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우정한 ( Jeonghan W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3

        2000년대 초반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가 국내에 소개된 이후, 해당 주제에 대한 특수교육 학계의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의문점은 여전하다. 이에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가 적용된 학습지도안 분석을 통해 실질적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4편의 선행연구에서 7건의 학습지도안을 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2.0에 따라 분석한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대상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일반학급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지도안에는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 원리 적용 정도가 그리고 통합교육 장면을 고려한 학습지도안에는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 제공 원리의 적용 정도가 높았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개념을 기본교육과정에까지 확장한 학습지도안에는 다양한 방식의 표상을 제공하는 원리와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수단을 제공하는 원리가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UDL을 위한 31개의 세부 지침 중 공통교육과정 및 기본교육과정 적용 학습지도안에 실질적으로 반영되어 있는 것은 13개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진일보된 연구를 위해 현실적인 학습지도안 구안 및 실증적 자료의 축적에 대해 제언하였다. Since the early 2000s,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ntroduced in the country, has a interest in special education academics on the topic is increasing gradually. Despite the necessity of UDL for inclusive education activation, questions about field application possibilities are still remain. In this study, analysis for lesson plan which written after textbook study, learners study and purpos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site of UD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only very limited principles and guide lines applied. Second, educational authority guarante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e general students, compensation aspects of the disorder puts more weight. Third, Some subjects, such as art class and music class have been applied to the center. In the discus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looked at the ways to improve the field applicability of activation of UDL. Finall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applying the principle of UDL. However, it will be necessarily reflected due to the theoretical validity. so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strive to be recognized and utilized in a more positive application of UDL.

      • KCI등재

        UDL 기반 멀티미디어 단어인지 프로그램이 읽기곤란학생의 단어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문경아 ( Moon Kyungah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초등학교 저학년 때 단어인지에 어려움이 있는 읽기곤란학생들은 이러한 어려움이 누적되어 결과적으로 읽기 학습에서 실패와 좌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에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읽기곤란학생의 단어인지 지도를 위해 다양한 교육적 요구의 학생에게 교육적 참여와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와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에 기반한 단어인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초등학교 읽기곤란학생에게 적용하여 단어인지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2학년 읽기곤란학생 3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 중 대상자간 중 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단어인지 프로그램을 총 21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읽기발달 단계 및 읽기곤란학생의 단어인지 특성에 기초하여 UDL과 멀티미디어를 적용하여 21회기의 단어인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읽기곤란학생의 단어인지능력이 향상되었고, 그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단어인지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UDL 기반 멀티미디어 단어인지 프로그램은 읽기곤란학생의 단어인지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Purpose] Students with word recognition difficulty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need early intervention, because these difficulties are accumulated and students are likely to experience failure and frustration in reading.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media-based word recognition program that integrates a variety of forms of information wit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o enable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access to students with diverse educational needs for teaching word recognition to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he second purpose is to se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by applying this to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Method] A total of 21 sessions of word recognition programs were conducted for thre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First, based on the reading development stage and the wor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we developed 21 sessions of word recognition program using UDL and multimedia. Second, as intervention progressed, word recognition ability of students was improved. [Conclusion] The UDL-based multimedia word recogni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word recogni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음운인식 프로그램이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의 음운인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은선 ( Shin Eunsun ),우정한 ( Woo Jeonghan ),김용욱 ( Kim Yong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3

        [목적] 다문화학생의 경우 가정환경의 영향으로 구어 및 음운인식이 부족하여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교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읽기를 위해 기본적인 능력인 음운인식능력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의 음운인식능력의 향상을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음운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에게 적용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읽기곤란학생 2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 중 대상자간 중 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음운인식 프로그램을 총 15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음운인식 발달단계와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의 음운인식 특성에 기초하여 UDL을 적용하여 15회기의 음운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5개 영역은 자음·모음 읽기, 음절 인식, 음절체-종성 인식, 초성-각운 인식 및 음소 인식이다. 둘째,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다문화 읽기장애학생의 음운인식능력이 향상되었고, 그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음운인식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UDL 기반 음운인식 프로그램은 다문화 읽기곤란학생의 음운인식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Purpose] Multicultura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reading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spoken language and phonological system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family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phonological awareness for read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school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apply it to multicultura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o se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 A total of 15 sessions of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were applied to two multicultura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First, based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development stage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15 sessions of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using UDL was developed. The five areas of the program are reading consonants and vowels, syllable recognition, body-coda recognition, onset-rhyme recognition, and phoneme recognition. Second, as intervention progresse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students was improved. [Conclusion] The UDL-based phonological awarenes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 KCI등재

        장애학생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동규 ( Kim Dongkyu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해 장애학생에게 SW교육을 직접 실행하는 특수교사의 SW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방식을 통해 특수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χ<sup>2</sup>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학생의 SW교육 목적, 영역 및 배경지식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SW교육 지도역량 구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 SW교육, AI교육 및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SW교육이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진로탐색 및 사회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 SW교육에서 교육과정의 편성, 교사연수 및 정책적 지원은 비교적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SW교육 운영, 난이도 및 자료 개발·보급에서는 보통 또는 부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SW교육 요구에서는 SW교육 자료 개발·보급 및 교사의 지도역량 강화가 필요하였고, SW교육 실시는 정보통신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교과전담교사가 지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해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effective SW education.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an online method.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χ<sup>2</sup>-tests.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urpose, domain, and background knowledge of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generally high, but the teachers' ability to teach SW education was somewhat low.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W education, AI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it was perceived that SW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ICT abilities, career search and socia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the SW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policy support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appropriate, but the general or negative perception was high in SW education operation, difficulty, and development·distribution of materials. Second, regarding the needs for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ment·distribution of SW education materials and teaching competency are required and it was perceived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he SW education to be conducted by a teacher in charge of the ICT subject. [Conclusion] For effective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

        이학준 ( Lee¸ Hakjun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 특수교육에서 진행된 코로나19 학술지 논문 17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는 비대면, 비접촉, 사회적 거리 두기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연구 대상은 특수교사와 장애 학생이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는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그 외는 인식 및 실태, 시사점 순이다. 셋째,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가 다른 연구 방법보다 많았다. 향후 연구과제는 온라인수업 인식 및 실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정책적 지원 등이다. [결론] 특수교육에서 코로나19 연구현황 분석은 특수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된다. 현재 특수교육 분야에서 절실한 고민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일 것이다. 그 방법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special education had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non-contact, and social distancing. Most of the studies are related to online classes, while others are related to a variety of different top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nd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ost urgent task is to ensure effective classes for all special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This is a problem that all relevant partie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must solv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