上,至今在韩国社会认为文化的多样性会阻時整个社会一体化,而被忽视。但是, 世界化乃至世界社会要求的志向是积极容纳多样性,使维持文化差异与整个社会一体化的双重目的。 以急速世界化进展、因特网的扩大、外国芳动者的激增、高速通讯网为中心的网民增长,是以现实性的认可多重文化环境为前提的。因此,不管是国家政策还是社会认识也都要正式或非正式的认可多重文化环境的文化性差异,促使国民个人本身的稳定感打破对其他人的歧视或偏见达到社会一体化。因为积极对待自身特性的人对他人的特性也会积极肯定,所以对不同种族人的偏贝也会少一些。 但是, 目前认可或滋长多重文化环境会同时具有肯定和否定的双重性。 肯定的一面是通过转变容纳多样性的价值, 重新构筑国家秩序提高少数文化集团的社会地位,使多数对少数,少数对政府的美系走向新的发展。而且为造应社会变化,国家或整个社会可以在其理念及政策两个方面中发展普遍主义的內容。否定的一面有可能会主张多重文化环境会把社会细分化阻碍整个社会的一体化。而且过分容纳文化异廣性会导致社会特性的混乱,引起把少数文化当作反文化的主流文化的反抗而扩大偏见及歧视的领域。 不管优点虎和缺点如何,都需要确定适应多重文化环境的新的社会正体性。因为与所谓謂的通过World Wide Web的网民的无限交流一起,可待參与世界市場及作用的中国或者|日苏联的各共和国,及其之外从亚洲各国移居的移民会移植原本国家的语言和文化, 所以在资本主义市场向世界扩大的当今世界, 容忍文化的多样性有益于增加国家利益。

      • 중국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규완 東亞大學校 社會科學大學 2004 사회과학논집 Vol.23 No.1

        이 연구는 한국의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과 중국의 강소성 사회과학원과의 학술교류에 맞추어 연구자의 1995년 연구와 2002년 연구의 결과를 중국을 중심으로 재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의 개선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1993년10월부터 1994년 3월까지 6개월 간 한국에서 집행된 TV광고(796개)와 신문광고(5단x37cm 이상, 4,768개) 전체를 대상으로 광고에 사용된 국가이미지 요소를 분석한 결과, 중국이미지는 신문광고 8개와 TV광고 2개에서 이용되었다. 이는 미국(250), 영국(68개), 프랑스(59개), 이탈리아(44개), 일본(44개), 독일(34개), 스위스 (18개) 다음이었다. 2001년에 한국의 서울 소재대학에 재학중인 3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나타난 중국의 국가이미지는 ‘강대국이지만 개발도상국’ 이라는 것이었다. 상품이미지는 ‘값은 싸지만 낙후된 기술로 만든 상품’ 이라는 것이었다. 한국인이 갖고 있는 중국의 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는 견고하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 안정적 이미지가 아니라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의 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중국상품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本论文是配合韩国东亚大学社会科学大学和中国江苏省社会科学院的学术交流, 把研究者1995年及2000年的研究结果以中国为中心再次分析后,提出的国家形象和商品印象的改善战略。 以在韩国1993年10月至1994年3月执行的为期6个月的全部电视广告(796个)及手报纸广告(5段x37cm以上, 4, 768个)为研究对象,分析用在广告上的国家形象要素的结果,中国形象在报纸广告上使用了8个,在电视广告上使用了2个。排在了美国(250) ,英国(68个) ,法国(59个) ,意大利(44个) ,日本(44个) ,德国(34个) ,瑞士(18个)之后。2001年在韩国汉城所在大学的就读生中, 以300名为对象調查研究的过场中体现出中国的国家形象是 ‘虽然是强国,但还是发展中国家,。商品印象是‘价格虽然便宜, 但是, 是用落后技术生产的商品’。 韩国人的印象中, 中国国家形象及商品印象虽然牢固, 但可以说, 这不是在多方形成的稳定形象或印象。为此, 为改善中国的国家形象和商品印象,需要提供多种多样的有美中国商品的信息。

      • 한·일 FTA 추진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

        홍정숙 東亞大學校 社會科學大學 2007 사회과학논집 Vol.26 No.1

        오늘날 세계경제질서의 흐름은 WTO출범에 따른 세계화(globalization)와 경제 블록화 현상 인 지역주의 (region alism) 가 동시에 확산되고 있다. 세계화는 WTO의 출범과 함께 무국경경제가 이뤄지면서 가속화 되었으며, 지역 주의 는 1990년대 이후 주요국별로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증대되면서 점차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역주의와 관련해서 주요 국가들은 경쟁적으로 인근지역이나 상호보완적인 국가와 지역 경제 통합(regional economic integration)을 추진해서 경제적 이득을 얻으려 하고 있다. 주요국들은 다른 국가와 무역 · 투자 분야 에서 상호협력을 하여 경제적 이익을 높이는 것이 무한 경쟁시대에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WTO의 다자체제를 통해서는 성과를 기대할 수 없는 일부 국가들이 효율적인 협상을 통해 동태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고자 지역경제통합의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즉 다자주의에서는 협상타결 자체가 불투명하지만 소수의 국가들이 맺는 상호협정은 협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등 여러 면 에서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경제 통합은 지역·국가에 따라 추진 방법이나 시기는 차이가 있으나 추구 하는 목적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지역경제통합의 최근 사례는 1993년에 출범된 유럽연합(EU), 1994년에 출범한 북미 자유무역협정 (NAFTA), 1989년에 출범한 아시아 · 태평양 경제협력체 (APEC), 1996년에 출범한 아시아 · 유럽회의 (ASEM)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NAFTA는 전 미주를 포함하는 미주자유 무역지대 (FTAA)로, EU는 서유럽 중심에서 동유럽을 포함하는 거대유럽으로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본은 국제경쟁사회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2002년 싱가포르와 FTA(free trade agreement)를 체결한 이후, 한국 및 아세안과 ITA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1998년 10월에 한 · 일 정상회담에서 자유무역협정 (FTA) 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이후 공식적인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나 실증적 인 검증이 부족하여 확실한 대안을 갖고 협상을 진행시키지 못하고 있고, FTA의 경제적 효과를 노리는 양 국간 입장 차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일본상품에 대한 전면 개방이 무역수지 불균형 확대를 초래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의견도 많아 급속한 추진에 어려움 을 겪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 이다. 이는 FTA 체결로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짐은 물론 국내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잉 투자·중복투자의 조정, 경영 효율화 등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한·일 FTA를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간주하고, 추진방향 및 설정,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의 기반조성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