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탐색

        신은영,김누리 한국아동교육학회 2004 아동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소재한 M중학교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자아개념 하위요인들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간에 정적 상관은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 수준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성숙도 수준에서도 여학생들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남학생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take a measurement their self-concept. and then the result is verified 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o begin with, we verified that relation was varied according with sex, grade. The sample is 216 students of 'M middle school' in Majang myeon icheon city Gyeonggido. As a result, sub factors of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re shown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sex, self-concept levels are that girl students are higher than boy students. career maturity is also that girl student's average are higher than boy students that. Moreover, the fact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i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is coincided with precedent study.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김누리(Kim Noo Ree),이희현(Lee Hee Hyun),김효원(Kim Hyo 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KELS)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이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방식, 교사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 성취압력), 수업분위기는 창의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따라 교사의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은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특성 중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압력은 창의 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지원과 열의는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초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수-학습방법, 학급경영, 교실환경 조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studies were identified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mediating a class atmosphere. As a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showed that only a direct impact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 support g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ppeared to affect creativity to mediate the class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 KCI등재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

        김누리 ( Kim Noo Ree ),박현린 ( Park Hyun R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부진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상호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습부진 학생은 기초학력검사에서 국어, 영어 과목 중 1과목이라도 하위 20% 이하에 속한 학생 총 1,72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무동기만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자기결정성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인된 조절 및 내적 동기와 같은 자율동기와 외적동기 및 부과된 조절의 종단적 상호효과는 부적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of the academic motivations and achievement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Underachievement children was a total of 1,728 students, who were below 20 percentile of the level in the Korean Language and or English test. Our findings revealed that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motivation controlling for baseline achievement were found only for a motivation. Second, there are no effects for motivation from academic achievement. Thir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identified and external/integrate motivation were found negatively.

      • KCI등재

        ‘약리학’수업의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사례

        김윤경(Kim Youn kyoung),김누리(Kim Noo 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학습활동과 이에 따른 성과를 높이기 위한 팀기반학습을 ‘약리학’교과목에 재설계하고 운영한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학습자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와 관련된 학습자 수업참여와 자기조절학습 능력, 팀학습과 수업전반에 대한 만족도, 교수자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팀기반학습 적용 후 학생들은 학습자 수업참여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에서 유의미한 향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에서는 인지전략의 ‘비판적 사고’와 자원관리전략의 ‘또래학습’이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재설계된 팀기반학습을 경험한 후 학생들은 본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고 학습의 이해도와 흥미를 갖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교수자 는 강의식 수업에 비해 수업준비의 양과 수업 후 피드백에 대한 부담이 높았지만 학 습자 수준의 이해 및 효과적인 교육성과를 통해 교수자로써 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 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재설계된 팀기반학습 설계과정과 실제운영과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운영에서 드러난 한계점 및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며 덧붙여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he process of redesign and manage of Team-Based Learning on pharmacology to improve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and their academic outcomes. Also, it identified changes of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garding attitudes and behavior of students, students’ satisfaction about learning activities as a team and this class in general, and changes of a instructor as the results. After applying Team-based Learning,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between before and after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critical thinking of the cognitive strategies section and peer tutoring of the student management of different resources section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se class,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his learning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reported that this learning contributed to hav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study. The instructor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students and effective learning outcomes increased teacher s efficacy as the instructor, although Team-based Learning gave her a big burden to prepare for instruction and to give feedback to students after instruction compared to lecture classes. This study describes details the process of redesign of the Team-based Learning course and actual operation, discusses exposed limitations during operat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 and also gives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Team-based Learning design and operation.

      • KCI등재

        협동학습을 적용한 간호학개론 수업에서 학습자 수업기대, 수업참여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Kim Youn kyoung),김누리(Kim Noo 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는 ‘간호학개론’ 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운영한 후 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기대가 수업참여를 매개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는 ‘간호학개론’ 교과목이 신입생이 처음 접하는 전공 필수 교 과목으로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전공교과에 대한 관심과 기대를 갖고 적극적 인 수업참여를 함으로써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 간의 소속감 및 연대의식이 향상되고 수업에 대한 몰입과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만족 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이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기대, 수업참여, 수업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습자의 수업기 대가 수업참여를 매개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통한 수업참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lass expectancy and class satisfaction mediated class participation after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focused on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cours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that learners would have interests and expectancy in the major subject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lass, and it could make them improve a sense of belonging and solidarity among learners during solving task and experience flow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class, and it would give positive effects on class satisfaction through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to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a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for freshman majoring in nursing on their first semes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lass expectancy,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learners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We constructed a structural model which class expectancy of learners participated in cooperative learning affects class satisfaction mediated with class satisfaction and the model fit indice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uitable for the recommended level. This study gives a few suggestions about class particip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se results.

      • SCOPUSKCI등재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rousal While Experiencing Light-Field Display Device

        Choi, Hyun-Jun,Kim, Noo-Ree,Park, Hyun-Ri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20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 Vol.18 No.3

        In this paper, we examine whether the 3D image experience through a light-field display device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arousal of the user compared with the 2D image experience. For our experiment, the Looking Glass<sup>TM</sup> (LG) was used as a lightfield display device that provided 3D images, and 2D images were provided by digital and printed images. The subject's facial behavior during each media experience was recorded for analysis and the degree of arousal was measured by FaceReader<sup>TM</sup>. As a result, the first image presented in the first order among the three kinds of image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rousal between the three medi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hree media in the other images. This may be because the arousal did not increase from the experience of the second image through the LG, owing to habituation. In conclusion, the 3D imaging experience may appear in the beginning, but does not continue.

      • User Experience in Interactive Immersive Display

        Hyun-Jun Choi,Noo-Ree Kim,Hyun-Rin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Vol.12 No.1

        In this paper, we tried to see what differences would show up in the user experience of immersive image display depending on whether the interaction technology was applied. A Looking Glass<SUP>TM</SUP> display device was used as a realistic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ideo content (frog) that placed object at the center. A Leap Motion<SUP>TM</SUP> device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realistic image display. This device detects the motions of the user’s hand and allows the color, shape, and movement of an object in the video contents to change. In this paper, facial exp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degree of arousal reaction from a psychophysiological point of view, and analyzed using FaceReader<SUP>TM</SUP> software.

      • 보건행정전공 대학생의 목표지향성, 학업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승(Lee, Hye Seung),김누리(Kim, Noo R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보건행정전공 학생들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를 위해 광주, 전남의 4년제 대학 보건행정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스트레스, 학과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고 목표지향성을 중심으로 변인 간 차이검증 및 관계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행접근은 학업스트레스에 숙달접근은 전공만족도 중 ‘일반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이 보건행정전공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전공만족도, 학업성취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결과 수행회피는 학업스트레스에,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은 전공만족도에, 숙달접근은 학업성취도에 11%, 24%, 9%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전공 학생들의 목표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들의 긍정적 학습과정 및 결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수행목표보다 숙달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empiricall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jor in health adminstration as one of the efforts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college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health adminstration students in four-year college in Gwangju and Junranamdo. This study was measur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tress, major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was confirmed difference and relationship focusing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s a resul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in performance approach in academic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in general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reported that Performance-avoidance influence of the academic stress was 11%,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was 24%, Mastery-approach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was 9%. Therefore, this study was empirically confirmed nursing student"s type of achievement goal and to be expected positive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should be discussed class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