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NARE complex assembly and disassembly

        Yoon, Tae-Young,Munson, Mary Elsevier 2018 Current biology Vol.28 No.8

        <P><B>Summary</B></P> <P>A fundamental hallmark of eukaryotic cells is their compartmentalization into functionally distinct organelles, including those of the secretory and endocytic pathways. Transport of cargo between these compartments and to/from the cell surface is mediated by membrane-bound vesicles and tubules. Delivery of cargo is facilitated by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mediated membrane fusion of vesicles with their target compartments. Vesicles contain a variety of cargos, including lipids, membrane proteins, signaling molecules, biosynthetic and hydrolytic enzymes, and the trafficking machinery itself. Proper function of membrane trafficking is required for cellular growth, division, movement, and cell–cell communication. Defects in these processes have been implicated in a variety of human diseases, such as cancer, diabete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ciliopathies, and infections. The elucidation of the mechanisms of SNARE assembly and disassembly is key to understanding how membrane fusion is regulated throughout eukaryotes. Here, we introduce the SNARE proteins, their structures and functions in eukaryotic cells, and discuss recent breakthroughs in elucidating the regulation of SNARE assembly and disassembly through the use of high-resolution structural biology and biophysical techniques.</P>

      • KCI등재

        Phonetic Accuracy on a Delayed Picture-Naming Task in Children with a Phonological Disorder

        임동선(Dongsun Yim),벤자민 먼슨(Benjamin Muns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음운장애 아동의 근본적인 특성을 어휘 접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지연상황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여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능력을 정상아동과 비교하고, 이 과제에 있어서 이름대기의 정확도를 설명해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예측해 보았다. 방법: 총 38명의 아동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19 = 일반아동, 19 = 음운장애 아동), 실험과제는 지연상황 그림이름대기 과제로 아동이 그림을 보고 반응을 시작하는 속도를 0㎳, 500㎳. 1000㎳로 지연하여 구성하였다. 반응지연속도가 0㎳ 인 상황은 어휘접근 단계와 어휘접근 단계-후 두 과정 모두를 포함하며, 지연시간이 500㎳, 1000㎳인 상황은 어휘접근 단계-후 과정을 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능력을 정상아동과 비교한 후, 어휘력이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유출 과제의 수행력을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음운장애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모든 상황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음운오류를 보였다. 그러나, 각각의 모든 상황에서 같은 비율의 차이를 보여 두 그룹간 단어유출 능력은 유사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 어휘력 (수용과 표현)은 지연이름대기 상황에서 음운장애 아동의 수행력을 예측해주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음운장애 아동의 오류율은 정확한 음운 산출 능력으로만 설명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두 그룹의 오류율 차이는 아동이 그림이름을 음운적으로 정확하게 산출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차이로 설명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음운장애 아동은 어휘유출 능력에 있어서 정상아동과 차이가 없으며, 지연상황에서 그림이름대기 과제 수행 시 두 그룹의 오류율 차이는 음소산출에 어려움이 주 원인으로 밝혀졌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 were: (a)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 (PD) differ from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TD) in the time-course of lexical access and (b) to expl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icture-naming accuracy by children with PD. Methods: Thirty-eight children consistingof 19 with PD and 19 with T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completed experimental tasks including a delayed naming task in which children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that they were instructed to name after a 0 ㎳, 500 ㎳, or 1,000 ㎳ delay interval. Responses atthe 0 ㎳ delay intervalwere presumed to reflect the combined influence of lexical access and post-access processes. Responses at the longer-delay intervals were presumed to primarily reflect post-access processes. Results: Children with PD produced a higher proportion of phonological errors at all three delay intervals.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orter delay intervals in children with PD. Based on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vocabulary size did not predict any additional variance in naming accuracy. Only the production accuracy of phonemes comprising the nonwords predicted error rat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PD have the same lexical access as children with TD. In other words, the group differences in error rates appeared to be entirely attributable to children’s difficulty producing the phonemes in the pictures’ names. The results discuss the potential underlying reasons for PD including weak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영어논문 : 텍사스 가석방심사체제를 이용한 재범율 예측정확도 평가 연구

        이훈 ( Hoon Lee ),주희종 ( Hee Jong Joo ),미쉘먼슨 ( Michelle Munson ) 대한범죄학회 2014 한국범죄학 Vol.8 No.3

        지역주민의 보호 및 재소자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재진입에 대한 관심증대로 인해 재소자의 출소 이후 재범여부 예측도구의 효과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주의 가석방심사체계의 예측정확성에 대한 평가연구로 텍사스주 가석방심사체계는 2001년 9월 최초 도입 이후 그 정확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사스주 법무부의 재소자 및 출소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가석방심사체계로 사용되는 10가지 계수 각각의 정확성에 대한 재평가 및 현행 가석방심사체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8개 변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가석방심사체계의 재검증은 보다 정확한 가석방심사를 위해 필수적인 절차이며, 본 연구는 가석방자의 재범률 예측정확도 향상을 위해 기존 계수의 변경 및 추가적인 변수 사용을 제안하였고, 한국 교정본부에서 개발한 새로운 재범 예측도구인 교정재범예측지표(CO-REPI)와 비교분석으로 추가적인 변수 사용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Due to an increased interest in community protection and successful prisoner reentry to the community,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tools in an effort to better predict future recidivism.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Texas Parole Guidelines (TPGs), which have not been fully reexamined since their implementation over 10 years ago.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exas Department of Criminal Justice (TDCJ), the present study first tested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TPGs, which use 10 risk factors, and then assessed the validity of the current predictors. Additional variables available from the TDCJ were then added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guidelin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expanded model with eight additional variables substantially increased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guidelines. This indicates that modification of the current guidelines by changing or adding predictors may be necessary for better parole decisions. Finally, the current study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Korean parole guidelin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