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튜브 동영상 밈(Meme) 콘텐츠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신선경 ( Sunkyung Shin ),박주연 ( Joo-Yeun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전파되고 있는 밈 가운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OTT(over-the-top) 서비스 동영상 밈 콘텐츠에 주목하여, 이용행태 및 특성을 규명하고 플랫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콘텐츠 이용 연구에서 높은 설명력을 보인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확장해 유튜브 밈 콘텐츠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밈 콘텐츠 이용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댓글의도, 추천의도, 공유의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유튜브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까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용 동기 요인은 모두 7개로 분류되었으며, 유튜브 밈 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는 ‘오락/재미’, ‘습관/시간보내기’, ‘사회적 연결’, ‘감각자극’ 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참여의도에 있어서는 ‘자기표현’ 요인이 댓글의도, 추천의도, 공유의도에 모두 높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유튜브 이용 만족에는 ‘밈 콘텐츠 지속이용의도’, ‘댓글의도’, ‘추천의도’의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를 중심으로 밈 콘텐츠가 빠르게 전파되고 공유되는 현재, 밈 콘텐츠의 이용행태 및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연구를 통해 밈 콘텐츠 이용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밈 콘텐츠 이용이 OTT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까지 파악해 미디어 콘텐츠로써 밈의 가능성과 OTT 서비스 발전 방향까지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motivation and effect of the diffusion of Meme content on YouTube. So this study i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have seen Meme content on YouTube (n=325) from July 17 to 22, 2020. In this study, the Usage motivations of Meme were classified into 7 factors: ‘entertainment’, ‘time shifting’, ‘sense stimulation’, ‘fad’, ‘escape’, ‘social relationship’, ‘self-expression’. Behavioral Intentio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4 sub-factors: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on Meme contents’, ‘like’, ‘comment’ and ‘shar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time shifting’, ‘sense stimu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In addition, the ‘self-express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high influence on the ‘like’, ‘comment’ and ‘sharing’. Furthermore, the factors ‘continuance behavior intention on Meme contents’, ‘like’ and ‘comments’ strongly influenced YouTube satisfact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meme contents on YouTube is socially and culturally influencing, especially in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usage behaviors. Based on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to practitioners from a cultural, social and industrial perspective.

      • KCI등재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Netflix) 이용자의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신선경(Sunkyung Shin),박주연(Joo-Yeun Par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3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OTT 산업 환경에서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OTT 서비스의 국내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OTT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시청행태의 변화와 이용자 이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대가치이론을 이용해 대표적 글로벌 OTT 서비스 넷플릭스 이용자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추구충족 및 획득충족 요인은 모두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콘텐츠 다양성’, ‘오락/재미’, ‘사회성’, ‘품질우수성’, ‘편리성’, ‘가격’ 추구충족 요인이 획득충족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사회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족수준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모든 요인에서 획득충족보다 추구충족이 더 높은 부정적 불일치가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다양성 요인의 추구충족과 획득충족 간 차가 가장 높게 나타나 콘텐츠 다양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실망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추구충족과 획득 충족 간의 불일치가 이용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불일치 정도가 클수록 서비스 이용 불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기반으로 향후 OTT 서비스 전략 수립에 있어 개선과 보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number of global OTT services are explosively increasing in Media industry. Despite the growth of OTT service market, there is still lack of understanding of users. So this study which based on Palmgreen and Rayburn’s Expectancy Value Theory attempts to identify OTT service user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Web survey(N=200) to reveal six major factors of the Gratification Sought(GS) and the Gratification Obtained(GO); ‘Diversity of Contents’, ‘Fun/Entertainment’, ‘Sociality’, ‘Quality’, ‘Convenience’, ‘Price’. All of thos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tributing to GO is ‘Sociality’.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discordance factor between GS and GO is ‘Diversity of Contents’. In addition,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between GS and GO has affected dis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between GS and GO was found, the higher impact on dissatisfaction was foun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future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OTT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음악 콘텐츠의 확장된 검색을 지원하는 한국어 기반 감성 모델과 온톨로지 설계

        김선경(SunKyung Kim),신판섭(PanSeop Shin),임해철(HaeChull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5

        대량의 음악 콘텐츠가 유통되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특히, 음악 정보 검색(MI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연구에 감성 모델을 접목한 음악 추천 시스템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적용된 감성 모델이 단순하고,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지 않아 한국어의 의미적 감성 표현 처리에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기반으로, 기존의 감성 모델을 확장한 새로운 감성 모델(KORean Emotional Model : KOREM)을 제안하고, 이를 온톨로지(Music EMotional Ontology : MEMO)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로 서술된 폭넓고 다양한 감성적 표현을 이용한 음악 콘텐츠의 분류, 저장 및 검색이 가능하다. In recent years, a large amount of music content is distribut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In order to retrieve the music content effectively that user want,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Especially, it is also actively developing music recommendation system combining emotion model with MIR(Music Information Retrieval) studies. However, in these studies, there are several drawbacks. First, structure of emotion model that was used is simple. Second, because the emotion model has not designed for Korean language, there is limit to process the semantic of emotional words expressed with Korean. In this paper, through extending the existing emotion model, we propose a new emotion model KOREM(KORean Emotional Model) based on Korean. And also, we design and implement ontology using emotion model proposed. Through them, sorting, storage and retrieval of music content described with various emotional expression are available.

      • KCI등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강화된 의미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

        김선경 ( Sunkyung Kim ),신판섭 ( Panseop Shin ),임해철 ( Haechull L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1

        최근 정보 환경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는 표현 형식과 내용이 방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검색하고 활용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콘텐츠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하는 표준안을 제시하였고, 이로 인해 콘텐츠에 대한 의미 검색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여러 가지 메타데이터 표준과 이를 따라 명세된 콘텐츠가 증가하면서 콘텐츠 간 상호운용성이 결여되기 시작했고, 사용자는 다시 검색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표준 간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고, 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와 엘리먼트 사이에 표현된 의미 관계를 확장하여 시맨틱 검색이 강화된 TOFIC(The Ontology For Imagery Contents)을 제안한다. TOFIC에서는, MPEG-7과 TV-Anytime 표준 간 의미 관계를 분류하고 확장된 시맨틱을 정의하여 현재 정보 환경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일관된 의미 검색과 강화된 내용-기반 검색을 지원한다. In recent Information Environment,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re getting noticed. But, since these contents have various formats of representation and very wide range of information, it was difficult to retrieve contents that user wanted and to utilize it.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studies presented draft standards for adding metadata to contents, and then, semantic search for contents had become available. Unfortunately, as the number of metadata standards and contents increased,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between contents was begun and users are faced with difficulty of search contents agai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pports interoperability between metadata standards and expands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and proposes an ontology which is named TOFIC(The Ontology For Imagery Contents) for enhanced semantic search. In TOFIC,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MPEG-7 and TV-Anytime are classified, and extended new semantics are defined. As a result, semantic search for multimedia contents is enhanced and it is possible to retrieve most of the multimedia contents that exist o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consistently. In addition, it supports enhanced content-based search for multimedia contents.

      • 음악 콘텐츠 검색을 위한 한국어 기반 감성 모델

        이수진(Soojin Lee),김선경(Sunkyung Kim),신판섭(Panseop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5

        음악 콘텐츠의 검색 방법 중 감성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많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음악 콘텐츠 검색에 적합한 어휘 구성이 아니고, 최근 네티즌들이 사용하는 음악 콘텐츠에 대한 감성 표현과 차이가 있다. 또한, 기존 모델에서 사용된 감성 단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경우 의미적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웹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국어 감성 단어를 기반으로 음악 콘텐츠 검색에 적합한 감성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상용 음악 사이트에서 네티즌들이 작성한 글을 분석하여 추출된 감성 단어를 이용하여 정의하였기 때문에 음악 콘텐츠 검색에 활용하기 매우 용이하다. There are many studies using emotion model on music retrieval method.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not suitable word for music content retrieval.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recently netizens emotion expression in music content and existing studies. Also, if translating Korean in the emotion word of previous model the semantic difference is generated.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pose emotion model for music content retrieval based on a Korean that is used a lot of emotion word in the recent web. The proposed model is suitable for music content retrieval because using extracted emotion word from analysis article written by netizens in commercial music sites.

      • 음악 콘텐츠 검색에 활용 가능한 한국어 기반의 감성단어 분류

        고동우(Dongwoo Ko),김선경(Sunkyung Kim),신판섭(Panseop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5

        MIR에서 감성 정보를 활용하는 연구가 최근 많아지고 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심리학 기반의 감성단어를 사용한다. 즉, 음악 콘텐츠 검색과 연관성이 적고, 영어 기반의 감성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연구들은 한국어 기반의 음악 콘텐츠 검색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악 콘텐츠 검색에 활용 가능한 한국어 감성단어를 정의한다. 제안 한국어 감성단어는 최근 네티즌들이 주로 사용하는 음악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통하여 정의하였기 때문에 한글 기반의 음악 콘텐츠 검색에 매우 적합하다. In the MIR, the researches which make use of emotion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se researches commonly use the emotion word based in psychology studied abroad. In other words, these are less relevant and primarily use the English-based emotion word in music retrieval. For this reason, earlier researches have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a music retrieval based in Korean. Therefore, this paper defines Korean emotion word applicable to music retrieval. The proposed Korean-based emotion word is optimized for Korean-based music retrieval because it defined by frequently used word in music that netizen usually use through big data analysis technique.

      • SCISCIESCOPUS

        Selective homocysteine turn-on fluorescent probes and their bioimaging applications

        Lee, Hye Yeon,Choi, Yoon Pyo,Kim, Sunkyung,Yoon, Taejin,Guo, Zhiqian,Lee, Songyi,Swamy, K. M. K.,Kim, Gyoungmi,Lee, Jin Yong,Shin, Injae,Yoon, Juyoung unknown 2014 Chemical Communications Vol. No.

        <P>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pyrene-based fluorescent probes, <B>P-Hcy-1</B> and <B>P-Hcy-2</B>, which display selective fluorescence enhancements in response to homocysteine (Hcy), are described. The distinctly different fluorescence responses of <B>P-Hcy-1</B> and <B>P-Hcy-2</B> to Hcy <I>vs.</I> Cys are explained by theoretical calculations. Finally, the results of cell experiments show that these probes can be used to selectively detect Hcy in mammalian cells.</P> <P>Graphic Abstract</P><P>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pyrene-based fluorescent probes, <B>P-Hcy-1</B> and <B>P-Hcy-2</B>, which display selective fluorescence enhancements in response to homocysteine (Hcy), are described. <IMG SRC='http://pubs.rsc.org/services/images/RSCpubs.ePlatform.Service.FreeContent.ImageService.svc/ImageService/image/GA?id=c4cc00243a'>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