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천시 대방동 해안 당산숲,비보숲의 특성 및 관리방안 고찰

        ( Jai Ung Choi ),( Dong Yeob Dong ),( Mi Heui Kim ),( Sang Young Sang ),( Lock Whan Jo ),( Bang Hun Kang ),( Sang Bu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천시 대방동에 있는 당산숲 · 비보숲을 대상으로 해안가 전통마을숲 또는 전통경관으로서의 보전 · 관리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대방동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논이 없고 도시화되어 있다. 근래 마을 옆에 큰 다리, 삼천포대교가 건설되고 교통량이 많아져서, 도시화로부터 당산숲을 지켜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대방진굴항(大芳鎭掘港)이라 불리는 이 곳의 해안 당산숲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숨겨 놓았던 수군 기지로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비보숲과 함께 관리되어 왔다. 당산나무인 느티나무 수령은 743년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당산나무는 고려 원종(l259~1274) 재임기간인 1268년에 각산산성과 봉화대가 건설될 때 같이 심어진 것으로, 대방진과 각산산성, 봉화대는 당시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연구결과로서, 당산숲의 개념은 민간의 마을뿐만 아니라 관공서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대방동에는 두 개의 당산숲과 한 개의 비보숲이 있다. 즉, 해안가 당산숲은 옛 조선시대 대방진굴항의 수군(水軍)을 위한 것이고, 마을 뒷산에 있는 또 하나의 당산숲은 주민을 위한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부산시 좌수 영성지(左水營城址)에 있는 두 개의 당산나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민들은 음력 정월대보름에 당산제를 지낸다. 비보숲은 많이 훼손, 파괴된 채 일반공원으로 이용되고 있고, 해안가 당산나무는 마을집과 상가 건물에 둘러싸여 비좁은 공간에 갇혀 있다. 전통문화경관으로서의 수변공간인 이 당산숲 · 비보숲 관리방안 고찰에서는 당산나무의 충분한 영역 확보와 뛔손 · 손실된 비보숲의 복구를 제안하였다. 한편, 전통문화경관으로서의 당산숲 특성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마을과 주민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means to preserve the Dangsan and Bibo forests in Daebang-dong, Sacheon, Korea, which is a traditional village forest and a cultural seashore landscape. Daebang-dong is located at a coastal area that is urbanized and does not carry rice paddies any more. With a big bridge constructed lately nearby the village, the traffic has become heavier. Therefore it became an important issue to protect the Dangsan forests from the urbanization. The Dangsan forest located at a seashore of Daebang-dong, called ``Daebangjin port facilities``. It was a small naval port, and was used by admiral Lee, Sun 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during Choson dynasty. Admiral Lee hid the Turtle ships at this port and later attacked the Japanese warships. Daebangjin was formed as a combination of Dangsan forest and Bibo forest. The Dangsan tree, Zelkova serrata, is more than 743 years old. It was planted in 1268 when Gaksan fortress and a signal fire station were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Wonjong(1259~1274) in Goryeo Dynasty. The Daebangjin and Gaksan fortress were built to protect local residents from Japanese pira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 of Dangsan forests was applicable not only to a village, but also to the sca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In Daebang-dong, there were two Dangsan forests and one Bibo forest. That is, the Dangsan forest at seashore was used by soldiers at naval port during Choson dynasty, and the Dangsan forest at the hillside was used by residents. We can see the similar case of two Dangsan trees at ``Jwasuyeongseongji`` in Busan. Dangsan ritual is an event commonly held by local residents on the January 15th by lunar calendar. The Bibo forest has been disturbed largely and now it is converted into a public park. The Dangsan tree at the seashore was surrounded by houses and commercial buildings. A management plan for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Dangsan forest and Bibo forest in Daebang-dong is suggested, securing sufficient space for the Dangsan tree. The disturbed areas in Bibo forest should be restored. It seems that governmental supports to village and local residents are necessary in order to sustain the virtue of the Dangsan forest as a cultural landscape.

      • KCI등재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론 고찰

        최재웅(Jai-Ung Choi),김동엽(Dong Yeob Kim),이상영(Sang-Young Rh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지역성과 세계성을 같이 갖추어야 하며, 한국 고유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많은 당산숲이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청도군 신원리의 4개 자연마을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이 연구는 신원리 4개 마을의 당산숲ㆍ비보숲과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하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은 한국 농촌이 갖고 있는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제고하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angsan forests ar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y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It is necessary for a cultural contents to have locality and globality so as to represent Korea.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Although many Dangsan forests have been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the four villages in Sinwon-ri have retained Dangsan forests with Dangsan ritual. In this study, a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including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rice paddy field, and stream in Sinwon-ri was suggested. This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can be developed to unique glocal cultural content of rural Korea, and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value of the Dangsan forest’s, and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최재웅 ( Jai Ung Choi ),김동엽 ( Dong Yeob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환경정책연구 Vol.4 No.2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당산숲ㆍ마을숲은 하천변에 위치한 수변림(Riparian buffers)으로서, 하천통로에 연결된 녹지 패치이다. 당산숲ㆍ마을숲은 약 400~500년 전에 마을주민들이 자연재해 예방 등의 목적을 위해 하천변에 인공적으로 심은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당산숲ㆍ마을숲은 그 동안 많이 훼손되고 소실되어 그 실체가 도시민 등 많은 사람들에게 그 실체와 가치가 잘 인식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은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ㆍ마을숲이 갖고 있는 경관생태적 기능과 역할 제고 방안을 찾고자 한 것으로 첫째, 국내외자연형 하천관리 및 당산숲ㆍ마을숲의 특성, 둘째로 당산숲ㆍ마을숲과 하천의 상관관계, 셋째로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ㆍ마을숲의 기능 고찰 및 역할 제고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자연형하천 관리에서 외국의 사례는 유럽 등을 살펴 보았고, 국내의 자연형 하천관리 시책으로는 건설교통부의 ‘친환경 하천정비 기본계획 수립지침’(2005), 환경부의 ‘하천복원 가이드라인’(2002), 행정자치부의 ‘소하천정비 종합계획’을 고찰하였다. 당산숲ㆍ마을숲과 하천의 상관관계에서는 하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과 수질을 측정하였는데, 통계패키지 SPSS 12.0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10%를 기준으로 분산분석한 결과, 출현종(군)의 수, GPI(군오염지수), DO, 수온, pH, EC, BOD, COD, SS, T-N, T-P 등 모두 11개의 조사항목 중 출현종(군)의 수, GPI, DO, EC, BOD, SS 등 여섯 항목에서 숲의 유무에 의한 차이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당산숲ㆍ마을숲의 기능 고찰 및 역할 제고에서는 먼저, 선진 외국에서 수변완충녹지의 기능을 어떻게 이해하며 중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후, 우리나라 당산숲ㆍ마을숲이 갖고 있는 수변림으로서 특성과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역할 제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으로, 수변경관으로서 당산숲ㆍ마을숲의 기능ㆍ역할 제고를 통해 우리나라 현실에 근거한 ‘한국형 하천경관 관리 방안’을제시하였다.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RCF) have been historical assets for the rural communities of more than 40,000 in Korea and they have provided an identity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parts of a unique cultural landscape in the rural areas as components of stream landscape. In many cases,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located close to stream corrid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on stream water quality and to evaluate its ecological landscape valu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oncensus and domestic government policy for close-to-nature stream, we could find out that Dangsan forests and RCF`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ose-to-nature streams.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s close to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maintained with local culture. It is also compared to the streams located wher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absent. Eight study sites were select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tudy sit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temperature, pH, total P, total N, dissolved oxygen, EC, BOD, COD and SS. Aquatic invertebrates were observed as water quality indicator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quatic invertebrate species, GPI, DO, EC, BOD, and 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eam water due to the presence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The role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 was evident in the conservation of stream landscape and rural culture as well as in maintaining stream water quality. The management schemes of the streams with Dangsan forests and the RCF`s a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고흥군 신금마을 당산숲의 관리 개선을 통한 농촌마을 활력 제고방안 고찰

        최재웅 ( Jai Ung Choi ),김동엽 ( Dong Yeob Kim ),김미희 ( Mi Heui Kim ),안옥선 ( Ok Sun Ahn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3 농촌지도와 개발 Vol.20 No.2

        이 연구는 고흥군 신금마을 당산숲의 특성,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관리 개선방안 고찰을 통해 농촌마을 활력을 제고하고자 한 것이다. 해안가마을인 신금리의 당산숲은 비보숲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당산숲+비보숲’ 유형을 갖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62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으로 지정되어 있는 당산숲 안에는 학생수련장 건물이 들어서면서 훼손되고, 둘레에 철책이 설치되면서 마을주민들 조차 출입이 금지되어 1년에 한번 당산제를 지낼 때에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비보숲은 나로도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면서, 관리 부재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등 천연기념물로서 당산숲의 명칭, 이용행태에서 많은 문제점과 함께 올바로 활용 되지 못하고 있다. 신금마을의 당산숲이 현재까지 수백 년간 그 아름다움을 유지해 온 원동력은 당산제 등을 통해 마을주민들이 지키고 보호해 왔기 때문이다. 현재 마을이장 홀로 당산제를 지내며 마을 성지(聖地)로서의 위상이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신금마을 당산숲은, 전통문화경관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관리 문제 개선을 통해 마을의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condition of the Singeum village`s Dangsan forest, and to seek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by improving management scheme. The Dangsan forest in Singeum-ri, Goheung-gun was composed of a Dangsan forest and a Bibo forest. The Dangsan forest wa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 362, and named ‘Evergreen forest of Bongnae-myeon, Goheung`. The Dangsan forest area has been disturbed by the building of student training center. Even the local resident couldn`t enter the forest due to the fence at the forest boundary except for Dangsan ritual which used to be serviced once a year. The Bibo forest was included in a beach area, and disturbed by lack of management. The Dangsan forest did not stay in good condition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wrong naming as a natural monument and misuse. The driving force of the Dangsan forest maintaining the beauty for several hundred years originated from the conservation of the forest with Dangsan ritual by local residents. Today, the Dangsan forest is in danger of being vanished and not regarded any more as a holy place due to inaccessibility for Dangsan ritual. The Dangsan forest in Singeum village needs to enhance its value as a tradition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improving the management scheme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village.

      • KCI등재

        의성 사촌리 가로숲의 현황 및 천연기념물 명칭에 관한 고찰

        최재웅 ( Jai Ung Choi ),김동엽 ( Dong Yeob Kim ),김미희 ( Mi Heui Kim ),강방훈 ( Bang Hun Kang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조록환 ( Lock Whan Jo ),김상범 ( Sang Bu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 비보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으로서, 수백 여년 전 마을주민 들에 의해 조성된 후, 현재까지 주민들에 의해 보전 · 관리되고 있는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천연기념물 제405호(명칭: 의성 사촌리 가로숲(義城 沙村里 街路숲))로 지정되어 있는 경북 의성군 사촌리 전통마을숲은 당산숲으로서, 사촌리 입향조에 의해 600여년 전 조성된 유서 깊은 숲으로 알려져 있다. 숲에서 지내던 당산제는 1700년대에 기령산 자락의 당집으로 옮겨 지내게 되었고, 현재도 이 당집에서 지낸다. 숲 안에서 지내던 당산제가 숲 밖으로 바뀌어졌다고 하여, 당산숲으로서의 성격, 위상이 상실된 것은 아니라고 파악된다. 그러나, 현재 이 숲은 당산숲으로서 이해되지 않고 있으며, 가로숲이라는 이름으로 비보숲으로서만 소개되고 있다. 문화유산이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문화유산의 크기와 특색의 관계를 바꾸는 새로운 축조, 파괴 또는 변형은 허용되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거기에 부여된 의미, 가치가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 은 약 920×90m 규모로서, 건개천인 하천변 양쪽에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회화나무 위주의 낙엽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학자수(學者樹)로 알려진 회화나무 거목을 통해 이 숲의 역사, 유래가 유교문화(儒敎文化)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촌리 당산숲은 하천변 수변림(水逢林, riparian buffer)으로서 현재의 명칭인 가로숲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명칭인 ``의성 사촌리 가로숲`` 은 ``의성 사촌리 당산숲``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곳은 현재 가로숲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당산숲으로서 올바로 명명되어 전통문화 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보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 and Bibo forest in Korea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The Natural Monument # 405 named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was established by the ancestors who settled in the village about six hundred years ago. The Dangsan ritual had been held in the forest and the ritual started to be held at a shrine since early 1700`s. Although the place where Dangsan ritual was held has been transferred from forest to outside forest, the status of Dangsan forest was not changed. The forest has not been known as a Dangsan forest. Instead, it has been known as a Bibo forest with a name meaning roadside forest. It is our duty to hand historic monuments on in full richness of their authenticity. No new construction, demolition or modification which would alter the mass and colour must be allowed. Furthermore, every means must be taken to facilitate the preservation of the monument and to reveal it without distorting its meaning.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is a deciduous forest composed of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and Sophora japonica, with a size of 920mx90m at the side of a stream. An old Sophora japonica tree known as a scholar tree indicates that this forest is related to confucianism. The nam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does not seem to be correct. In fact,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 in Sachon-ri was a riparian buffer.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need to be changed to ``Dangsan forest in Sachon-ri, Uiseong``. With a correction on name and authenticity restore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 Sachon-ri would be recognized effectively.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 잠재지로서 순천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의 경관 특성

        최재웅(Jai-Ung Choi),김동엽(Dong-Yeob Kim),이창환(Chang-Hwan Lee) 한국농촌지도학회 2015 농촌지도와 개발 Vol.22 No.3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at Dongnae-ri, Seonae-ri, Namnae-ri, Pyeongchon-ri and Gyochon-ri were investigated. And the potential for registra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has been discussed by linking the Dangsan forests at the five sites. Dangsan forest, a traditional village forests of rural Korea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of Dangsan ritual.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retained the landscape of town fortress during Choseon Dynasty and the Dangsan ritual as a living culture. The three villages inside Naganeuoseong have kept their Upper Dang, Middle Dang and Lower Dang. There were 21 old trees in total; Zelkova serrata (2), Celtis sinensis (7), Aphananthe aspera (5) trees, Carpinus tschonoskii (2) and Ginkgo biloba (3). The three Dangsan trees and an old Aphananthe aspera, known as to be planted by the Admiral Yi Sun-sin were recognized. The two villages located outside of village fortress also have kept their Dangsan ritual. It is important whether the sites possesses authenticity in order to b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been verified for the authenticity, which should be focused. The places need to be clarified for their landscape features formed as a Dangsan forest, and ustainabl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are to be devised.

      • KCI등재

        청송군 이전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전 방안

        최재웅 ( Jai Ung Choi ),김동엽 ( Dong Yeob Kim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 관리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규모가 큰 소수의 당산숲은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규모가 작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당산숲은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 이제 당산숲은 전통적인 한국 농촌마을의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 경관자원으로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 할 때이다. 청송군 이전리의 두 개 자연마을은 작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마을 위쪽에는 명승 제105호인 주산지가 있고 마을주민들은 주산지 물로 농사를 짓고 있다. 이 연구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농경지, 하천 및 주산지를 포함한 당산숲 경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방법론으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 등을 고찰하였다. 주목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당산숲과 농촌경관 특성이 올바로 이해되고 관리된다면,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높이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s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as a national cultural asset in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The Dangsan forests established in a large area have been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mall scale Dangsan forests, however, are not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Dangsan forests have a value as a core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s of Korea. The two villages at Ijeon-ri, Cheongsong-gun have small Dangsan forests where Dangsan ritual is performed. At one of the villages, there is Jusanji Reservoir designated for Scenic Site # 105, from which the water is used for growing crops.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rice paddy field, stream, and the Jusanji Reservoir. A conservation measure of rural landscape for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by designating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Dangsan forests, especially where they are in small scale like those of Ijeon-ri, tend to be neglected. The Dangsan forests ought to be recognized for their value and by providing a management scheme including neighborhood elements such as farm fields and streams they can be revitalized to be core areas for conservation of rural landscape.

      • KCI등재

        부안군 죽막마을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호지역 설정

        최재웅 ( Jai Ung Choi ),김동엽 ( Dong Yeob Kim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부안군 격포리 죽막마을은 작은 해안마을이지만, 국내 최대의 고대 해양 제사터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이러한 ``부안 죽막동제사유적``(5~6세기, 삼국시대 백제)이 마을 당집(수성당)을 둘러싸고 있는 당산숲인 곰솔림에서 발굴된 것은 당산숲의 기원과 관련하여 큰 의미가 있다. 명승 제13호인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안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제58호인 수성당(水城堂)과 천연기념물 제123호인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이 있다. 주민들은 매년 수성당에서 ``수성당개양할미 당신제``를 지내고 있으며, 수성당과 비보숲인 후박나무 군락의 실제적 관리는 모두 마을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부안 죽막마을의 제사유적, 비보숲, 해안, 농경지를 포함한 당산숲의 경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위한 문화경관 보전 방법론으로,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서의 관리방안을 고찰하였다.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먼저 죽막마을 당산숲의 경관 특성이 올바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후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서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Chungmak village, Gyeokpo-ri, Buan-gun is a small seashore village, it`s an important place that has the largest ancient maritime ritual sites in Korea. This ``Chungmak-dong Ritual Site``(5~6 century, Baekje of the Three-kingdom period) was located in the Dangsan forest of Black Pine ( Pinus thunbergii) Colony, and that has a significant meaning concerned with Dangsan forest`s origin. Chungmak village located in the Scenic Site # 13 named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oastal cliff in Buan``, and have retained the Jeollabuk-do Tangible Cultural Property # 58 named ``Suseongdang``, the Natural Monument # 123 named ``Machilus community in Gyeokpo-ri, Buan``. The ``Suseongdang Gaeyang Grandmother Dangsinje (Village Ritual)`` which is Dangsan ritual has been held every year by village residents. The practical management of Suseongdang and Machilus community has been conducted by village residents.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 were investigated including neighborhood elements such as Bibo forest, seashores, and farm fields.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landscape was thought to be achieved by designating ``Protected Area of Sacred Natural Sites``. The Dangsan forest ought to be recognized for their valuable landscape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managed as a protected area and a sacred natural sites in order to be register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9)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최재웅(Jai-Ung Choi),김동엽(Dong Yeob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village forests in the Jeju Island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as a national cultural asset in Korea. There are 368 Oreums, parasitic volcanoes, and 391 shrines of Dang(Divine place) in Jeju. Currently, the shrines of Dang are damaged by the Jeju Olle trail path and road constructions. It’s time for cultural consents to be obtained with locality and globality. And need to produce our own unique contents, glocal cultural contents. In this study, the establishment of trail path of Jeoji Oreum in relation to the Dang in the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By linking the Dangsan forest to the Jeoji Oreum trail path, it enables the path to contact with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 Rural villages in Jeju with the Oreum and Dang are expected to get an international attention as to have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s of Korea. It needs to be managed to retain their original form and in connection with the trail p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