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7)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정인관(Inkwan Chung),한우재(Woojae Ha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4

        이 논문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07-2017년 자료를 활용, 한국의 27-80세 성인들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자살시도와 관련해서는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들 중 자살시도를 해본 사람들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이를 통해 자살생각에서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두 단계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요인들을 확인해보았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거주지역, 결혼상태, 교육년수, 가계소득, 1인 가구 여부, 흡연상태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자살시도와는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지 않았다. 이에 비해 연령, 성별, 취업상태, 우울감, 스트레스의는 두 단계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이 두 단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효과는 반대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청소년이나 노년층에 집중되어 있던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는 연구와 정책이 이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of adults aged 27-80 using the 2007-2017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suicide attempts, the responde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had suicidal thought. This allow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 in both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residence area, marital status, years of education, household income, household composition, and smoking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thoughts, but not on suicide attempts. On the other hand, age, sex, employment status, depression, and level of stress were significant in both stages. We emphasize that research and policies regarding suicidal behavior should consider various age groups, away from the previou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youth and the elderly.

      • KCI등재

        자살생각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대한 연구

        정인관(Inkwan Chu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3

        한국의 자살률은 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특히 노인과 청소년의 자살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기존의 연구들은 자살생각과 관계있는 사회인구학적 특성들을 밝혀내왔다. 그 중에서 사회적 연결의 효과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틀 안에서 연구되어 왔다. 많은 연구들은 개인의 연결망과 사회활동 참여 등 사회적 자본은 자살생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2018-2019)를 이용,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사회적 자본의 효과가 생애주기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30~40, 50, 그리고 60대 남성과 여성 집단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을 다음의 일곱 가지 변수로 측정했다. 이 변수들은 평일에 접촉하는 가족이나 친척의 수, 평일에 접촉하는 기타 인원수, 타인에 대한 일반적 신뢰, 공식/비공식적 조직에 참여하는가, 금전적이고 정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 그리고 현재 사는 곳에서의 거주기간이다. 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인 학력, 교육수준, 결혼상태, 고용상태, 월 평균 가구소득, 우울감, 주관적 건강상태, 거주지역 등을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선형확률모형 분석의 결과는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과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에 대한 해석과 정책적인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uicide rate in Korea is the highest among the OECD countries, and the suicide of the elderly and adolescents, in particular, is considered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is regard, existing studies have reveal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icidal thoughts. Among them, the effect of social connection has been studi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capital.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social capital, such as personal network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plays a role in suppressing suicidal thought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s" suicidal thoughts using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s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2018-2019).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can vary depending on life cycle and gender, we looked at groups of men and women in their 30s, 40s, and 50s separately. This study measured social capital with the following seven variables: the number of non-residential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n contact on weekdays, the number of other people in contact on weekdays, general trust in others, whether participating in formal/informal organizations, the number of people whom respondent can receive financial and emotional help, and the length of residence where they live. Socio-economic factors that can influence suicidal thoughts such as gender, education,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sidential area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linear probability model analysis is that the effects of each item of social capital on suicidal thought vary by gender and age group. Interpretation of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의 디지털 불평등: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4~2019 분석

        정인관 ( Inkwan Ch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대 이후 한국 성인들의 정보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해보기 위해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의 6개년도 자료(2014~2019)를 이용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평균적인 정보화 수준은 꾸준하게 높아져 왔으며, 사람들 사이의 격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 불평등이 연령, 성별, 학력, 그리고 가계소득에 의해 얼마만큼 설명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2014~2018년에 걸쳐 각각의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정보 불평등을 설명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2019년에는 네 요인들 모두 이전 해에 비해 정보 불평등을 설명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10년 이후 감소한 정보 불평등의 수준이 다시 높아질 수 있을 가능성을 함축한다. 특히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보다 높은 수준의 활용능력 및 비용을 요구할 때 불평등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후속 연구들은 새롭게 수집되는 자료들을 통해 불평등의 경향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발전된 분해분석 기법을 이용, 복수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효과 변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digital inequality among Korean adults has changed since the 2010s. We achieve this by utiliz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2014~2019). Over the six-year period, the average level of digital ability has continued to rise, and the gap between people has decreased. Next, we used decomposition analysis to determine how much digital inequality is accounted by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Findings show that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 explaining digital inequality has decreased across this period. However, the proportion of all four factors explaining inequality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2019. This implies that the level of digital inequality, which has temporarily decreased since 2010, could rise again. This will be particularly true when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requires a higher level of skill and cost. Future studies need to continually identify the trend of digital inequality through newly collected data.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consider multiple factors simultaneously through more advanced decomposition analysis techniques.

      • KCI등재

        일본의 세대 간 절대적 사회이동에 대한 연구 -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 2009년과 2019년 비교 -

        정인관(Inkwan Chung) 한국사회이론학회 2022 사회이론 Vol.- No.62

        이 논문은 일본 사회의 세대 간 사회적 이동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먼저, 절대적 이동성의 추세에 초점을 맞춘다. 사회적 이동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상대적 이동성의 분석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절대적 이동성이 사람들의 사회이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객관적 이동에 더해 이동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상황을 특정한 준거집단의 경험과 비교하여 이해한다. 셋째, 이러한 논의를 통해 세대 간 사회적 이동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2009년 및 2019년 불평등 모듈 자료를 OLS 회귀분석과 선형 확률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절대이동성 측면에서는 2009년에 비해 2019년 상승이동의 비율이 증가했다. 다만 표본을 26~45세로 제한하면 같은 기간 특히 남성을 중심으로 하향 이동성 추세가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동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관련, 실제로 상승이동이나 수평이동을 겪은 많은 사람들이 하강이동을 경험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선형확률 모형 분석의 결과 젊은층(26~45세)이 하강 이동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과거 일본이 겪었던 것과 비슷한 곤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저계급론과 같은 담론이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젊은 세대가 오늘날 한국의 상향 이동 가능성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객관적인 사회 이동성과 이동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일본과 한국의 사회 이동성과 불평등을 비교하는 작업은 오늘날의 현실을 평가하고 어떤 정책적 구상을 취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f Japanese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trends in absolute mobility. Previous research on social mobility has mainly focused on relative mobility. However, recent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necessity for more focus on absolute mobility. Second, I would also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degree of subjective mobility. People frequently make comparisons with members of groups who have their coveted statu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own situations. Third,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ultimate goal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social mobility across generations. Using the 2009 and 2019 inequality modules of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SSP), I conduct OLS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probability model to analyze the data. In terms of absolute mobility, upward mobility increased between 2009 and 2019. However, when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people aged 26-45, the downward mobility trend was strengthened over the same period, particularly for men. Subjective mobility perception showed a strengthening downward tren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young people(aged 26-45) were more exposed to the risk of downward mobility. Todays Korean society is in a similar predicament to what Japan experienced in the past. The predominance of ideas like “the spoon class theory,” which is common discourse, demonstrate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is currently pessimistic about the likelihood of upward mobility in Korea. The gap between the objective social mobility situation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mobility is expected to widen if this situation continues over time in Korea. In that regard, the work comparing social mobility and inequality between Japan and Korea will offer a chance to assess reality and consider what policy initiatives should be taken.

      • KCI등재

        일본의 한국학 학부생들의 전공선택 배경과 취업전망: 동경외국어대 조선어전공 사례 연구

        정기인 ( Kiin Chong ),정인관 ( Inkwan Ch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논문은 도쿄외국어대학 조선어전공의 사례를 바탕으로 일본의 한국학 학부생들의 전공 선택 배경과 취업전망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쿄외대 재학생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설문조사 결과 성별이 한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열망, 졸업 후 한국과 관련된 직업을 얻고자 하는 열망 및 기대와 높은 연관성을 맺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에 관련된 직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한국어 학습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 면접 결과 다수의 조선어과 학생들이 입학 초기에는 한국과 관련된 일을 희망하나, 구직활동을 시작하면 한국 관련 직업 선택의 한계를 마주하게 된다. 그 이유는 단순 서비스직에 국한되는 일본의 한국 관련 직업들, 한국과 일본의 기업문화 차이, 기업과 관련된 정보 부족, 기업과 소통의 어려움, 한국어를 전공하지 않은 한국어 사용자의 존재 때문이다. 한국학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한국학 전공의 학부생들에게 한국과 관련된 보다 많은 양질의 직업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background of college major choice and prospects of job selec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n studies in Japan using the case of Korean major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e conducted both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for enrolled students and alumni. Findings show that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the desire to study Korean and the desire to get a job related to Korea after grad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ctation of getting a job related to Korea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weekly time allocation on studying Korean. From in-depth interviews, we learne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major students wanted to do work related to Korea at the beginning. It is when they start a job search that they face the limit of job opportunities. These are careers limited to simple service jobs, differences in corporate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lack of information,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and the presence of non-majoring Korean specialists. We argue that providing more decent job opportunities for those graduates is essential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Korean studies.

      • KCI우수등재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박현준(Hyunjoon Park),정인관(Inkwan Chung)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3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세대 간 사회이동이 감소하고 있다는 믿음은 ‘수저계급론’을 비롯한 다양한 담론들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에서 세대 간 상대적 사회이동이 줄어들지 않았거나 오히려 늘어났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한국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49~68년생)과 201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69~88년생)을 대상으로 지난 20년 사이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 수준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확인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는 20년 차이를 두고 태어난 두 집단 남성들의 사회 계급을 30~49세라는 같은 나이에 측정한 자료를 가지고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교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의 한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절대적 이동률은 여전히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난 20년 사이 한국에서 계급의 상승 이동률은 감소하였으나 이는 부모들 중 농민계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감소함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 볼 수 있다. 둘째, 1998년에 비해 2018년의 상대적 사회이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핵심 유동성 모형을 이용하여 세대 간 사회이동의 증가 원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사회의 개방성 증대는 서비스 계급과 일상적 비육체 노동자 계급의 세습 약화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한국사회의 세대 간 사회이동이 낮아지지 않았다는 기존 연구의 결론을 재확인해준다. 그럼에도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현실의 괴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계급구분에 대한 고려, 세대 간 소득이동 분석,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출생코호트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Widely spreading out in contemporary Korea is a public perception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s declining. However, recent scholarly works report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not decreased but rather has increased. Using individual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collected in two different years over the period of 20 years, we assess how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chang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etween 30-to-49-year-old men in 1998 (i.e., those born between 1949 and 1968) and their counterparts of the same age range in 2018 (i.e., those born between 1969 and 1988). By comparing two groups of men born 20 years apart but measuring their social classes for the same age range, our study overcomes the main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social mobility rates in Korea are still comparably high. Although upward mobility rates have declined somewha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trend is primarily due to rapid decline in the share of sons who originated from the farmer class. Second, relative social mobility has increased between 1998 and 2018. Third, the core social fluidity model applied to social mobility tables in both years shows that inheritance of service class and routine non-manual class, two classes often classified as a white-collar class, has decreased between two birth cohorts, probably contributing to the overall increase in relative social mobility.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recent studies showing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n Korea has not declin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ublic perception and scholarly works on trends in social mobility, more research is needed, especially with more sophisticated class classification and additional analyses on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the more recent cohorts born in the 19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