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및 관련요인
박의수(Park, Eui-Soo),신은숙(Shin, Eun-Sook),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대전광역시 D공단에 소재하고 있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한국판 PSQI를 사용한 수면의 질 평가 등이었다. 연구 결과,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 전체 조사대상자의 32.0%는 수면의 질이 좋은 것으로, 68.0%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모델에 의한 조사대상자의 수면의 질(PSQI) 수준은 기혼군일수록,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비흡연군, 음주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군 및 커피를 음용하는 군, 생산직 근로자, 주당 근무시간이 길수록, 질병으로 인한 결근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외래진료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유의하 게 낮았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직업관련 특성이 추가됨으로 해서 13.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PSQI에 의한 수면의 질에 직업관련 특성이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fewer than 50 memb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856 male workers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11. The survey items included the 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job-related, and quality of sleep. As a result,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PSQI of the study subjects revealed 32.0% to be good and 68.0% to be poor. The quality of sleep assess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arried group, those with lower BMI, and those with a low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status, non-smoking, alcohol drinking, without regular exercise, coffee drinking, blue color, had a longer of working hours,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and had a history of hospitalization. With the above model, the job characteristics had 13.1% explanatory power.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sleep (PSQI) has more power when combined with the job characteristics.
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교과지식의 특성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문제를 역사적․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근원과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인식론적 관점이란 인간형성의 핵심을 이루는 교육의 내용 즉,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 그리고 그것이 삶과 어떻게 연관되느냐 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자는 것이다. 교과를 구성하는 지식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지식의 유형과 현대의 개념들 즉, 권위적 지식, 규범적 지식,경험적 지식, 합리적 지식, 형식지와 암묵지, 방법적 지식, 과정적 지식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과 지식의 성격과 교육방법 및 인식과 실천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원시 및 고대, 유교적 전통사회, 개화기, 광복 이후의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연구 결과 원시와 고대의 교육은 주로 암묵적 지식에 의존했고 앎과 삶, 교육과 생활이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유교적 전통교육의 기본 교과는 규범적․권위적 지식으로 인식과 실천, 지와 행이 통합되고 조화된 전일적 인격 형성을 이상으로 추구했으나, 과거제도가 정착되면서 인식과 실천이 유리되었다. 서구의 합리적․경험적 교과가 유입되는 개화기에는 서구적 근대교육과 유교적 전통 교육이 병행되는 과도기였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교육은 급격히 사라지게 되었다. 해방 후 서구의 과학적 교과가 도입되었으나 유교적 규범적 교과를 교육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교육이 진행되었고, 시험위주의 교육이 확산되면서 합리적․경험적 지식조차도 교육현장에서는 권위적 지식으로 둔갑하여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의 분리는 인성교육은 물론 지식교육의 부실을 가져왔다. 이는 결국 교육력의 약화를 초래하여 지식사회의 교육 경쟁을 약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으로 귀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ssential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education. In order to that it took a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problems. Epistemological approach means to study abou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of curriculum, it took the traditional types of knowledge and some modern concepts of knowledge. And in order to historical approach, the historical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following; ①primitive education depended on tacit knowledge and education integrated with knowledge and knowing, and living was united. ②Confucian education period was depended on normative․authoritative knowledge and the integration of knowing and living was important but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recruit system with examination they were separated. ③The third period was transitional period. ④After liberation the education depended on rational․empirical knowledge but it was accepted as authoritative knowledge in the Korean classroom. The result of study found that knowing and living were originally one thing but they have divided into two and moreover knowledge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character education. So not only the knowledge education couldn't help the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the knowledge education itself became ineffective and fruitless.
박의수(Ui-Su Park),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D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5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우울수준을 종속변수로, 관련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변수들 간의 단변량 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및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수준은 개인적인 속성,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이 나타날 위험비는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높은 군에 비해 낮은 군에서, 자기존중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통제신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스트레스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유무,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개인적인 속성,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46 college students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30th, 2015. Univariat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then conducted using depression symptom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other relevant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subject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personal attributes, family life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s well as health 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risk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er group than the higher group of family and friends social support, the lower group than the higher group of self-esteem, the lower group than the higher group of locus of control, and in the high risk stress group than the normal stress group.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symptoms included religion, social support from family,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terpersonal dependency, locus of control, and stres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dicating that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is related to diverse elements inclu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from family/friends, interpersonal dependency, locus of control, and stress. Depression symptom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social support from family or friends, low psycholog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low, and when stress is high.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reduce them to decrease depres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박의수 ( Ui-su Park ),유관종 ( Kwan-jong Y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의 불안정으로 발생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부분 연결 문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황정보와 개인 취향 정보, 사무 환경 정보들을 지능적으로 취합, 상황분석, 및 관리하는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한 상황정보 추론을 위하여 온톨로지 기반 상황인식 구조인 상황인식 추론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상공간에 대한 구조를 정의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로 일반적인 상황인식 메커니즘을 제공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가상공간에서 상황인식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복잡성을 줄여 확장성을 갖게 되었다.
박의수 ( Ui-su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네트워크 상황정보와 개인취향정보, 사무환경정보들을 지능적으로 취합, 상황 분석 및 관리하는 서비스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정보의 규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확장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한 상황정보 추론을 위하여 가상공간에 대한 구조를 정의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로 상황인식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복잡성을 줄이고 확장성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구현하여 내부코드 변화 없이 컴포넌트의 수정으로 확장성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