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안 성정동 지역의 화분분석 결과를 통한 Pleistocene 후기 고환경복원

        김혜령(Hye-Ryung Kim),윤순옥(Soon-Ock Yoon),황상일(Sangill Hwang),이병철(Byeong-Cheol Lee)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2

        충남 천안시 성정동 지역의 천안천 충적평야 화분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빙기 최성기부터 홀로세에 걸쳐 고식생 환경과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고환경을 복원하였다. 화분대Ⅰ(약 23,000-15,000 yr BP) 시기는 목본이 드물게 분포하는 소림(疏林)상태로서 초지가 넓게 펼쳐져 있었다. 기후는 한랭하였으나 영남 산간지역에 비해 심하지 않았으며, Woldstedt(1962)와 Yoon and Jo(1996)에 따르면 'very cold'에 대비된다. 화분대Ⅱ(약 15,000-10,000 yr BP)는 회갈색 모래층에 해당하는 무화분대로서 최종빙기 최성기에서 홀로세 사이의 점이기에 해당한다. 이 모래층은 실트가 포함된 토탄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층준과 확연히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대단히 한랭했던 시기에서 온난한 환경으로 전환되는 동안 급격한 기후 변화가 진행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Holocene 전기에 대비되는 화분대Ⅲ(약 10,000-6,000 yr BP)의 화분조성에서는 기후가 뚜렷하게 온난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leo-environments such as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are reconstructed by the results of pollen analysis in the floodplain of Cheonan River, Seongjeong-dong, Cheonan-si, Chungnam Province. In the pollen zoneⅠ(approximately 23,000 - 15,000 yr BP), the area studied was covered by the extensive grassland with sparse wood. The climatic conditions were very cold, but it might not be so severe compared to the intermontane area in the Yeongnam area. This zone corresponds to the 'very cold' stage of Woldstedt(1962) and Yoon and Jo(1996). No pollen horizon(pollen zone Ⅱ) deposited between approximately 15,000 and 10,000 yr BP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Last Glacial Maximum to the Holocene. The horizon consists of the dark gray brown sand deposits different from the other horizons dominated by the silty deposits and these sedimentary proper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dramatic climate changes between the very cold stage and warm stage. The pollen zoneⅢ formed between approximately 10,000 and 6,000 yr BP shows clearly different pollen compositions indicative of temperate climate conditions.

      • SCISCIESCOPUS

        Sevoflurane Exposure during the Critical Period Affects Synaptic Transmission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but Not Long-term Behavior in Mice

        Chung, Woosuk,Ryu, Min Jeong,Heo, Jun Young,Lee, Soomin,Yoon, Seunghwan,Park, Haram,Park, Sangil,Kim, Yangsik,Kim, Yoon Hee,Yoon, Seok Hwa,Shin, Yong Sup,Lee, Won Hyung,Ju, Xianshu,Kweon, Gi Ryang,Ko,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 Anesthesiology Vol.126 No.2

        <P>Conclusions: Sevoflurane exposure during the critical period induces mitochondrial hyperactivity and transient imbalance of excitatory/inhibitory synaptic transmission, without long-lasting behavioral consequenc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sexual differences and to define the role of mitochondrial activity during anesthesia-induced spine formation.</P>

      • KCI등재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의 제4기 활동 및 지진 안정성

        황상일(Sangill Hwang),신재열(Jaeryul Shin),윤순옥(Soon Ock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4

        한반도는 주변의 북중국, 일본과 같이 지구조적 활동이 활발한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알려 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제4기 단층의 존재는 한반도 의 신기 지체구조 운동의 성격을 본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주시 양남면 일대에서 확 인된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은 그 최종 운동 시기가 제4기 후기로 확인되고 있어 현생 지구조 체계 하에서 발생하고 있 는 지각 변형 사건임을 분명히 지시해 주고 있다. 이들 단층운동과 관련된 동-서 방향의 최대 압축 응력은 인도-호주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 응력이 원거리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징적으로 한반도 남동부 지역의 제4기 단층들은 반복적 재활성 가능성이 크므로 잠재적 지진 재해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본 연구는 연구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지진 안정성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Although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onsidered as a largely aseismic region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high seismic areas such as North China and Japan, there are more than thirty Quaternary faults reported so far, which are mostly centered in the southeastern peninsula. Structural studies of active faults exposed in Yangnam-myeon of Gyeongju, SE Korea are largely interpreted to post date the late Quaternary, suggesting that the NE-trending reverse faults may result from the active stress regime in the peninsula. The prevailing presentday E-W SHmax orientations in the peninsula ar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plate forcing stemming from the convergence between the Indo-Australian and Eurasian plates. It is clear that the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activated, although resolving more elaborate time intervals responsible for a future rupture remains a significant challenge.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assess many of potential seismic hazards in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in terms of seismic stability for foundation of nuclear power plant.

      • KCI등재

        충남 부여 능산리 충적평야의 홀로세 후기 고환경 변화

        윤순옥 ( Yoon Soon-ock ),김애선 ( Kim Yae-sun ),황상일 ( Hwang Sangill ) 한국지형학회 2016 한국지형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estimated vegetation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activity during the late Holocene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of peat on floodplain of Wangpo-cheon around Neungsan-ri, Buyeo-gun, South Korea. By result of pollen analysis of 28 horizons from Trench NS 1 and NS 4, vegetation environment during 2,300 to 1,700 yr BP was divided into Pollen Zone I (Quercus-Alnus), Pollen Zone II (Quercus-Alnus-Gramineae) and Pollen Zone III (Pinus-NAP-Gramineae). The pollen analysis suggests that agricultural activity in the Buyeo area was widely spread from the early time of the Pre-Iron Age to the late Samhan Age and buckwheat field seem to be built to substitute paddy field during the early time of the Pre-Iron Age.

      • KCI등재

        蔚山太和江中·下流部의 Holocene 自然環境과 先史人의 生活變化

        황상일(SangIll Hwang),윤순옥(Soonock Yoon) 한국고고학회 2000 한국고고학보 Vol.43 No.-

        선사시대와 고대의 인간생활은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그들이 살던 지역의 자연환경을 오랫동안 면밀히 파악하여 자신들의 活動空間을 결정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는 자연지리학과 고고학 및 고대사 연구성과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라는 틀에서 접근할 때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울산지역은 Holocene 해면변동에 따른 충적평야 지형발달과 관련하여 연구가 축적되어 있으며, 해양포유동물인 고래가 조각되어 있는 반구대 암각화가 있어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해면변동연구를 실제로 적용시켜 볼 수 있는 곳이다. 암각화를 제작한 공동체는 수렵, 어로, 채집을 주요한 생업으로 하며, 반구대 부근의 태화강변에 살면서 환경변화에 따라 고래잡이와 산짐승을 수렵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사실적 방법으로 암각화를 제작하였을 것이다. 고래잡이는 Holocene 해진극상기 古蔚山灣과 태화강 하류부의 古屈火灣의 독특한 환경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방법은 고울산만으로 들어온 고래를 여러 척의 소형선박을 이용하여 고굴화만 쪽으로 몰아서 좌초시키는 몰이어법에 의한 포경이 가장 기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Holocene 해진극상기 이후 고굴화만에서는 태화강이 운반해온 퇴적물에 의해 하구부가 매적되면서 정선이 바다쪽으로 물러가는 해퇴현상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고래잡이 漁場이 암각화를 제작한 공동체의 주거지에서 점차 멀어지며 고래사냥의 가능성과 수확량이 줄어들었다. 이 공동체는 고래잡이 어장을 따라 그들의 거주공간을 함께 옮긴 것이 아니라, 기존의 주거지에 계속 머물면서 고래 대신 주위의 산지와 하천에서 단백질 공급원을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암각화가 제작되기 시작한 때는 汀線이 태화강의 중·하류부까지 전진한 Holocene 해진극상기인 6,000∼5,000년 BP 경으로 보인다. 암각화 제작은 3,200년 BP 경의 상대적 고해면기에서 2,300년 BP 경의 저해면기로 이행하던 시기 가운데 해면하강이 두드러진 3,000년 BP를 전후한 시기에 종결되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Due to rather deep influences of the nature on the human life during prehistoric and ancient times should have confined their living space based on their long-term experience with the nature and careful analyses from that. The relationship here between human and nature can be understood far more accurately through the interdisciplenary approach often on physical geography, archeology, and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ancient times. Studies on alluvial plains in relations of the sea level change have been accumulated in Ulsan area and there is also the Bangudae-rockgravings-picture where many whales carved on the rock wall. This means that studies on the change of sea level can be applied realistically in Ulsan area. Those who carved the rock gravings made its livelihoods by hunting, fishing, and collecting foods, living along the Taehwa River near Bangudae. Based on theirexperiences catching whales and other animal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 level, they were able to make these rock gravings. Whale catching took place in unique environment such as in the ancient Ulsan bay and Gulhwa bay of the downstream of ancient Taehwa River during the Holocene Flandrian transgression. As for whale catching techniques, the most basic was thought to be catching the whale that had come into Ulsan bay and then with the help of many small sized ships drive them toward Gulhwa bay. As it was aggraded on the rivermouth due to the alluvium transported by the Taewha River since the Holocene Flandrian transgression, ancient coastline moved toward the sea. This eventually resulted in the decrease of fishery and possibility of whale catching because the catching grounds went further and further away from the living areas of the people who had made the rockgravings. Instead of moving with the catching grounds, this community then searched for their needed supply of protein around the adjacent hills and rivers surroundi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rock graving was first made around 6,000-5,000 BP during the climax of Holocene transgression when ancient coastline moved forward to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aehwa River. The making of the rock graving took place 3,200 BP and 2,300 BP. In other words, it is inferred that all was concluded approximately 2,800∼2,700 BP as they entered into the Bronze Ag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 KCI등재

        경남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단구 지형 발달과 분포 체계

        윤순옥(Yoon, Soon-Ock),강봉(Kang, Bong),박충선(Park, Chung-Sun),황상일(Hwang, Sangil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남해안의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은 창선도와 남해도에 의해 외해와 거의 완전하게 단절된 내만이다. 이 지역의 해안단구는 형성 시기를 달리하는 해발고도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54m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체계는 서해안 보령 지역의 것과 유사하다. 지형면은 구릉지 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며 면적이 대체로 좁다. 그리고 형성된 지 오래된 지형면과 상대적으로 젊은 지형면이 혼재되 어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공간 분포 특징은 오래된 지형면이 가장 내륙쪽에서 해안선에 평행하게 나타나며 해안으로 갈수록 최근에 만들어진 지형면이 나타나는 동해안과는 대조적이다. 이것은 기복이 복잡한 구릉지에 태풍에 의해 형성된 강력한 에너지를 갖는 파랑이 짧은 기간 동안 파식대를 형성한 데 기인한다. The eastern coast of Seopo-myeon, Sancheon-si in the South Coast is a bay almost completely separated from open sea by Changseon and Namhae Islands. Marine terraces in this area can be classified into geomorphic surfaces with elevations of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and 54m. This marine terrace system is similar to the Boryeong area in the West Coast. The geomorphic surfaces distribute along ridges and show relatively small areas. The young and old surfaces show a mixed distributional pattern. This distributional pattern contrasts to the East Coast where the oldest surface farthest from the coastline is parallel to the coast and age of the surfaces increases with a distance from the coast. These seem to result in high energy waves by typhoon that developed wave-cut platform on hill areas with relatively complex relief in a short time.

      • KCI등재

        전북 완주군 봉동 하안단구 상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과 기원지

        황상일(Sangill Hwang),박충선(Chung-Sun Park),윤순옥(Soon-Ock Yoon)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4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위치한 만경강 하안단구 역층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을 대상으로 토양분석과 대자율 측정, 입도 및 원소분석을 행하여 퇴적물의 풍화 특성과 기원지를 검토하였다. 봉동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Layer 1(고토양), Layer 2(뢰스), Layer 3(고토양) 그리고 하안단구 역층으로 이루어진다. 대자율은 뢰스층과 고토양층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입도분석 결과는 봉동단면이 하천이나 사면이동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운반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이나 대천뢰스보다 상당히 세립질임을 보여준다. 토양분석 중 유기물 함량만이 대자율과 유사한 변화를 보이며, 건조 토색보다는 습윤 토색이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한다. 주원소 및 희토류 원소 분석 결과, 봉동단면의 뢰스물질은 중국 뢰스고원과 동일한 기원지 또는 재이동된 물질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퇴적 이후에는 고온다습한 우리나라 기후 환경에서 중국 뢰스고원보다 심하게 풍화작용을 받았다. The weathering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 deposited on gravel layer of river terrace in Bongdong-eup, Wangju-gun, Jeonbuk Province are examined using soil analysis,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grain size and element analysis. The Bongdong section consists of, from top to bottom, Layer 1(paleosol), Layer 2(loess), Layer 3(paleosol) and the gravel layer of river terrace.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show the systematic variations in the sequence and the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reveal that the sequence was deposited by not fluvial or slope process, but eolian process, and that contains finer materials than the Daecheon loess and Chinese Loess Plateau. Among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organic contents indicate systematic variations similar to the magnetic susceptibility. The wet soil colors furth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quence rather than the dry soil color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major and rare earth elements, the eolian materials contained in the sequence were deposited by the materials originated from the areas where the Chinese Loess Plateau has been originated or the reworked materials from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after the depositions, the materials experienced the intensive chemical weathering under the humid-warm climatic condi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 Modifi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 Peritoneal Tunneling Method using tailored mesh

        ( Joohee Yoon ),( Jiwoo Lee ),( Jiyeon Hong ),( Sangil Kim ),( Jigeun You ),( Jinwhi Kim ),( Sungjong Lee ),( Younjee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9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5 No.-

        We proposed modifi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 peritoneal tunneling method to minimize complication and to shorten learning curve. These case series are to represent our experiences about modifi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 peritoneal tunneling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nine patients with symptomatic post-hysterectomy vaginal vault prolapse who were treated by modifi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 peritoneal tunneling method at the St. Vincent’s Hospital and the Seoul St. Mary’s Hospital. We perform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out full dissection and repair of peritoneum. We could minimize complications and suturing time by making peritoneal tunnel in place of full dissection and repairing of the peritoneum over retroperitoneal mesh. We could find a restoration of pelvic floor anatomy after surgery. During follow-up period, there was no report of recurrence. We conclude that modified laparoscopic sacrocolpopexy with peritoneal tunneling method is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vaginal vault prolapse patients by minimizing complications and shortening suturing time to repair the peritoneum over mesh during conventional laparoscopic sacrocolpopexy.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의 주기적인 침수와 구성암석의 풍화 특성

        황상일(Sangill Hwang),박경근(Kyunggeun Park),윤순옥(Soon-Ock Yoon)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3

        반구대 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동에 위치하며,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1965년 사연댐건설 이후 연중 수개월 정도 침수되면서 수분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암각화가 훼손되는 것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구대 암각화 기반암의 수분등치선도를 작성하여 절리나 박락(剝落) 분포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반구대 암각화의 함수율은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높았다. 이것은 침수된 기간의 길이와 관계된 것이다. 그리고 절리 밀도가 높은 암각화의 상부도 함수율이 높았다. 암석 내 흡수율이 증가하면 투수계수와 공극률이 증가하므로 함수율은 증가한다. 침수로 인해 암석 내에 공극들이 주기적으로 물로 포화되는 반구대 암각화는 수분에 의한 풍화로 훼손이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The Bangudae Petroglyphs locate at Bangudong, Daegok-ri, Eonyang-eup, Ulju-gun, Ulsan and was designated as the No. 285 national treasure since 1995. After the construction of Sayeon-dam in 1965,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of the rock weathering problems by the periodic immersion for approximately a few months. The isopleths of water content on the rock are drawn and the result shows relationships between the isopleths and distribution of joints or exfoliations. The distributions of water content rates in the Petroglyphs show the downward increasing pattern. This may suggest that the rates of water content are further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immersion. Also, the upper part of the Petroglyphs with dense joints shows high rates of water content. If the water content rates in rocks increase, the water absorption rates increase too, because of the increasement of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porosity. The weathering damages of the Petroglyphs in which the pores are saturated by the periodic immersion are in the critic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