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Relation of Obesity to Serum Lipid, Leptin and Insulin Concentration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Kim Sohye,Hong Kyunghee,Jang Ki-Hyo,Kang Soon Ah,Choue Ryow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Nutritional Sciences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lasma leptin, lipid profiles, insulin levels, and percentage of body fat of 72 schoolchildren from Obese Clinic Center in Seoul. The subjects divided into two groups: 39 obesity children [obesity index greater than $20\%$] who did not have a discernable medical cause of their obesity and 33 children with a obesity index less than $20\%$. The mean age, height, and obesity index of the subjects were 10.4 years, 144.0 cm, and $21.3\%$, respectively. The mean glucose and insulin levels of the obese children were 80.5 mg/dl and $13.3\;{\mu}IU/mL$ and those of the non obese children were 82.0 mg/dl and $4.2\;{\mu}IU/mL$, respectively. Obese children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level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VL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insulin concentration than non-obese children. However obese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HDL-cholesterol than non-obese children. Plasma leptin level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0.000l), body fat (p<0.0001), tricep skinfold thickness (p<0.0001), mid arm circumference (p<0.0001), and waist hip ratio (p<0.0001). Plasma lepti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sulin (p<0.0001), total cholesterol (p<0.0001), LDL-cholesterol (p<0.0001), and triglyceride (p<0.0001) levels, however,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p<0.0001) levels.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leptin in the blood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body fat, BMI, plasma insulin, and plasma lipid profiles.

      • KCI등재

        산업별 GDP 중요도 비교 분석: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중심으로

        김소혜 ( Sohye Kim ),김진민 ( Jinmin Kim ),김재영 ( Jaeyoung Kim ),강병구 ( Byung-goo Ka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4

        국가의 경제적인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는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다. GDP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각 산업의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식의약 산업 관련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GDP 내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타 산업과의 비교를 통해 식의약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의약 산업은 국내 산업 중 산업의 범위가 넓고 국민의 삶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또한, 갈수록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근래에는 COVID-19라는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식의약 산업에 속하는 바이오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식의약 산업의 경쟁력이 갈수록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산업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식약처는 식의약 산업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지만, 체계화 된 GDP 비중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 산업인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 산업의 GDP 비중을 구하고 타 산업과 비교해보고자 한다.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구하는 과정에서 시점별로 통계자료 내 수치가 통일되지 않는다는 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통계자료를 정하고, 총부가가치와 산업별 생산액, 매출액, 부가가치액 등을 사용하여 식의약 산업 부문 GDP를 추정하였다. 다른 12개 분야 산업들과 비교하였을 때, 식의약 산업 부문 GDP는 제조업의 GDP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였고, 결과적으로 식약처 산업이 국내 산업 중에서도 국가 경제력에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냈다. Gross Domestic Product(GDP) is affected by the economic power of each industry. Therefore, using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food and drug industry, we trie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GDP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on the domestic economy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industries.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has a wide range of industries among domestic industries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people. In addition, human lifespan is increasing, and recently, due to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the bio sector belonging to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is in the spotlight. Attention is needed to the industry as the competitiveness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ovides statistics o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but does not provide a systematic share of GDP. Sinc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influential the industry i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is study attempts to obtain the share of GDP i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and compare it with other industrie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GDP in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sector, there was a difficulty in that the figures in statistical data were not unified by time poi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tatistical data as a standard are determined. The GDP of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was estimated using total added value, production, sales, and added value by industry.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s GDP ranked second after the GDP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 food, medical & drug industr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national economic power among domestic industri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의 관광 홍보 영상은 쾌락 감정을 일으키는가?

        김소혜(Sohye Kim),이훈(Hoon Lee)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7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된 관광 홍보 영상의 시청이 시청자에게 어떠한 감정 반응을 낳는지를 실증적으로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인지심리적 측정 방법(SAM)과 생리심리적 측정 방법(심박변이도)을함께 활용하여 참여자의 기초 감정 반응(쾌락, 각성)을 수집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72명의 한국 대학생들이었으며, 세 집단으로 나뉘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통제 집단은 관광 홍보 영상이 아닌 기저영상을 시청하였으며(통제군), 실험 집단은 동적인관광 활동이 묘사된 관광 홍보 영상을 시청하거나(실험군 1) 정적인 관광 활동이 묘사된 관광 홍보 영상을 시청하였다(실험군 2). SAM의 분석 결과, 실험군 1에서 실험군 2보다 높은 각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두 실험 집단 간 쾌락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리심리적 차원의 경우 관광 홍보 영상의 시청은 내용에 관련 없이 심박변이도의주요 지표인 LF, HF, SDNN, RMSSD가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긍정적 감정 반응의 발생을 암시한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관광 홍보 맥락에서 쾌락의 역할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논의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관광 홍보의 시청시 각성 반응은 콘텐츠에 따라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쾌락 반응은 비교적 일관적으로 높았다. 즉 홍보 영상 시청은 콘텐츠유형에 상관없이 즐거운 쾌락감정을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쾌락이 시청자와 미디어 제작자의 정서적 토대가되어 효율적이고 상호 만족하는 관광 홍보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이 연구는 감정 반응의 다면적인특성을 조명하고 관광 홍보 분야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돕는다.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도 이용자의 즐거운 감정을 유발 및 지속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인 온라인 마케팅 현장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ewing tourism promotional videos on social media channels on viewers’ emotional responses. A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physio-psychological measures (i.e., SAM and HRV) was applied to assess participants' basic emotional responses (i.e., pleasure and arousal). Participants consisted of 72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tched the baseline video (Control), while two experimental groups viewed videos featuring ether dynamic (Group 1) or static tourism activities (Group 2).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rousal level of Group 1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2,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egree of pleasure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LF, HF, SDNN, and RMSSD increased as participants watched tourism promotional videos, regardless of their content. These results, which highlight consistent and heightened pleasure-related responses despite variations in arousal, provide intriguing insights into the role of pleasure in tourism promotions. Pleasure may serve as an emotional common ground, fostering effective and mutually satisfactory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and producers in the realm of social media and online tourism promo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based tourism phenomenon and offers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nd online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김소혜(Kim, Sohye),이정숙(Lee, Jung Sug),홍경희(Hong, Kyung Hee),염혜선(Yeom, Hye Sun),남연서(Nam, Yeon Seo),김주영(Kim, Ju Young),박유경(Park, Yoo Kyung)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as well as fatty acids and alcohol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Q-FFQ consisted of 88 food items, and 12 food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f frequently consumed foods from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ach portion size was categorized as one of three amounts: small (0.5 times), medium (1 time), and large (1.5 times). A total of 111 subjects finished 3-day diet records and the SQ-FFQ. The relative validity of SQ-FFQ was assessed by comparison with the 3-day diet records. Results: The mean nutrient intakes obtained from the SQ-FFQ were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methods was the highest for energy (r = 0.583; p < 0.001) and lowest for saturated fatty acid (r = 0.121).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nergy (r = 0.583; p < 0.001), carbohydrates (r = 0.500; p < 0.001), protein (r = 0.466; p < 0.001), fat (r = 0.411; p < 0.001), dietary fiber (r = 0.467; p < 0.001), alcohol (r = 0.527; p < 0.001), calcium (r = 0.409; p < 0.001), phosphorus (r = 0.499; p < 0.001), potassium (r = 0.418; p < 0.001), magnesium (r = 0.427; p < 0.001), and zinc (r = 0.464; p < 0.001), respectively, for all subjects. Conclusion: The developed SQ-FFQ in this study seems to be useful for estimating nutritional status, particularly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dietary fiber, alcohol,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of Korean adults.

      • SCIESCOPUS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ion biomarkers, antioxidant vitamin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Yesong Lee,Misung Kim,Kyungsuk Choi,Juyong Kim,Wookyung Bae,Sohye Kim,Cheongmin Sohn 한국영양학회 2011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5 No.2

        Few studies have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The main pathogenic mechanisms of metabolic syndrome rely on chronic low-level inflammatory status and oxidative stress.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 the gender-specific effects of inflammation and antioxidants on BM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se factor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67 men and 46 postmenopaus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s having three or mor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MD, body fat mass, and lean body mass were evaluated. We also examined the levels of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interleukin-6 (IL-6), adiponectin, vitamin E, and C in serum. Log-transformed hs-CR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umbar spine osteoporotic subjects than in normal subjects for women but not for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steoporotic group in other inflammatory markers.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for BMD of the lumbar spine showed that lean body mass and vitamin 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in men. Lean body mass and log-transformed hs-CR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in women Analysis for BMD of the femoral neck showed that lean body mass was a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oth men and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factor among the inflammatory markers or antioxidant vitamins affecting the femoral neck BMD for either gender. In conclusion, while hs-CRP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he BMD of the lumbar spine in women, vitamin E showed profound effects on BMD in men but not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