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저 조익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수양관 -논어천설을 중심으로-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8 泰東古典硏究 Vol.40 No.-

        조익의 수양론에서 두드러지는 관점은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다. 조익의 수양은 크게 경(敬) 과 경술(經術)로 나뉘는데, 둘 모두에서 이러한 관점이 드러난다. 우선 존양과 성찰로 구성되는 경은 표면적으로는 존양이 중시되지만 내 외면을 아우르는 성찰을 통해 존양을 이룬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는 성찰이 중시된다. 이때 성찰은 사욕으로 인한 잘못을 경계하는 성격이 짙어서 실천적 맥락이 강하다. 경술이 앎과 행위를 아우르며 그 최종 목표가 행위에 놓인다는 점에서도 실천적 맥락을 지적할 수 있다. 행위에 관한 수양이 경술의 연장선상에서 다뤄지므로 행위 규범으로서 예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대신 사욕 제거를 통해 다다르게 될 최종 상태인 만물의 마땅한 위치를 예로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실천을 강조하는 조익의 수양관은 논어에서 경을 내적 태도에 국한시켜 해석하는 주희와 달리 외적 태도로까지 확장시키는 차이로 이어진다. 인간으로서 할 바를 다 한 후 학문을 익힐 것을 말하는 논어 1.6을 해석하면서도 조익은 실천만으로는 안 되고 학문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에 무게를 두는 주희를 따르는 한편, 학문보다 실천이 앞서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실천 지향성을 보여 준다.이 외 사욕 경계와 만물이 지닌 마땅한 법칙으로서 예를 보는 관점을 부각시킨다. 실천을 강조 하는 수양론인 만큼 양명학에 경도된 듯한 해석도 있지만 주자학을 벗어났다고 평가하기보다는 주자학의 틀 안에서 실천이라는 자신의 주안점을 살리는 수양론을 구축했다고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조익은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무르익은 가운데 양명학이 영향력을 펼치기 시작한 16세기 말 17세기 초 조선의 사상적 토양을 바탕으로 주자학 체계 내에서 실천을 강조한 수양관을 경학사상에 투영해 나간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Jo Ik’s prominent view on self-cultivation is to emphasize practice. Jo Ik’s theory of self-cultivation is divided into two main areas: the execution of jing 敬 and the study of the classics (jingshu 經術), both of which emphasize practice. In executing jing which consists of cunyang 存養 and xingca 省察, what gets first priority is cunyang; however, in fact it is xingca that assumes real significance in that cunyang is achieved through xingca which encompasses inner and outer cultivation. In Jo Ik’s theory, xingcha has strong practical connotations in that its meaning is closer to being alert to wrongful behaviors caused by selfish desire. This practical connotation can also b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although this study pursues improvement both in knowledge and behavior, its ultimate goal is placed on behavior. Since the improvement of behavior is promoted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the role of li 禮 as a norm of conduct is paid less attention. Instead, Jo Ik tends to present li as the proper positions of all things, which is the final state that will be achieved by eliminating selfish desire. Jo Ik’s emphasis on practice in self-cultivation renders a differentiated interpretation of jing in the Lunyu from Zhu Xi’s: Zhu Xi mostly interprets jing as an internal attitude whereas Jo Ik shows a stronger tendency to expand its meaning to an outer attitude. When interpreting Lunyu 1.6, which says study comes after fulfilling one’s everyday duties as a human being, Jo Ik, on the one hand, follows Zhi Xi’s interpretation that puts emphasis on study: everyday duties are not properly carried out if not supported by study. On the other hand, Jo Ik stresses practice by indicating that there is a case in which practice is more urgent than study. Besides, Jo Ik emphasizes being wary of selfish desire and sees li as the proper principles of all things. Since Jo Ik emphasizes practice, some of his interpretations are similar to Wang Yangming’s idea. However, we may reasonably place Jo Ik’s theory within Zhu Xi’s philosophical framework; Jo Ik explored Confucian classics reflecting his viewpoint on moral cultivation which puts special emphasis on practice, utilizing the academic soil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when Wang Yangming’s doctrine began to exert influence under a mature understanding of Zhu Xi’s doctrine.

      • KCI등재

        「논어문의」를 통해 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 : 전통적 해석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해석 지평 마련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이 글은 「논어문의」를 분석하여 홍대용이 조선경학사상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핀다. 홍대용은 유가에서 받드는 인물들의 권위와 이들에 관한 주석의 권위에서 벗어나 『논어』를 이해했고, 그 권위에 균열을 내는 도구로 상식과 유가 이념을 취했다. 그동안 문제 삼을 수 없었던 대상을 문제 삼으면서 경문의 본래 뜻과 상관성이 약한 불필요한 논의에 경종을 울리고, 공자를 현실을 살아간 한 인간으로 되살려 내고, 유가의 성인을 높인다면서 오히려 유가 이념에 배치되는 논의로 귀결되는 폐단을 드러냈다. 이러한 홍대용의 비판 작업은 유학에 대한 반발이 아닌 오히려 유학이 그간 간과했던 유학의 본래 정신 즉, 현실에 근거해 마땅함을 평가해야 하고, 군신과 부자의 도리에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정신을 환기시키는 작업이었다. 새로운 비판점에 선 시도였던 만큼 그 깊이는 부족했으나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위치에서 깊이까지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논어문의」를 통해 살펴본 홍대용의 경학사상사적 의의는 유가적 권위로부터 자유로운 입장에서 경험적 상식과 유가 이념에 근거해 경문과 주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경학 흐름을 만들어 갈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n Joseon by analyzing his “Noneo muni” (Inquiry on the Analects). Hong Dae-yong understands the Analects deviating from the authority of renowned Confucian figures and commentaries on them; he takes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as a tool to crack the authority. By addressing issues about th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taken as a problem, Hong raises the alarm about unnecessary discussions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sentences i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describes Confucius more vividly as a human being who lived in reality, and reveals the harmful effect of speaking too highly of Confucian sages that in the end runs counter to the spirit of Confucianism. Hong Dae-yong’s criticism is not an opposition to Confucianism, but on the contrary a reminder of the Confucian spirit: evaluation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there should be no violation of the principles of ruler and subject, father and son. As his criticism is directed to new subjects, its depth is insufficient; however, it would be unjust to demand depth considering his historical position. In sum, the significance of Hong Dae-yo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can be found in that he prepared a bridgehead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y critically examining Confucian classics and commentaries on them,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and Confucian ideology while not restricted by the authority of Confucianism.

      • KCI등재

        욕망[欲]과 기(氣) 개념으로 접근하는 『순자』와 『여씨춘추』의 음악론

        조정은(Jo Jun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usical discourses of the Xunzi and the Lüshi chunqiu in close relation to the concepts of desire to enjoy music and qi resonating with musical sounds. The Lüshi chunqiu criticizes the condemnation of music on the assumption of an innate desire for music. On the other hand, it criticizes extravagant music seeing that only appropriate stimuli can evoke pleasure through their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life. The “Yuelun” chapter of the Xunzi also admits an innate desire for music, but it mostly supports the role of music as an edifying tool instead of an object of desire. Therefore, in the “Yuelun”, the main function of music lies not in evoking pleasure but edifying the people, which shows a divergent view from its opening statement acknowledging an innate desire for enjoying music. Both the Xunzi and the Lüshi chunqiu endow music with special fun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qi. However, these functions are not the same between the two texts. In the Xunzi, music exerts an edifying effect based on the resonance between music and qi in the body which share ethical value. In the Lüshi chunqiu, music resonates with qi in the natural world through their similar physical movements; as a result, music contributes to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This, along with its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life, articulates a belief that music enhances intrinsic qualities. Since the main focus of the “Yuelun” is not music as an object of desire, it barely mentions the problems caused by indulgence of musical pleasure. Moreover, although it attaches a particular role to music, namely that it is an educational tool, this aspect needs further elaboration to be a successful development of previous discussions about cultivation by means of music since it makes individual effort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 less important. The Lüshi chunqiu properly responds to the demand of musical discourse of the time in two ways. As a refutation of condemnation of music, it does not only advocate the indispensability of music but also criticizes extravagant music on the basis of positive recognition of desire as well as emphasis on the preservation of life. In addition, it extends musical harmony to the harmony of the natural world by reflecting the correlative thinking that emerged at around the same time. 이 논문은 『순자』와 『여씨춘추』의 음악론을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과 음악 소리와 공명하는 기를 중심에 두고 분석하는 글이다. 『여씨춘추』와 『순자』는 당시 팽배했을 음악 비판에 욕망의 문제를 지적하며 반기를 든다. 『여씨춘추』는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을 긍정하며 비악론을 비판하는 한편, 양생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자극만이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보면서 사치스러운 음악도 비판한다. 『순자』는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선천적 성향을 가장 먼저 지적하지만 전반적인 논의는 교화의 수단으로서의 음악에 초점을 맞춘다. 음악의 불가결성은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에 있지만 음악의 효용은 즐거움보다는 교화에 있게 된 셈이다. 『순자』와 『여씨춘추』는 기 개념을 통해 음악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지만 그 내용은 서로 달라서, 『순자』에서 음악은 체내 기와 윤리적으로 공명하여 교화 작용을 수행하고, 『여씨춘추』에서 음악은 자연계 기와 물리적으로 공명하여 천지의 조화에 기여한다. 천지의 조화는 양생과 함께 음악의 자연성 진작 기능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순자』는 음악적 즐거움을 중심에 둔 논의를 전개하지 않기 때문에 즐거움의 탐닉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다. 또한 교화 작용을 통해 음악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지만 음악 교화에서 개인의 수양 영역이 축소되어 음악의 도덕적 효과에 관한 이전 시대 논의를 성공적으로 이어가지 못한다. 『여씨춘추』는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양생의 관점과 결합시켜 음악을 옹호할 뿐 아니라 음악 탐닉을 비판하기도 하고, 기의 공명을 통해 음악을 천지의 조화에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비악론에 대한 대응과 맹아적 단계의 상관적 사유의 반영이라는 당시 음악론에게 요구되었음 직한 내용을 적절히 담아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권근의 『예기천견록』 중 「악기」편 분석 : 체제 재편과 독해 관점을 중심으로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이 글은 권근이 『예기천견록』에서 「악기」편의 체제를 재편한 것과 「악기」를 독해한 관점을 중심으로 권근의 경학사상사적 의의를 살핀다. 권근은 「악기」를 경과 전으로 분리해 상하편으로 나누고 일부를 재배치한다. 「악기」를 경과 전으로 나눈 것은 주희의 『대학장구』를 계승한 측면이 있으나 내용상 중요도와 신뢰성을 기준으로 삼고 고증적 방법을 취했다는 점에서 독창적 구분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재배치는 이전 시대 이미 행해진 작업의 반복이고, 이전 작업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형식상 이질적인 부분을 옮긴 데 그쳐서 의의를 부여하기 어렵다. 권근은 「악기」를 독해하며 조리를 중시했는데, 전면적으로 재배치를 시도하면서 새롭게 조리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악기」의 서술 순서를 거의 유지하는 가운데 자신의 해석을 통해 조리를 드러낸다. 권근의 해석에서 두드러지는 관점은 수양을 중시하는 것이다. 즉, 천인합일적 사유를 바탕에 두고 천리의 성으로부터 유래한 예를 통해 심의 욕망을 절제해 악을 제대로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렇게 제정된 악을 수양의 방편으로 삼아 심의 감응이 언제나 올바르게 귀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천인합일을 말하면서도 상반된 상태를 순환하는 자연계의 작동과는 달리 항상 좋은 결과에 이르게 하는 인간의 주체적 역량을 주목한 것이다. 「악기」의 본래 맥락에서는 예와 상보적으로 작동하며 조화를 이루게 하는 악의 작용이 중요하지만, 권근은 성리학적 관점에서 악을 수양의 방편으로 보면서 악보다는 수양 주체로 주안점을 옮기며 「악기」를 재해석해낸다. 권근의 해석이 갖는 의의는 이후 조선경학사상사에서 이를 수용하는 양상을 살핌으로써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Gwon Geun in the history of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by analyz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Yueji” chapter and interpretation on this chapter, demonstrated in his Yegi cheongyeonnok. Gwon Geun reorganizes “Yueji” by separating this chapter into two parts of classic and commentaries and rearranging one of its sections. This separation seems modelled after Zhu Xi’s Daxue zhangju; however, it still can be regarded as a unique approach in that he distinguishes the two parts based on his own criteria: the importance of contents and reliability assessed by evidential research. As for rearrangement, it is a repetition of what has already been done; even without considering the previous work, it is still difficult to attach significance as Gwon Geun has only moved one section that has clear dissimilarity in form. Gwon’s reading pays attention to the flow; his aim is making the flow conspicuous through his interpretation rather than newly establishing the flow by actively rearranging the original order of “Yueji”. An outstanding view of Gwon’s interpretation is to emphasize moral self- cultivation. That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s, he argues that, in order to establish music properly, desire of the heart should be restricted by ritual which originates from human nature equivalent to heavenly principle. He also argues that, by adopting properly established music as a means of self-cultivation, one needs to make an effort to ensure the right outcomes of the response of the heart. Despite acknowledg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s, Gwon stresses human capacity differentia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natural world; the natural world circulates on opposite ends, whereas humans are able to produce positive results only through their subjective competence. While “Yueji” emphasizes music’s role to achieve harmony that works complementary to ritual, Gwon mainly sees music as a means of cultivation from the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As a result, Gwon reinterprets “Yueji” shifting its main focus from music to a person who performs cultivation by means of music. The significance of Gwon’s interpretation will be assessed more properly by examining its reception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Joseon.

      • KCI등재

        음양오행설 영향 아래 구성된 『관자』의 시령에 담긴 자연계와 인간계의 연결

        조정은(Jo, Junge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1 No.-

        『관자』에서 초기 단계 음양오행설로 평가받는 편들은 실제 음양오행설을 말할 만큼 논의가 진전되지는 않았지만, 진전된 논의를 평가할 기준으로 오분 체계 구성 요소의 확장 정도와 자연계와 인간계의 유기적 연결을 전제한 시령(時令)의 심화 정도를 제시해 준다. 발전된 단계의 음양오행설로 평가 받는 「유관(幼官)」, 「사시(四時)」, 「오행(五行)」, 「경중기(輕重己)」는 계절에 따른 군주의 정령인 시령이 중심을 이룬다. 즉, 음양오행설이 시령에 담겨 있는 것이다. 이들 네 편은 음양오행설 영향 아래 법가적 사유와 음양가적 사유에서 발전되어 온 시령의 특징을 각각 보여 준다. 「경중기」의 시령은 사분 체계여서 오행설의 영향력을 말하기 힘든 가장 초보적 형태인데, 그 내용은 「유관」으로 이어지면서 군주의 통치 행위에 관한 지침이 오분 체계로 구체화된다. 통치에 관한 실제 지침을 위주로 구성된 이 두 편은 인간계에 무게를 두고 자연계와 합일을 지향한 시령으로, 군주의 통치 원리에 효율성과 정당성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법가적 사유에 가깝다. 이에 비해 「사시」는 오분 체계에 군주의 수칙이 아닌 자연계의 구성물을 배열하고 「오행」은 오행 상생 순서와 한 해의 흐름을 연결시켜 자연계에 상대적으로 더 관심이 많다. 이 두 편은 천인상응(天人相應)에 근거해 재이설(災異說)을 발전시키는데, 이는 자연계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바탕으로 군주의 통치 행위를 제재하는 논의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음양가적 사유에 가깝다. 이처럼 「경중기」와 「유관」은 인간계에 무게를 두고 자연계와 합일을 추구하고, 「사시」와 「오행」은 자연계에 무게를 두고 인간계와 합일을 도모하는 가운데 시령을 발전시켰다. Guanzi’s chapters that are evaluated as early stages of the Yin-Yang and Five phases theory do not actually present discussions advanced enough to be classified as part of this theory. However, they suggest criteria for analyzing advanced discussions of this theory: how much the five-division classification is expanded and how closely seasonal ordinances take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the natural and human worlds into consideration. The “Youguan,” “Sishi,” “Wuxing,” and “Qingzhong ji” chapters, whose main contents are seasonal ordinances or political stipulations of the ruler in accordance with seasonal changes, are evaluated as advanced stages of the Yin-Yang and Five phases theory. In order words, the Yin-Yang and Five phases theory exerts its influence on seasonal ordinances. These four chapters demonstrate two kinds of features appearing in the development of seasonal ordinances: one is close to Legalist ideas and the other is close to ideas of the Yin-Yang school. The seasonal ordinances of “Qingzhong ji” which is based on the quadrant system is the most rudimentary form that displays very little influence of the Five phases theory. Its contents are elaborated further in “Youguan” and political stipulations of the ruler are embodied in the quintuple system. These two chapters describe seasonal ordinances in the quest for unity between the natural and human worlds while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human world in order to generate efficiency as well as legitimacy for the principle of the ruler’s governance; in this sense, their discussions are close to Legalist ideas. In comparison, “Sishi” arranges elements of the natural world instead of political stipulations of the ruler in the five-division classification, and “Wuxing” connects the generating cycle of the Five phases with the passage of the time of the year, which support their relatively higher interest in the natural world. These two chapters develop discussions on calamities and anomalies based on the idea of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s, which has an effect of warning the ruler. This discussion, most probably formulated by the Yin-Yang school, can be seen as imposing restrictions on the ruler’s governance based on a deepened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In summary, “Qingzhong ji” and “Youguan” pursue unity between the natural and human worlds with more emphasis on the human world, while “Sishi” and “Wuxing” pursue the same goal with more emphasis on the natural world.

      • KCI등재

        현상계 너머를 지향하는 『노자』와 현상계로 내려온 한나라의 『노자』 해석

        Jo Jungeun(趙貞恩)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노자』의 유위 비판은 다른 제자백가의 주장과 차별화되며 강력한 울림을 지닐 수 있었지만, 소규모 종교 집단이라는 특수한 입장에서 내린 극단적 처방이었던 만큼 소극성 일변도와 강압성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춘추 전국 시대라는 혼란기에 소박한 소규모 공동체로 복귀할 것을 염원하며 강력한 유위비판을 앞세운 『노자』의 메시지는 한나라라는 새로운 시공간에서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울림을 갖기 어려웠다. 한나라의 『노자』 해석자들은 무위를 유위의 제거 대신 자연을 따르는 움직임으로 정의하면서 자연성과 어울리기 힘들었던 소극성 일변도와 강압성을 극복한다. 이러한 적극적 무위관의 등장에는 시대적 변화뿐 아니라 도가 현상계 너머 무를 근본으로 하는 속성에 머물지 않고 현상계의 역동적 속성까지 아우르게 된 사상적 변화도 영향을 주었다. 한 나라의 『노자』 해석은 시대적 사상적 변화에 부응하여 『노자』의 문제점을 극복한 해석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욕망을 자극하는 산물과 공존을 선택하며 도의 고요한 속성을 닮은 내면 수양을 강조하면서 또 다시 자연성에서 멀어지는 문제를 떠안게 된다. The Laozi's idea of denouncing deliberated human action could receive firm support while being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Hundred Schools of Thoughts. However, this idea, which was an extreme assertion of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most probably the religious cult of the Pole Star, has its drawbacks, namely sustained passivity and coerciveness. The idea of denouncing human action would not be readily accepted under the new era of the Han, since this idea was proposed out of an aspiration to restore small communities of the remote past in the hope of ceasing the chaos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s. As a new approach to the Laozi, the Han expounders offer a positive definition of wuwei 無爲, namely human action in accordance with ziran 自然 (so of itself), instead of a negative definition of exclusion of deliberated human action as in the Laozi. With this positive definition of wuwei, they exonerate the Laozi from passivity and coerciveness. The new interpretation of wuwei was not only encouraged by the advent of the new era but also by the philosophical change that sees dao 道 as the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ly realm,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ao in the Laozi, namely serene ones behind the earthly realm. The Han expounders present a compelling interpretation of the Laozi that solves the Laozi's predicament while reflecting the changes both in time period and in the perception of dao. However, as they support human beings not disturbed by objects of desire, their interpretation is caught in another predicament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ner cultivation which appears to require painstaking efforts.

      • KCI등재

        「악기」의 예악론과 음양사상

        조정은 ( Jo Jungeu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예기』 「악기」는 음양사상의 영향 아래 예악이 상보적 대비를 이루는 논의와 예악 시행자가 자연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를 구성하며 예악론을 발전시킨다. 음양사상에 담긴 상보적으로 대비되는 두 요소로써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은 예와 악에 여러 요소를 대응시키는 논의를 구성하였고, 천인상관적 시각은 예악을 통해 자연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으로써 예악 시행자의 역할을 강화하는 논의를 구성하였다. 이 두 내용을 중심으로 「악기」에서 예악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는 있으나 아직 정연한 논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우선, 상보적 예악 개념을 중심으로 그 내용이 풍부해지고, 예악이 천지에 대응되면서 자연계에 대한 논의까지 아우르며 예악론 전개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어 내고 있으나, 예악에 대응되는 요소들이 예악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만은 아니고 예악과 상관성이 약한 요소도 포함된다. 또한 「악기」는 악이 마음에서 유래한다는 시각을 강조하고, 이 시각에 근거해 악에 여러 성격을 부여하지만 그 내용이 일관적이지는 않다. 다음으로, 예악 시행자에 대한 논의는 「악기」 예악론의 주요 내용이지만 이 논의 안에서 예악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찾기는 어렵다. 악에 대해서는 악이 자연계의 생명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악에 대해 이미 공유된 시각을 예악론으로 확장시킬 뿐이고, 자연계에 대한 예의 영향력은 거의 서술되지 않는다. 「악기」의 예악론은 음양사상이 널리 인식된 사상적 배경이 있었기에 상보적 예악 개념과 자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예악 시행자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예악론의 중요한 기틀이 마련됐지만 아직 정연하고 일관된 논의로 완성되지는 못했다. Under the influence of the Yin-Yang theory,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in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elaborates the contrasting yet complementary concept of ritual and music and advances the argument that the implementer of ritual and music influences the natural world. The Yin-Yang theory sees the world based on contrasting yet complementary pairs, and this viewpoint develops the discussion that corresponds various elements to ritual and music. In addition, the Yin-Yang theory presents a viewpoint that the human world and the natural world are interconnected; based on this idea, it formulates the argument that ritual and music influence the natural world, which strengthens the role of the implementer of ritual and music.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is developed in detail in “Yueji”,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to evaluate it as an orderly discussion. To be more specific,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formulates a detailed argument centering on the complementary concept of ritual and music. In addition, it includes the discussion of the natural world as the complementary concept of ritual and music is connected to heaven and earth, which can be considered substantial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However, not all elements corresponding to ritual and music directly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and some have weak correlation with them. Moreover, “Yueji” emphasizes the view that music originates from the heart, and based on this view, various characteristics are given to music, but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stent. The implementer of ritual and music i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of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of “Yueji”, but a new perspective on ritual and music is hardly provided in relation to this subject. That is, as for music, it only extends the already shared view on music, which is that music helps promote the vitality of the natural world, to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ritual on the natural world is rarely addressed.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of “Yueji” was able to develop discussions on the complementary concept of ritual and music and the implementer of ritual and music who exerts influence on the natural world, thanks to the wide recognition of the Yin-Yang theory. As a result, it lays a solid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on ritual and music; however, it has yet to be completed with a coherent and consistent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