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위한 문화예술의 역할:문화예술의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추민희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3

        연구목적: 코로나19 대유행은 우리에게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문화예술분야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방안을 위한 문화예술의 역할을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해봄으로써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활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국외 사례 연구를 통해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위한 문화예술의 역할의 의의를 5가지로 파악하였다. ① 문화예술은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의 보호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② 문화예술은 기후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 ③ 활동주의 문화예술교육은 기후 문제에대한 인식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④ 문화예술은 사회문제에 직면했을 때 시각 및청각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⑤ 문화예술은 협력과 네트워킹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더욱 강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첫째, 기후행동에 대한 대중의 참여는 가장 우선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둘째, 하이브리드 접근방법인 다양한 학문영역의 통합과 협업은 문화예술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위한 문제 해결의 중요한 열쇠이다. 셋째, 지속가능한 협력네트워크는 문화예술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은 꼭 필요하고, 사회적 책임으로서 문화예술의 역할은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has given us an opportunity to increas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recognize the need for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in the cultural field.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by analyzing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in climate change response through case studies centered on social responsibilit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s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ultural arts, and examined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through international case studies. Result: As a result, we identified fiv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① Culture and art can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otection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② Culture and art can be an important medium for raising awareness of climate issues. ③ Activist cultural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rais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sues. ④ When faced with social issues, arts and culture can help solve problems visually and audibly. ⑤ Culture and the arts can be seen to strengthen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cooperation and networking. Based on the above, we have suggested way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Conclusion: First, public participation in climate action should be a priority. Seco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a hybrid approach, is an important key to problem-solving for climate change responses in the cultural sector. Third, sustainable collaborative networks can enhance climate change responses in the arts. The study concludes that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arts is necessary and that the role of the arts as a social responsibility is a significant one.

      • KCI등재후보

        뉴 미디어, 비대면 시대의 공연예술의 대응과 과제

        이인숙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1

        Purpose: This study looked at the present of performing arts in modern society based on the transition and demand of more specific and realistic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performing arts in the era of non-face-to-fac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apidly changing performance art consumption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cultural phenomeno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study that draws conclusions by examining the present of performing culture and performing ar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preceding research, which serv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crises of the current performing arts. Result: As for the problems facing the performing arts, the maintenance of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the practical problems, and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sumption method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tasks of performing arts, the tasks of art education, and the new creation and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visual age should be made, and finally, the direction of response to the new media untact era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issue. Conclusion: The tasks facing the performing arts are, first, how the performing arts will respond to rapid social changes, Second, the problem of fostering new talent and converting th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isting experts, Third, it is a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visu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of cultural consumption. In addition, as a countermeasure to these tasks, diversification of school education improvement methods,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chnology, establishment of re-education system for existing artists or related experts, improvement of support policies of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appropriate new paradigm cited suppor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이라는 시대적 환경에서 공연예술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인식의 전환과 요구를 기반으로 현대사회에서의 공연예술의 현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빠르게 변화는 공연예술소비환경과 현시대의 문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헌 연구 및 기존선행연구를 통해 공연문화 및 공연 예술의 현재를 살펴보고 현재 공연예술의 특성, 문제점, 위기 등을 파악하여결론을 도출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고유성과 특수성의 유지 및 현실적 문제와 소비 방식의 변화에 따른 문제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공연예술의 과제와 예술교육의 과제, 영상시대 공연예술의 새로운 창작과 제작이 이루어져야 하며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언텍트 시대에의 대응 방향도 중요 쟁점으로 논의되었다. 결론: 공연예술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로는 첫째, 공연예술이 급격한 사회변화에 어떻게 대응해 갈 것인지, 둘째, 새로운 인재양성과 기존의 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시스템 및 방식의 전환문제, 셋째, 영상정보기술의 발달과문화소비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장에 대한 대응이다. 또한 이러한 과제의 대응방안으로 학교교육의 개선 방식의다양화 기술과 교육콘텐츠의 구비, 기존 예술인이나 관련전문가를 위한 재교육 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부, 기업, 공공기관의 지원정책의 개선 및 새로운 패러다임에 합당한 지원을 꼽았다.

      • 무형유산 경기검무의 문화콘텐츠 적용과 활용 고찰

        이주영 ( Lee Joo Young ),배소연 ( Bae So You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2 국제문화예술 Vol.3 No.2

        연구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무형문화재인 경기검무의 무형유산의 가치에 기반 해 문화콘텐츠 적용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 및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무형문화재인 경기검무의 당대적 가치가 반영된 문화콘텐츠 적용과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무형유산의 의의와 경기검무의 특징을 진단한다. 경기검무의 문화콘텐츠 적용과 활용을 위해 세 가지 축을 상정한 후, 다음의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 고유성 기반 경기검무 문화콘텐츠 방안으로는 정례화된 경기검무 페스티벌 개최다. 둘째, 민족 대표성 기반 경기검무 문화콘텐츠 방안은 검무 콘텐츠 플랫폼 조성과 운영이다. 셋째, 예술 전승성 기반 경기검무 문화콘텐츠 방안으로는 21세기 무형유산 경기검무 문화콘텐츠로의 다각적 적용이다. 결론: 무형유산 경기검무는 문화원형의 고유성, 전통춤이 지닌 내재성이 다양한 플랫폼과의 접목을 통해 적용과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to apply and utilize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value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Gyeonggi Geommu,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isting previous studies, it seeks ways to apply and utilize cultural contents that reflect the contemporary value of Gyeonggi Geommu,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o this end,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heri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gi sword dance are diagnosed. After estimating the three axes for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of Gyeonggi sword da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Result: First, the Gyeonggi Gummu Cultural Contents plan based on regional uniqueness is the regular Gyeonggi Gummu Festival. Second, the Gyeonggi Geommu cultural contents plan based on national representation is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Geommu contents platform. Third, as a cultural contents plan for Gyeonggi sword dance based on art transmission, it is a multi-faceted application as a cultural contents for Gyeonggi sword dance, an intangible heritage of the 21st century.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queness of the cultural circle and the inherentness of traditional dance can be applied and utilize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various platforms.

      • 한국축제의 속성에 관한 연구

        이원미 ( Lee Won Mee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0 국제문화예술 Vol.1 No.2

        축제는 축하하여 벌이는 잔치로서의 행위와 어떤 의례를 위해 행하는 기능을 함께 지니고 있는 지역의 행사로 매 해 900여개 정도의 축제가 한국에서 개최된다. 축제는 제의적 가치, 경제적 가치, 고유성의 가치, 역사적 가치, 관광의 가치, 문화 예술적 가치 그리고 지역이미지 개선의 가치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축제의 효과는 관광, 혹은 관광개발효과를 주요인으로 한 사회, 경제, 문화, 환경적 효과 측면으로 범주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축제 공화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한국에서의 축제는 비슷하게 또는 다양하게 범람하다보니 정부에서는 지역축제의 통폐합과정을 거쳐 특화된 축제를 ‘문화관광축제’로 지정하여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축제’ 중 선행 연구된 연구물을 바탕으로 축제의 보편적인 속성을 밝혀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벌리는 축제의 속성으로는 예술성, 관광성,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 지역성, 일탈성, 놀이성, 체험성, 지형 자연성, 활동 재미성, 이벤트성, 고유성, 차별성 등이 있다. The festival is a local event that has the function of a celebration as a feast and for certain ceremonies. About 900 festivals are held in Korea every year. It can be seen that festivals have ceremonial value, economic value, value of uniqueness, historical value, value of tourism, value of culture and art, and value of improving local imag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the festival is categorized in terms of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effects with tourism or tourism development effects as the main factors. Festivals in Korea are similarly or diversely inundated, so they are called festival republics, so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specialized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festivals” through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regional festivals to provide economic support.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universal properties of festivals based on previous studies among the’Cultural Tourism Festiva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tributes of festivals held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e artistry, tourism, culture, economics, sociality, locality, deviation, playability, experience, topographical nature, activity fun, events, uniqueness, and discrimination.

      • KCI등재후보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관점에서 본 축제 연구

        김민희,박미영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1

        Purpose: This study is a thesis that philosophically examines the Dionysian in Nietzsche’s book The Birth of Tragedy in connection with the festival. Metho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estival and Nietzsche’s Dionysian was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two artistic impulses of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were analyzed for the specific elements of freedom, intoxication, and deviation in the festival. Result: Nietzsche’s Dionysian art shown in festivals is first, the festivals appear in the physiological aspect of the body’s vitality and ecstasy. Nietzsche’s ideas stand out. Second, the festival is Dionysian in which order and individualization are destroyed based on freedom based on Nietzsche’s philosophy. Thus, the destruction of individuation is characteristic of a natural and free festival in which particularity is universalized. Third, in the festival, a series of actions to dream of deviation and to enjoy life like play through the ego hidden behind a mask were variously integrated into culture and emotion. Conclusion: The Dionysian as Nietzsche’s fundamental existence in the Greek tragedy festival is a festival as a great play to enjoy, understand, and affirm human life and realize the wisdom of tragedy. The festival is an art in which the mythical prototype is melted, and the festival of Dionysus remembers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the world and puts human nature into the festival to erupt and resolve it. Nietzsche’s Dionysian philosophy of art found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 art, and in conclusion, festivals, as Nietzsche’s Dionysian art, have maintained their true existentialist cultural arts.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니체의 저서 비극의 탄생에 나타난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축제와 연관하여 철학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 및 기존 선행연구물을 통해 축제와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고,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두 예술 충동이 축제에서 자유, 도취, 일탈의 구체적 발현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축제에 나타난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예술은 첫째, 축제는 몸이 가지는 생명력과 황홀경의 생리학적 측면에서 나타나는데, 최고의 경지에 이르는 망아(忘我) 상태는 삶의 고통을 이겨내기 위한 힘의 의지로서 니체의 사상이 두드러진다. 둘째, 축제는 니체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 자유를 바탕으로 질서와 개별화가 파괴된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다. 따라서 개별화의 파괴는 특수성이 보편화된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축제의 특징이다. 셋째, 축제는 가면 속에 가려진 자아를 통해 일탈을 꿈꾸고 놀이처럼 삶을 즐기고자 하는 일련의 모든 행동들이 문화, 감성 등으로 다양하게 융합되었다. 결론: 그리스 비극축제에 나타난 니체의 근원적 존재로서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인간 삶을 즐기고 이해하고 긍정하며 비극의 지혜를 깨닫는 훌륭한 놀이로서의 축제이다. 축제는 신화적 원형이 녹아 있는 예술이며, 디오니소스 축제는 세계의 생성과 소멸을 기억하고 인간 본연의 모습을 축제에 담아 분출하고 해소하고 있었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예술철학은 인간 실존에 대한 문제를 예술에서 찾았으며, 결론적으로축제 역시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예술로서 진정한 실존주의적 문화예술의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 노인의 건강한 제3기 인생을 위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 연구

        이연정 ( Lee Yeon Jeong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2 국제문화예술 Vol.3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노인에게 건강한 제3기 인생에서 성공적 노후를 경험할 수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춤의 요소를 활용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 및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해 연구 절차는 분석 - 설계 - 개발로 이루어졌다. 분석 단계에서는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의 목표와 목적 설정을 위해 문헌 연구 및 기존 선행연구물을 통해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과 방향, 활동적 노인의 학습욕구,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무용교육의 대표적인 교육 모형을 살펴보았다. 설계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의 1회기 구조, 단계별 구조, 차시별 구성 적용 원리를 설계하였다. 이후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의 세부구조를 중심으로 전문가 3인의 자문 및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을 진행하여 최종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회기 구조를 설정하기 위해 무용교육 분야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1회기 구성 단계는 ‘준비하기’, ‘이해하기’, ‘창작하기’, ‘통합하기’로 구성하였고, 세부 구성 단계별 목적은 웰니스의 요인과 한국춤의 교육 요소를 활용하였다. 둘째, 한국춤 프로그램 단계별 구조는 노화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노년기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바라본 본 Ryff(1989)의 ‘성공적 노화’ 통합모델을 적용하였고, 단계별 목적에 따라 주요 웰니스 의미 요인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셋째,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의 세부구조를 위해 한국춤의 교육 요소인 상ㆍ하체동작과 호흡을 중심으로 한국춤의 특징인 맺고·어르고·풀기, 태극구조, 서사구조, 신명을 활용하여 신체활동 안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은 노인의 삶을 ‘어떻게’ 의미 있게 채울 수 있을까에 대한 관점으로 접근하여 문헌분석과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실제 적용 효과 검증을 시행하지 못하였기에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이 건강한 제3기 인생과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udy a model of a Korean dance program that utilizes elements of Korean dance for the elderly to experience successful old age in a healthy third period.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ance program model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nalysis-design-development. In the analysis stage, the goal and purpose of the Korean dance program model were se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e design stage, the structure of one session of the Korean dance program model, the structure of each stage, and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of composition by session were design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tails of the designed Korean dance program model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and review by three experts to develop the final Korean dance program model. Resul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orean dance program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stablish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the first session composition stages consisted of ‘preparation’, ‘understanding’, ‘creation’, and ‘integration’. Second, the components of Ryff’s (1989) ‘successful aging’ integrated model were applied to the step-by-step purpose. In addition, sub-factors of well-being were applied to construct mea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stage. Third, the educational elements of Korean d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were utilized and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concrete exampl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rogram models. Through this, it was structured so that participants could naturally express their stori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 This study was developed centering on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group ver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dance program model. However, since the actual application effect has not been verified, it suggest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program model for the elderly needs follow-up research on the effect verification.

      • 문화 다양성의 관점에서 본 프랑스 홀드백 논쟁

        이수원 ( Rhee Souewo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2 국제문화예술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9년 말 코로나19 발발 이래 칸영화제가 정상화된 2022년 5월까지 프랑스에서 벌어진 미디어 홀드백 논쟁의 추이와 2022년 개정 현황, 그리고 프랑스 홀드백 고유의 특징들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극장영화 정책에 대한 실마리를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주된 방법론인 문헌조사법에 따라 국내외로 구분하여 프랑스 및 국내 홀드백 관련 저서, 논문, 정부자료, 학술사이트 등에서 자료를 수집·작성하였다. 연구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극장상영 및 영화문화 다양성 정책에 대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계와 TV, OTT 등 여러 플랫폼들 간 협약으로 결정되는 프랑스 홀드백은 일단 발효되면 법적 강제성을 띠며, 자국 내 모든 영화시청각 종사자와 기업들에 강력한 구속력을 갖는다. 둘째 TV, 특히 Canal+의 프랑스(및 유럽) 영화 투자가 홀드백의 근간을 이루며 투자 규모가 큰 플랫폼이 상대적으로 짧은 홀드백을 적용받고 서비스비용도 높게 책정 가능하다. 2022년부터는 새 홀드백 제도에 따라 넷플릭스 같은 SVOD도 프랑스 영화에 투자한다. 셋째 프랑스 정부가 영화지원정책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고 영화계와 소통하는 전통을 고수한다. 결론: 문화 다양성의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프랑스 홀드백의 강점들을 국내 상황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극장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와 위상 정립을 전제로 한 로컬화된 대안 모색이 바람직하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French holdback including its essential changes from the outbreak of Covid19 at the end of 2019 till the normalization of Cannes Film Festival in May 2022. Methods: Main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reside in literature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Result: According to the lately revised holdback, Netflix and other SVOD are obliged to invest in French(European) film production. Here are some key points of the French holdback for Korean film policy implications : based on the accord between film industry and different windows, French holdback, once in effect, is legally guaranteed and applied to all film & audiovisual enterprises obtaining profits in national territory ; historically it has been based on the investments of TV channels, especially Canal+, in film industry, while from 2022 it will also attract investments from Netflix and other OTT platforms. Also, more amount platforms invest, shorter holdback and higher service charge they can have ; French government negotiates actively with national film industry representatives. Conclusion: In case of application of French holdback’s strengths to Korea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it would be preferable to establish the status of public goods of film theaters before exploring localized alternatives.

      •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공연기획 고찰

        김민희 ( Kim Min-hee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2 국제문화예술 Vol.3 No.2

        연구목적: 최근 문화예술계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뜨거운 이슈는 ‘메타버스(metaverse)’다. 코로나 19의 재확산이 길어지면서 활동에 제약이 생기자 현실을 가상세계로 확장하려는 열망과 맞물리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메타버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공연기획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공연기획자들은 온라인 콘텐츠 제작에 비중을 둔 메타버스 환경을 이해하고 메타버스 시대에 가능한 가상, 확장 현실을 적용하여 공연예술기획에 대한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나서야 한다.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시간과 장소의 여행이 가능한 매력적인 메타버스 공간은 공연자와 관객, 설계자와 참여자들에 의해 채워지며 확장해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현시점과 적용예시, 그리고 메타버스 시대 공연기획의 유익성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향후 메타버스 시대 공연기획의 방향에 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펜데믹 이전의 공연기획 양상과 펜데믹 이후의 공연기획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ASF의 메타버스 유형 분류에 근거한 공연기획의 사례를 살펴본 후 메타버스 시대의 공연기획 장단점을 살펴보기 위한 문헌연구이다. 연구결과: 메타버스 속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적절한 플랫폼을 선정하여 관객의 요구를 맞추고 관객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선정하여 제공하고, 시·공간이 자유로운 메타버스의 장점을 살려 새로운 공연기획을 제작, 유통해야 할 필요성 확인했다. 메타버스 콘텐츠를 연구하는 공연기획자만이 새로운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실력을 겸비하여 콘텐츠 개발에 힘쓰며 기술 매체를 잘 사용하는 기획자는 미래 예술 기획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결론: 클래식 공연기획을 메타버스 가상세계나 확장세계와 접목하는 데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미 체험 중심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실감형 콘텐츠들이 예술과 접목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재미있는 콘텐츠 개발과 함께 실력을 겸비하고 그 속에서도 예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수준 높은 공연기획을 한다면 메타버스 시대에서도 클래식 공연은 절대 도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변화에 민감한 MZ 세대의 관심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지자체와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공연자들의 실력, 기획자들의 신선한 콘텐츠가 어우러진다면 메타버스 시대에서 클래식의 가치는 더욱 빛날 것이다. Purpose: A hot issue in all fields, including the culture and art world, is the ‘metave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red while engaging with the desire to expand the reality into the virtual world as activities were restricted due to the prolonged re-proliferation of the pendemic and Corona 19. As the metaverse era arrives, performance planning also needs to change. Performance planners must understand the metaverse environment, which focuses on online content production, and develop new contents for performing arts planning by applying virtual and extended reality possible in the metaverse era. The attractive metaverse space, where travel in various times and places is possibl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can be filled and expanded by performers, audiences, designers and participa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point of the metaverse, examples of its application, and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performance planning in the metaverse era, and to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performance planning in the metaverse era. Methods: A literature study to examine the aspects of performance planning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nd to examine the pros and cons of performance planning based on ASF’s metaverse classification. Result: Selecting an appropriate platform to create an environment in the metaverse, selecting and providing cont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audience and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and producing a new performance plan by taking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the metaverse that is free in time and space. confirmed the need to distribute. Only performance planners who study metaverse contents can survive in the new era, and planners who have both skills and strive to develop contents and use technology media well can have important values in future art planning. Conclusion: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combining classical performance planning with the metaverse virtual world or extended world. However, not only experience-oriented contents but also realistic contents are already making various attempts by combining them with art. Classical performances will never be weeded out even in the metaverse era, if you combine your skills with interesting content development and plan high-level performances that can increase the value of art even in that situation. In addition, the MZ generation, who is sensitive to change, will be able to have an interest. If the continuous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the talent of performers, and the fresh content of planners go hand in hand, the value of classical music will shine even more in the metaverse era.

      • KCI등재후보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다현,김계수,김은희,유은희,전다솜,한채정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aged 20 to 64, analyze their correlations, and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body type percep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aged 20 to 65 living in Korea.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surveyed from May 26 to June 22, 2022,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410 people, targeting 393 of these respondents, excluding 17 who did not respond faithfully.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 First, the study's finding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weight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tudy's age,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wa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the average of the entire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is 3.73, which requires weight control (M=3.87), affects weight control in the environment, and is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be overweight. There is a change in weight M=3.62. The average was high in ord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age was the highest in their 40s (M=3.59), 50s, 20s, 30s, and 60s (M=3.14),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ir 60s was the lowest (F=3.259, p<.05). Third,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and quality of life are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r=. 537, p<.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Fourth, as a result of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on the quality of life, it can be seen that R = 0.289 explains the regression model at 28.9% of the total variation. Conclusion: Althoug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varies somewhat depending on the age of adult women. Trying to control weight more distortedly recognizes one's actual execu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quality of life decreases and the stress experience rate is high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 body type. Accordingly, in order to confirm the right body im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orted socio-cultural atmosphere for skinny body preferences was improved and the right perception of one's body type was need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64세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주관적 체형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조사 연구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국내에 거주중인 20세 부터 64세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5월 26일부터 6월 22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총 41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들 응답자 중 불성실한 응답자 17명을 제외한 3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결혼상태, 최종학력, 직업, 월 소득에 따른 주관적 체중 인식의 차이는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주관적 체중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주관적 체중 인식 전체의 평균은 3.73으로 체중조절이 필요(M=3.87)하다, 환경에 체중 조절에 영향을 준다, 체중조절에 관심이 많다, 체중이 비만이다, 체중의 변화가 (M=3.62)있다,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은 40대(M=3.59), 50대, 20대, 30대, 60대(M=3.14) 순으로 40대의 삶의 질이 가장 높았고, 60대의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F=3.259, p<.05). 셋째, 주관적 체중 인식과 삶의 질은 주관적 체중 인식(r=. 537, p<.001)과 매우 높은 수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주관적 체중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한 결과, =0.289로 전체 변동의 28.9%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연구의 결론은 성인여성의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체중조절을 더 시도하는 것은 자신의 실제 체형을 왜곡 인식하여 체형에 불만족에 따른 삶의 질 하락, 스트레스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올바른 신체상을 확립하기 위해선 마른 몸매 선호에 대한 왜곡된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개선하고 자신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한국무용 전공자의 진로결정요인과 직업 무용수의 작품활동 지속요인 탐색

        고신영 ( Ko Sin-young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1 국제문화예술 Vol.2 No.2

        이 연구는 한국무용 전공자와 직업 무용수의 진로 결정요인과 작품활동 지속적인 요인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대학을 졸업한 한국무용 전공자 5명, 현재 직업무용수로 활동 중인 5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무용 전공자들의 진로 결정요인에는 1개의 구성요인 중 총 3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직업 무용수의 작품활동 지속요인에는 1개의 구성요인 중 총 3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자들 진로결정요인 대한 연구 결과 미래지향적 요인, 둘째, 멘토의 영향, 셋째, 춤 스타일 및 개인성향에 따른 결정요인이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인생 설계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수립하지 않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직업무용수의 경우 지속적인 작품활동 요인으로 첫째, 자생력을 위한 환경적 지원, 둘째, 예술가로서의 성장이나 자기만족, 셋째, 중견무용가로서의 책임감 등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terminants of Korean dance majors and professional dancers and the factors that continued their artistic activities. Accordingly,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5 currently active as professional danc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it was concluded that the career determinants of Korean dance majors consisted of 3 sub-components out of 1 component, and 3 sub-components of 1 component were included in the continuation factor of professional dancers’ artistic activities. A conclusion was drawn from the factor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career determinants of Korean dance majors, it was found that future-oriented factors, second, mentor’s influence, third, and determinant factors according to dance style and personal orientation affect career paths.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y did not plan their life in a systematic, long-term view. In the case of professional dancers, the factors for continuous artistic activity are: First, environmental support for self-reliance; Second, growth or self-satisfaction as an artist. Third, it was derived from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middle-class d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