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원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1 사회과교육 Vol.- No.34

        한국사회는 점차 문화적으로 다원화되고 이질화되고 있으며, 한국사람들은 자신과는 다른 집단에 대해 잘못된 고정관념과 편견을 가지고 차별을 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나와는 다른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정하는 다문화적 능력이 중요하다. 이러한 능력들은 사회과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길러질 수 있다. 사회과 문화교육이 보다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회과교육과정이 다문화상황에 적합한 다문화교육목표와 다문화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제7차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이 어떠한 문화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제7차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 포함된 문화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이러한 문화교육내용에 포함된 문화개념을 분석해보았다. 분석은 세 측면 즉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학년의 주제와 범위, 각 학년내용에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7차 초등사회과교육과정은 대부분 창의적 정신의 산물로서의 문화개념과 집단적 삶의 총체로서의 문화개념에 기반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교육내용이 두 개의 문화개념 즉 창의적 정신의 산물로서의 문화개념과 집단적 삶의 총체로서의 문화개념에 편중되고, 상대적으로 두 문화개념 즉 사회적 삶의 방식으로서의 문화개념과 의미의 실천으로서의 문화개념에 소홀함으로서 사회과 다문화교육은 현실문화문제를 잘 다룰 수 없으며,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보다는 수용적 사고를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문화의 역동성과 대중문화에 잘 대처할 수 없으며, 학생에게 능동적인 참여보다는 수동적인 자세를, 교사에게 협력적, 조력자로서의 역할보다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게 된다. The korean society gradually become the plural and heterogeneous society and the korean peoples sometimes have wro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and discriminates the other groups which is different from their group,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we must acquire the wider understanding and the recognition of other group. These abilities can be achieved in cultural education as a real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of all, The multipl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has to be contained ire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cultural education as a real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article, I present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contained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os and then analyse the concept of culture which formed the basis of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is performed on three aspects ; aspect of general direction in curriculum, aspect of each grade in curriculum, aspect of each content of grades i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two concepts of culture is reflected in the seventh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y are the concept of culture as products of creative a mind and the concept of as culture as totality of life. The preponderance of concept make students poorly deal with the real. culture problems and think uncriticaliy existing cultures, Furthermore, It make students poorly deal the power and the ideology concealed in cultures and the popular culture that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themselves.

      •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김선미 韓國社會科敎育硏究會 2000 社會科敎育學硏究 Vol.- No.4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문화 집단에 속해 있는 서로 다른 사람들의 상호 이해와 평등관계를 중시하고, 인종, 성별, 학습능력, 언어적 배경, 종교적 차이 등 서로 다른 집단들의 문화가 동등하게 가치로운 것으로 인식하며, 학생들에게 자신이 속해 있지 않은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다양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시키려는 지식, 태도, 가치 교육을 뜻한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는 미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이 개념의 영역은 광범위한 교육의 전 단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면서, 교과목에 구체적으로 적용된 개념 정의와 교수법의 개발은 미약하며 아직까지는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음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사회과의 다문화 교육은 유럽 중심적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역사 서술, 편협된 관점의 학습자료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Multicultural education looks at the many facets of diversity, and attempts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groups with their own point of view.. It is a concept supporting and maintaining one or more cultures, value systems, life styles, and languag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ents learn various cultu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and illuminate prejudice on other cultures. It implies that students respect cultures of minority groups and they learn to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people of different ethnic, gender, religiou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The concept also underscores the influence of diverse cultures on a child's learning 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strategies. Teaching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means that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abilities to manage, interpret, .and to make decisions about cul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It is criticized that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nds to be dispersive and to cover the wide range of educational process whereas the specific concept of it is yet fully develop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supposed to be applied to each subject. Social stud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Euro-centric explanation in world history textbooks and distorted educational materials are problematic_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which are appropriate to reflect diverse cultural perspectives.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사회과 성립 변천에 대한 지식 사회학적 접근 : From the Sociology of Knowledge Perspective

        이종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1 사회과교육 Vol.- No.34

        지금까지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시각은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한국 사회과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바탕으로 마련도어야 하며, 이런 이유로 미국 교육과정의 이식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는 시각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 사회과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앞선 미국 교육과정의 이식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며, 또 다른 하나는 미국 교육과정 중에서 우리에게 적합하면 수용하고, 적합하지 않으면 수용하지 않는다는 시각이다. 그런데 대부분 연구자들은 표면적으로는 셋째 시각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들의 연구물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둘째 시각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이는 미국의 교육과정 중에서 어느 부분이 한국상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것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즉 미국 교육과정의 한 부분을 한국 교육과정 속에 도입하는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하나는 도입하려는 미국 교육과정의 형성이유를 미국의 역사·사회적 상황 속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다른 하나는 현시점 우리의 역사·사회적 상황을 이해하여야 하며, 또 다른 하나는 이들 두 상황 사이의 유사성이 구체적으로 밝혀져야 한다. 필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지식사회학적 접근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지금까지 미국 사회과 교유과정의 변화(1900~1980)를 지식사회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form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America for early last century, toward an improvement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o far analyses of American curriculum(education) tended to be context-independent, whereas present analysis is contextual, 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knowledge, which concerns itself with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 problems in social contexts, previous social thoughts and men' endeavo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Americ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long the four distinct periods: 1910s, 1930s, 1960s and 1970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미국 교사교육의 오늘 : PDS 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School for Teacher Education

        김현숙 韓國社會科敎育硏究會 2000 社會科敎育學硏究 Vol.- No.4

        대학과 초·중등 학교 교원들이 공동 주체로서 참여하는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과 공교육기관을 연결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결합하는 교사교육이 오늘날 미국의 교사교육의 주요 개혁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협력(collaboration)은 교육개혁을 증진하고, 교사들의 전문인으로서의 성장을 촉진하며, 또한 아동, 학생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장으로서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PDS), 즉 의사나 법조인들과 같이 교사도 전문인으로 양성하고자 생긴 교사교육의 장이 생겨났다. Holmes Group 및 많은 학자들이 PDS를 학교와 대학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신임교사의 성장, 경험있는 교사의 계속적 발전, 그리고 교직의 발전과 연구를 위한 학교로 정의하고 있다. Holmes Group의 개혁안에 호응하여, 미국의 많은 대학들이 새롭고도 보다 협력적 방법으로 그 지역 학교들과 연계하여 새로운 교사교육을 시도해 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협력의 장으로서, 교사교육의 장으로서의 PDS의 개념과 그 효과와 문제점 등을 살펴본다. The reform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s a pervasive theme in American education today. Many educational reform initiatives such as Carnegie Task Force on Teaching as a Profession(1986), the Holmes Group(1986), and the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in Education(1983), recommend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administrators, and university faculty in an effort to restructure the preparation of teachers. To provide appropriate places fo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many public school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joined together to estab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PDSs). PDSs are seen as vehicles for change and improvement in teacher education. The Holmes Group Report, entitled Tomorrow's Schools(1990), advocated PDSs as a mean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and effect school renewal. Such schools have been designed to bring teachers and university faculty into a partnership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mutual benefits, experimentation, systematic inquiry, equity,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PDSs offer significant promise in the restructuring of school-university relations with a common agenda of modeling exemplary practice, teacher preparation, and research. Central to success in establishing PDSs will be the development of shared vision regard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 establishment of norms that emphasize parity among and respect for members of the profession who occupy different roles, reflectivenes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who populate such schools, shared governance and the redefinition of roles.

      • KCI등재

        광복이후 한국의 역사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송인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8 사회과교육 Vol.- No.31

        한국 교육사에 있어서 우리의 손으로 자주적인 입장에서 민족사 교육을 실시하게 된 것은 광복 이후부터였다. 광복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은 7차례나 바뀌어져 왔으며 그때마다 교육과정이 정신을 구현하려는 노력이 학계와 연구기관, 그리고 현장 교사들에 의하여 이루어져 많은 연구성과를 가져 왔다. 특히 최근에는 교과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사회과 역사교육에 있어서도 많은 이론 연구와 실천연구가 이루어져 역사 교육의 발전은 물론 역사 교육학의 학문적 기반 조성에 이바지하였다. 역사 교육에 관한 연구는 원론적 영역, 발달사적 영역, 비교사적 영역, 교재적 영역, 현장적 영역 등 5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앞의 3가지 영역은 역사학자나 역사 교육학자들의 연구에, 후자의 2가지 영역은 현장 교사들의 연구에 속한다. 이러한 이론 연구와 현장의 실천 연구의 성과는 950여 편이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 성과를 분석하여 이론 연구의 성과가 현장의 역사 교육 연구에 어느 정도의 이론적 기저가 되었으며, 역사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에 얼마나 기여하였는가 등에 대한 고찰은 극히 미진한 것 같다. 이에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1996년에 이르기까지 약 50여 년간에 걸쳐 연구 발표된 역사교육 연구에 관한 논저와 논설을 수집하여 게재지별, 주제별,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 고찰해봄으로써 역사교육 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역사 교육연구의 개선과 발전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같은 역사 교육연구에 관한 분석은 향후 지속적이고도 더욱 구체적으로 이루어져 역사 교육 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since liberation that Koreans carried out national history education on their own will. From that time up to the present, curricula has changed seven times and each time the efforts to embody spirit of the curricula have produced a lot of research accomplishments by academic circles, research institutes, and teachers. Recently, in particular, with the emphasis on curriculum education, a great deal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have been done in the history education field, which have contributed to the building of the scholastic foundation of history education.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five fields such as theory, development history, comparison history, research on textbook, and on-the-spot education. The first three fields are studied by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and the other two areas are researched by on-the-spot teachers. Thes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number over 900 books and articles. Nevertheless, studies to analyze research results and to examine how much theoretical study has becom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history education and how much it has contributed to the institution of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history education have made little progress. Thus, this study is to collect books, articles. and editorials o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during the past 50 years from liberation up to 1996, to divide them according to journals, subjects, the periods of curriculum revision, to make clear natures and problems of the history education study, and to seek the right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future studies. This kind of analytic study is thought to be continued more concretely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study.

      • KCI등재

        공통 사회과 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의 관련 학부(전공)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 대한 연구

        강환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0 사회과교육 Vol.- No.33

        1977년 12월 9일 교원자격검정령시행규칙(교육부령 제701호)의 개정에 의해 사회(일반사회, 역사, 지리)와 구분된 「공통사회」라는 교사자격표시과목이 신설되었으며, 이 과목에 대한 대학의 관련 학부(전공)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 대한 교육부고시가 1977년 12월 9일(교육부고시 제1997-11호) 공포되고, 다시 2000년 1월 28일(교육부고시 제2000-1호)에 개정·고시되었다. 이 논문은 공통사회과목의 대학의 관련 학부(전공)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에 대해 연구된 논문으로, 대학의 해당학부(전공)는 공통사회교육과, 공통사회교육전공으로 한정하여야 할 것과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는 공통사회과교육론,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법률학, 문화인류학,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인문지리, 한국지리, 세계지리, 사회윤리 등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이 논문의 (공통)사회과교사의 양성·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함으로써 한국사회과 교육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게 되기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partment in college of education and subjects in dept. for Integrated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revis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the system an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must be changed. Especially, certified teacher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and they must be trained from the depart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Basic subjects of I.S.S.E. Dept.(or Major) must be consisted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ation,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Cultural Anthropology, Law, Korean History, Western History, Oriental History, Human Geography, Korean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Soci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