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에 묘사된 카인 컴플렉스의 양상과 전개: 『카인과 아벨』을 중심으로

        김혜경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3 동화와 번역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형제 갈등을 묘사하고 있는 동화 중 『카인과 아벨』을 중심으로, 형제 갈등의 원인을 선과 악과 같이 피상적으로 대비되는 극단적 인격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형제간에 시기심과 질투심을 나타내는 카인 컴플렉스(Cain complex)라는 심리 현상에 집중하여 고찰해 보았다. 형제, 자매간 무의식적으로 적대감과 경쟁심을 품는 인물들의 심층적인 의식을 이해해 보고,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적 차원을 넘어 등장인물이 보이는 행동의 심리적 원인을 추적해 보았다. 카인 컴플렉스의 원인은 상실감과 상대적 박탈감에서 비롯한 불안과 공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상태에서 형제는 부모의 사랑을 놓고 경쟁 관계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해 필연적인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카인의 적대감은 자신 안에 깊이 뿌리내린 열등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형제자매 갈등의 해결은 갈등 해결 과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통해 보다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인 콤플렉스를 묘사한 동화의 예들을 통해, 표면적 행동의 심리적 근원을 찾고 그 과정을 통해 등장인물이 직면하고 행동해 나가는 문제의 본질과 해결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동화를 통해 카인 콤플렉스와 같은 심리 현상으로 나타나는 행동유형을 교육적으로 어떻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지를 고려해 보는 것도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place the cause of sibling conflict embodied in fairy tales in the superficial contrast between good and evil, but to focus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known as the 'Cain complex', which manifests as feelings of envy and jealousy between siblings. To explore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depiction of sibling conflict in Cain and Abel and compared it with other fairy tales, including Joseph and the Twelve Brothers to examine the aspects and solutions of sibling conflict.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deep-rooted consciousness of characters who harbor unconscious hostility and competition toward their siblings. The cause of the Cain Complex can be attributed to anxiety and fear stemming from a sense of loss and relative deprivation. In this psychological state, siblings find themselves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for parental love, resulting in inevitable conflicts. In Cain and Abel, Cain's hostility can also be seen as originating from an unconscious sense of inferiority deeply rooted within him. Resolving sibling conflic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desirable members of society through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flict resolution processes.

      • KCI등재

        아동문학가 최상옥의 삶과 문학세계

        이동순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Choi Sang-ok was an unknown children's book writer, and published the collection of children's songs Choi Sang-ok’s Collection of Children's Songs and story book collection Heart of Seeding Flower. As a children's educator and child culture activist, he wrote fairy tales, songs, and plays. His songs consisted mainly of works reflecting the purity of children and his fairy tales consisted predominantly of educational pieces such as narratives of suffering and hope after war. His plays, children's operas and stories were performed on stage and are cheerful and bright with musical and dance elements. He also worked hard to advocate for children's education. He acted as a counselo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local children through a column on the subject of children's education and the series Children's Counseling. He also established a Children's Charter Tower in Gwangju Park, and founded the Jeonnam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Group to organize local children's book writers, thereby influencing the promotion of creative activities such as children's songs and fairy tales. Choi Sang-ok was a children's book writer, children's educator, and a child culture activist. He also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local children's literature in Gwangju Jeonnam. Therefore, his literary achievements should be reflected not only in regional Gwangju Jeonnam children's literature, but also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s a whole. The work of finding the material that could not be confirm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and the study of individual works should be further examined in the future. 최상옥은 알려지지 않았던 아동문학가로 동요집 최상옥동요집과 동화집 꽃씨 뿌리는 마음을 냈다. 어린이 교육자로 아동문화운동가이도 했던 그는 동화, 동요, 동극 등을 썼다. 그의 동요는 동심의 순수성을 반영한 작품이 주를 이루었고, 동화는 전쟁 후 고난극복과 희망의 서사가 주를 이룬 교훈성 짙은 작품이 주를 이룬다. 동극과 어린이 오페라와 동화극은 모두 무대에 상연되었고, 음악적인 요소와 율동을 넣어 명랑하고 밝은 분위기의 작품이다. 그는 어린이 교육에도 힘썼는데 아동교육을 주제로 한 칼럼과 「어린이 상담」 39편 등을 통해 지역 어린이들의 고충을 해결해 주는 상담자 역할뿐만 아니라 광주공원에 「어린이 헌장탑」을 세우고, 전남아동문학연구회를 창립하여 지역 아동문학가들을 조직화하여 동요와 동화 등 창작활동 활성화하는 데도 영향을 주었다. 최상옥은 아동문학가이자 어린이 교육자로, 아동문화운동가 광주전남 지역아동문학 형성에 구심점이었던 만큼 광주전남 지역아동문학사 뿐만 아니라 한국아동문학사에서도 문학적 성과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확인할 수 없었던 자료를 찾아내는 작업과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는 향후의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영화 <어바웃 타임>에 나타난 담화표지 번역 양상 분석 및 번역 대안 제시 - ‘well’ 과 ‘you know‘를 중심으로

        우경조 ( Woo Kyongjo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8 No.-

        본 연구는 구어체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담화표지가 언어적 표현이며 지시적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담화 차원에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영어와 한국어 양 언어에서 다양한 차원의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양 언어 간의 번역 상황에서 담화표지의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2013년 개봉된 영화 <어바웃 타임>의 대사에서 다양한 담화표지의 사용에 대해 분석하고, 그 중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주인공의 성향을 드러내는 주요 표지로 작용한 ‘well’과 ‘you know’를 중심으로 한국어 자막에서 이들 담화표지가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이전의 담화 표지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로멘틱 코미디인 본 영화에서 다양한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well’의 경우 주로 문두에서 출현했으며, ‘머뭇거림’의 표지로 가장 많이 기능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담화표지의 사용은 주인공의 성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한 시공간의 제약, 텍스트적 맥락 및 시청각적 맥락을 고려하여 생략된 담화표지 번역에 대한 대안 제시를 시도했다. This case study analyzes that discourse markers are linguistic expressions, frequently observed in the spoken language, which do not have a propositional meaning but carries a new meaning at the discourse level.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discourse markers in various dimensions both in English and Korean, bu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ir transl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s of diverse discourse markers in the lines of the movie About time(2013) and analyze how they are translated in the subtitle, focusing on ‘well’ and ‘you know’ which are the two most frequently spotted discourse markers in the movie script and at the same time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monstrating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verse discourse markers were found in the lines of this romantic comedy movie and similar with previous research on discourse marker translation, most of the discourse makers were omitted in translation and the most frequent discourse marker ‘well’ mainly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a sentence and most frequently served as a ‘hesitator,’ which showed the usage of discourse marker can be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 This study also attempts to provide translation alternatives to discourse markers that are omitted in translation in consideration of textual and audiovisual contexts as well as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 KCI등재

        아동문학의 다시쓰기와 번역 - 에리히 캐스트너의 「돈키호테」와 「허풍선이 남작」을 중심으로

        최경인,김희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3 동화와 번역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독일어 원작과 스페인어 원작이 독일 작가에 의해 아동문학으로 개작되어 한국어로 번역되는 이중의 과정을 거친 사례를 원작과 번역문의 대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에리히 캐스트너의 선집 에리히 캐스트너가 다시 쓴 옛이야기 에 포함된 두 편의 작품 에리히 캐스트너가 다시 쓴 옛이야기 – 돈키호테 와 에리히 캐스트너가 다시 쓴 옛이야기 – 허풍선이 남작 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시쓰기 과정과 번역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시쓰기 과정에서는 작품 분량의 축소, 본문 구성의 변화, 삽화 추가, 아동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느낌표, 물음표 등의 문장부호 사용이 다수 관찰되었다. 한편, 아동문학으로 개작된 뒤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는 원문에는 없는 역주 추가, 원작의 언어와는 다른 독일어식 발음 표기, 의성어·의태어의 풍부한 사용, 속담의 사용 및 두운을 통한 리듬의 형성, 아동 독자를 염두에 둔 다양한 문장 종결어미의 처리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성인문학의 아동문학으로의 개작, 및 그의 번역을 다룬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번역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that emerge during the rewriting and translation process of Don Quijote by Erich Kästner and Baron Munchausen by Erich Kästner. Analysis revealed that through rewriting, the works differed from their original versions, as evidenced by reductions, changes in composition, addition of illustrations, and use of punctuation mark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observations included the addition of translator’s footnotes, pronunciation of Spanish names in the German way, the use of onomatopoeia, proverbs, and alliter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adaptation of adult literature into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translation, an area with limited research. These new endeavors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상호문화 감수성 교육 방안 연구 -유학생 대상의 플립드 러닝 방식을 중심으로-

        고경민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The biggest charm of education in use of fairy tales is that this facilitates many different variations in educational values. A fairy tale is a sufficiently worthy genre itself, and this is highly effective and useful too, as a medium of i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teaching plan for enhanc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 importance of flipped learning-based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is to enhanc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learners and help them discover and accept diversity of foreign cultures. A flipped learning-based instruction is a teaching model, which is winning attention for excellent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and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this study, new aspects of foreign cultures from awareness of mother cultures, comparison of different cultures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belong to the intercultural phases for enhanc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so that fairy tales were selected, which are suitable for the intercultural phases. Especially, ‘Vietnamese’ fairy tales, which began to be used a lot in domestic universities recently were applied, and the fairy tales selected for the flipped learning-based instruction phases were provided along with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and activities. It is anticipated that based on this study result, diverse teaching plans for enhanc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would be used in the field. Folk tale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mong the people for a long time, continue their persistent vitality to this day. Starting from the 16th century print media, folk tales, which began to be illuminated as a video media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renewed from a new perspective in the 21st century and still maintains its vitality. 동화를 활용한 교육의 가장 큰 매력은 다양한 변주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동화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가치 있는 장르이며, 교육 매체로서의 효용성과 활용도 역시 매우 높다.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상호문화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자들이 이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이문화를 발견하는 것에서 수용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으로 동화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을 제안하였다.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소통이 뛰어나다는 점과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교수 모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호문화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상호문화단계를 모문화 인식에서 이문화 발견, 상호문화 비교, 이문화 수용으로 설정하고, 문화 단계에 적합한 동화를 선정하였다. 동화는 최근 국내 대학에서 점차 비중이 늘고 있는 ‘베트남’ 동화를 선정하였으며,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 단계에 맞춰 선정된 동화를 상호문화 교육 내용 및 활동과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안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과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구조 비교분석 -블라디미르 프롭의 『민담형태론』을 중심으로-

        유정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3 동화와 번역 Vol.45 No.-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based on Propp's A Hen into the Wild, a fairy tale by Sun-mi Hwang. The Hen Into the Wild has been presented both as fairy tales and animations. While the animation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original fairy tale, there are differences when examining the structure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The protagonist and antagonist remain unchanged from the original, but the supporting characters, who surround and assist the protagonist, show notable differences.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in a simple plot and the discrimination and control endured by the main character Leaflack are showing familiar structures. The personification is an attempt to consider the reader’s growth process, but the reason why the anthropomorphized story structure feels not only unfamiliar but also somhewhat familiar lies in its reliance on Vladimir Propp’s Morphology of the Folktale. The analysis of 31 narrative structures based on Propp’s theory reveals distinc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donor an the helper in the animation A Hen into the Wild unlike in fairy tales. This effect not only enhances audience immersion in acception the narrative’s form but also facilitates easier comprehension of the story. 본고는 황선미 작가의 동화 『 마당을 나온 암탉』을 프롭의 민담형태론으로 분석하였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동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독자를 만났다. 애니메이션도 동화의 원본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으나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구조를 들여다보면 차이가 있다. 주인공과 적대자는 원본에서 변형이 없지만 주인공의 주변인이자 조력자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플롯에 나타난 인물 배치와 주인공 잎싹이 감수하는 차별과 통제는 낯익은 구조를 보인다. 의인화는 독자의 성장 과정을 배려한 시도이지만 이야기 구조가 낯설지 않고 어딘가 익숙하기까지 한 이유를 살펴보면 블라디미르 프롭의『민담형태론』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민담형태론』에 근거한 31가지 서사 구조 분석은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이 동화에서와 달리 증여자와 조력자가 각각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 효과는 대중이 서사의 형식을 극적으로 받아들이는데 있어 몰입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서사를 이해하기 쉽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 KCI등재

        초원의 집 연작과 린다 수 박의 널뛰는 아가씨

        오승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Responding to Laura Ingalls Wilder’s Little House books, which do not recognize the presence of Asian Americans in the American Midwest, Linda Sue Park’s Prairie Lotus is a Chinese American girl Hanna’s maturation narrative set in the Midwest in the 1880s. On the other hand, Park’s debut novel SeeSaw Girl is a more curious rendition of the Little House books that reverberates with a reserved silence on Wilder’s influence. The reticent traces of the Little House books found in SeeSaw Girl strongly evince Wilder’s legacy and how deeply it is ingrained, epitomizing Park’s writerly identity born of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Featuring Jade, the twelve-year-old daughter of a noble family in seventeenth-century Korea, SeeSaw Girl provides an intriguing parallel to Laura’s bildungsroman in the Little House books, notwithstanding their disparities in temporal, spatial, and social terms. This paper considers SeeSaw Girl’s consanguinity with the Little House books in terms of conventions of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female bildungsroman, and frontier narrative. From SeeSaw Girl to Prairie Lotus, Park has not stopped to engage with and retell the Little House books, not only inheriting and reenacting Wilder’s legacy but also appropriating and claiming Wilder’s prairie that excludes the Asian American presence. 린다 수 박의 최근작 초원의 연꽃은 1880년대 미 중서부를 배경으로 한 중국계 미국인 소녀 한나의 성장기로서, 아시아계 미국인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로라 잉걸스 와일더의 초원의 집 서사를 의식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반면 박의 첫 작품 널뛰는 아가씨는 백인 중심 미국 아동문학의 전통과 별개로 인식되어온 아시아계 미국인 작가로서 그가 무의식적으로 초원의 집의 문학세계를 계승하고 있음을 예증하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널뛰는 아가씨는 17세기 한국을 배경으로 한 열 두 살 소녀 제이드의 성장서사로서 초원의 집연작과 의미 있는 평행을 이룬다. 지리적,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미국 아동문학과 여성 성장서사, 변경지 문학의 관습에 의해 흥미로운 공통점을 도출시키며, 이는 초원의 집으로 대표되는 미국 아동문학의 전통이 박에 의해 계승되고 있음을 예증한다. 널뛰는 아가씨에서 초원의 연꽃까지 박은 초원의 집연작을 읽고 익히고 다시 쓰기를 멈추지 않았으며, 자신에게 체화된 미국 아동문학의 역사와 전통을 충실히 구현하기를 넘어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허락되지 않았던 와일더의 초원을 당당히 전유하기에 이른다.

      • KCI등재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의미 작용 연구

        강서희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39 No.-

        Symbolic meaning and multi-layered signification is features of Iwona Chmelewska's picture books. To understand her works, the readers devote themselves to active reading. Exploring the signification of her works is a way of revealing the aesthetic features of Iwona Chmelewska's picture books, and help the readers to communicate with her works. This paper tries to apply R. Barthes’ mythology to analyze the signification of her works. Barthes argued that in our lives signification happens in two levels. The sign indicates explicit meaning. And in myth level, the sign would be signifiant and indicates implicit meaning. This dual signification model can be a good frame to understand Iwona Chmelewska`s works that contain a lot of symbols and implicit languages. I analyze some of her works. I find that her works create meaning not only by using symbolic pictures and text but by using the act of turning the page, and through finding the meanings of each object on the page.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은 상징적이고 다층적인 의미 작용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특성이 있기에 그의 작품은 독자의 능동적인 독서를 요구한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심미적 특성을 밝히고 독자와의 소통을 위해 그의 그림책의 의미 작용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그의 작품이 다층적인 의미 작용을 거침에 착안하여, 본고는 바르트(R. Barthes)의 신화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바르트의 신화론은 우리 삶 속에서 기호는 언어와 신화의 차원에서 이중의 의미 작용을 거친다고 주장한다. 기호 그 자체가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명시적 의미가 있으며, 그 기호가 또 다른 기표가 되어 의미를 형성하는 함축 의미가 있다. 이러한 이중의 의미 작용 모델은 상징적 표상과 함축적 언어로 이루어진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작품 중 마음의 집, 우리 딸은 어디 있을까, 여자아이의 왕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의 작품에서 상징적인 글과 그림은 그 자체로 조합하며 의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책 넘김이라는 작용을 통해 함축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작품 속 글과 그림의 상징성을 파악하면서 함축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과학교양과 소년과학잡지 『백두산』

        정진헌 ( Jeong Jinheon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8 No.-

        본고는 1930년대 신문 및 잡지를 중심으로 당대 아동을 위한 과학교양과 이를 위한 노력의 일안으로 발간된 소년과학잡지 『백두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20년대까지 신문이나 잡지에 간헐적으로 소개된 과학지식은 30년대 들어 기성세대들의 아동에 대한 과학지식의 보급과 연구에 힘입는다. 아동문단에서는 염근수, 김태오 등이 조선의 미래를 위해 발명과 발견과 같은 과학의 중요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백규, 박길용 등은 조선 아동들에게 유년부터 독서, 관찰, 실험 등의 과학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과학적 연구의 태도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발맞추어 소년문예단체들은 독서회 및 토론회를 통해 과학지식을 배우고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조선·동아일보≫는 ‘아동과학’란을 통해 자연과학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과학상식 제공 및 연구에 공헌을 했다. 아동문단에서도 20년대 중반부터 창작되었던 과학동화를 계승, 전문적인 지식을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 방식을 통해 아동들에게 전해 주었다. 1930년 10월 백두산이학회가 발간한 『백두산』은 창간호부터 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하며, 아동들에게 과학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제공했다. 아동문단 작가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의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잡지의 내실을 기했다. 그리고 현상공모, 지사모집, 담화실 등을 통해 많은 독자를 확보해 나갔다. 1931년 4월 편집 주간이었던 염근수의 퇴사로 양재응이 편집 주간을 맡은 이후 잡지는 과학 잡지의 편집 방향을 일반 문예지로 선회한다. 아동 독자들의 연이은 참여로 발전해 가던 잡지는 아쉽게도 5·6월호를 마지막으로 종간한다. 비록 짧은 기간 6권의 잡지 발간에 그쳤지만, 아동들에게 강한 민족의식을 길러주고, 과학지식 보급 및 과학적 탐구심을 고취하는 소임을 다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science culture for children of those days focusing on newspapers and magazines of the 1930s and children’s science magazine Baekdusan, released as part of efforts for this. Scientific knowledge was intermittently introduced by newspapers or magazines until the 20s, but the spread of and research on scientific knowledge for children began to be boosted by the older generations in the 1930s. Yeom Geun-soo, Kim Tae-oh, etc. from children’s literary circl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cience, such as inventions and discoveries for the future of the Joseon Dynasty. Also, Lee Baek-gyu, Park Gil-yong, etc. claimed that it was important to foster children’s attitudes towards scientific studies by providing Joseon children with science education, including reading,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in their childhoo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juvenile literature groups laid the foundation to learn and study scientific knowledge by organizing reading clubs and debate forums. In addition, Chosun·Dong-A Iibo made a contribution to the delivery of scientific common sense to children and its research by providing knowledge about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children’s science’ columns. Even children’s literary circles inherited science fairy tales that had been created since the mid-20s and conveyed professional knowledge to children by changing it to easy and interesting stories. Paying attention to visual images along with the first publication, Baekdusan, published by Baekdusan Natural Sciences Society in October 1930 provided children with diverse knowledge of science. In order to enrich the substance of the magazine, they employed not only with writers from children’s literary circles but also experts in natural sciences. They also attracted a lot of readers holding essay writing contests, recruiting managers of its branches and opening a discussion lounge. After the resignation of Yeom Geun-soo, who was an executive editor in April 1931, Yang Jae-eung held the post and the magazine switched its editing direction from a science magazine to a general literary magazine. The magazine was developing with consecutive participations of child readers, but sadly, it ceased with the May and June issues. Although only six issues were published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this magazine fulfilled all of its duties to implant strong natural consciousness in children, spread scientific knowledge and inspire the spirit of scientific inquiry.

      • KCI등재

        오정희 소설 『새』의 아동과 공간성 연구

        방금단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4 No.-

        이 글은 오정희 소설 『새』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중심으로 작중인물의 의식이 내ㆍ외부적인 요소와 어떻게 직ㆍ간접적으로 연관되면서 의미를 생산해내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오정희 소설 『새』는 가정과 사회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아이들의 비극적인 생활이 서사화 되어 있다. 이 소설 속의 어린 화자는 영악해서 자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어른들의 위선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답습하거나 침묵할 뿐이다.『새』에서 사건의 근원은 가부장의 폭력에서 시작되나 모성의 부재로인해 아이들이 처한 부정적인 현실은 더욱 도드라져 보인다. 어린 화자가 계속해서 엄마를 찾고자 공간을 전전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긍정적인 모성을 만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모두가 아이들의 모성이 되기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거부된 삶을 살아나가야 하는 아이들은 선택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화자가 내적성장을 이루어내는 것이 소설 『새』이다. 아이들이 욕망하는 것은 폭력을 이겨낼 수 있는 힘과 즐거운 집에서 사는 것이다. 그렇지만 아이들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아이들이 처한 현실을 공간의 유형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공간에 따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은 복합적이고 애매한 구조로 서사화 되는 『새』를 제대로 읽어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