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Knowledge in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hildren

        Young-Ran Tak,E-Hwa Yun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9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6 No.5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한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219명의 초등학생들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는 학교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주1회, 4주 교육으로 구성된 1차 중재와 부모에게 1차 중재 내용을 가정통신문의 형태로 전달하여 학생들의 건강 생활습관 유지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2차 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 효능감, 지식,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모니터링에 대해 중재 전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1차 중재 및 2차 중재 후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 정신 건강 자아 효능감은 조사 시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 = 32.88, p < 0.0001). 1차 및 2차 중재 후 신체 건강 자아 효능감의 경우 사전 조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F = 50.51, p < 0.0001), 부모 중재 기간 동안에는 건강 자아 효능감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 =10.23, p < 0.0001), 부모 중재 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 모니터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기반의 심혈관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 외에 학령기 아동의 건강 생활 습관 유도를 목적으로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 향상을 위한 중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effects on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related to health behaviors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health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A repeated measure,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among 5th grade school children. Intervention consisted of a curriculum classroom intervention and parent intervention. Health efficacy, health knowledge, and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were measured for testing intervention effect. A sample of 219 participants completed a baseline pre-test and two tests during intervnetion and after intervention from March to July 2004. Results: Mental health efficacy improv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est to the test after intervention (F = 32.88, p < 0.0001). Physical health efficacy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F = 50.51, p < 0.0001), bu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fter parent intervention. Health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est to the test after education (F =10.23, p < 0.0001), but decreased after parent intervention.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efficacy and physical health efficacy.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school-based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a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Parental influence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maintain improved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by thinking process in the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Knowledge in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hildren

        Tak, Young-Ran,Yun, E-Hwa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6 No.5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한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219명의 초등학생들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는 학교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주1회, 4주 교육으로 구성된 1차 중재와 부모에게 1차 중재 내용을 가정통신문의 형태로 전달하여 학생들의 건강 생활습관 유지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2차 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 효능감, 지식,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모니터링에 대해 중재 전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1차 중재 및 2차 중재 후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 정신 건강 자아 효능감은 조사 시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 = 32.88, p < 0.0001). 1차 및 2차 중재 후 신체 건강 자아 효능감의 경우 사전 조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F = 50.51, p < 0.0001), 부모 중재 기간 동안에는 건강 자아 효능감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 =10.23, p < 0.0001), 부모 중재 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 모니터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기반의 심혈관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 외에 학령기 아동의 건강 생활 습관 유도를 목적으로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 향상을 위한 중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effects on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related to health behaviors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health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A repeated measure,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among 5th grade school children. Intervention consisted of a curriculum classroom intervention and parent intervention. Health efficacy, health knowledge, and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were measured for testing intervention effect. A sample of 219 participants completed a baseline pre-test and two tests during intervention and after intervention from March to July 2004. Results: Mental health efficacy improv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est to the test after intervention (F = 32.88, p < 0.0001). Physical health efficacy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F = 50.51, p < 0.0001), bu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fter parent intervention. Health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baseline test to the test after education (F =10.23, p < 0.0001), but decreased after parent intervention.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efficacy and physical health efficacy.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school-based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a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Parental influence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maintain improved health efficacy and health knowledge by thinking process in the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Hae Young Woo,Young Ran Tak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in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professional self-concept. 161 nursing students, who were freshmen and sophomores having performed no clinical practice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3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ing perception significantly affecte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accounted for 15.7% of it. These results imply that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can help establish a solid concept of caring and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fession.

      • KCI우수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주의집중 피로회복이론의 장으로 본 경주 옥산서원 강학 및 유식공간의 일원적 공간성

        탁영란 ( Tak Young-ran ),성종상 ( Sung Jeong-sang ),최종희 ( Choi Jong-hee ),김순애 ( Kim Soon-ae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3

        조선 중기 대표적 서원중의 하나인 옥산서원을 사례대상으로, Kaplan의 「주의집중회복이론 틀」을 적용시켜, 서원의 기호학적 의미체계로서의 강학과 유식공간 상호 간의 보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전통조경의 함축적 의미 도출과 경관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적학교 공간계획과 조경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논거를 구축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옥산서원의 강학과 유식공간의 공간과 경관의 일원성을 통해 주의집중과 회복, 자연과의 합일 그리고 심성론과 수양론을 관통하는 성리미학적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정보처리과정을 위한 주의집중을 효과적으로 재개하는 회복적 공간특질로 설명할 수 있다. 옥산서원과 그 주변 환경은 입지와 공간구성, 공간포치 그리고 당호 등을 통한 기호체계의 일부로서, 강학과 유식공간의 일원성을 설명하는 유기체적 환경이며 이는 주의집중으로 부터의 네 가지 회복적 환경요소과 결부되어 나타난다. 즉 자연완상은 강학의 연장인유식을 통해 강학의 궁구함을 가져오는 체험을 넓히게 한다. 요컨대 ‘공부’와 ‘쉼’의 과정은 완물적정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 인간의 심성을 수양하며 도덕을 체득하게 유도되고 있다. 옥산서원은 입지적으로 읍치로 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벗어남’과 서원의 조망경관과 공간 포치를 이용한 영역 간의 일체감을 통한 ‘확장감’이 부상되며, 폐쇄성 강한 서원내부에서 자연 우월적 외부공간으로 이르는 다양한 출구 또한 자연으로의 확장을 돕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옥산서원에서는 강학과 유식의 호환 및 양립성을 통해 본 ‘부합성’등에 기반한 서비스스케이프가 잘 드러난다. 회복관경의 극점은 학문적 존양자인 회재의 자연 유상공간인 사산오대 및 옥산구곡과 관련된 경물 체험을 통해 환기되는 ‘매혹감’에서 더욱 여실히 나타난다. 이는 강학과 유식이라는 서로 다른 기능공간을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내적 질서이자 중요한 회복환경의 가치임을 일깨운다. 특히 옥산서원 주변에 펼쳐져, 회재로부터 정의되고 의미를 부여받은 사산오대는 성리학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자연의 숭고미와 격물치지를 이해하는 매우 유효한 학습환경일 뿐 아니라 주의집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로써, 최적화한 회복환경이 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d explain how “Directed Attention Restorative Environment (DARE)” is managed and fostered in “Gang-Hak (講學)” and “Yu-Sik (遊息)” spaces both inside and outside of Oksan 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is a pivotal element i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so that its restoration is crucial for effective think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Kaplan & Kaplan``s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n environment, in order to be restorative, should have four elements: ‘Being Away,`` ’Extent,``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We could confirm OkSan Seowon Confucian Academy has an inner logic that integrates two basically different spacial concepts of “Jangsu” and “Yusik” and thus fosters the Attention Restorative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our Mountains and Five Platforms (四山五臺) surrounding the premises provides an excellent learning environment, and is in itself educational in terms of the Neo-Confucian epistemology with “Attaining Knowledge by way of Positioning Things (格物致知)” as its principle precept, and of its aesthetics with “Connectedness with Nature” as its central tenet. This study attempts to recapture the value of Korea``s cultural heritage concerning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and it may provide useful insights and practical guidelines/grounds in designing today``s schools and campuses, where the young people``s needs for the Directed Attention- and Attention Restorative- Servicescapes seem to be greater than ever.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재가 노인의 재낙상 관련요인 분석

        탁영란(Young-Ran Tak),안지연(Ji-Yeon An) 한국생활환경학회 2011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was to determine related factors of recurrent falls among the home-dwelling elderly. A sample is 1,902 (male 1,055, female 847) who are over 65 years old. This study used data extracted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Univariate analyses were done using chi-square for associated factors of associated factors of recurrent fall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risk factors of recurrent falls. Only 63(3.3%) elderly had experienced recurrent falls last two years of period in panel dat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who fell recurrently and those who did not with regard to gender, having a spouse, chronic disease, regular medication, depression, ADL limit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ear of falling.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s were ADL limitation and fear of falling. In this study, an ADL limitation and fear of falling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differentiated refallers and non-refallers. Therefore, an effective fall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with modifiable components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