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상업공간의 이동행태에 따른 주시영역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

        문보경 ( Moon Bokyu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복합상업공간은 국내의 경우 20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 급속도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심형 몰이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복합화된 대규모 상업공간이 형성되고 있다. 복합상업공간은 대규모의 광범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어 공간 이용자들이 쉽게 전체적 공간형태감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복잡한 공간구성 및 다양한 시각적 정보에 노출되어 공간 이용자의 혼란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시각적 요소가 그 공간의 목적이나 방향과 각도를 똑똑하게 전해 준다면 이용자는 기타 시각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받아들일 수가 있다. 이용자들이 공간인지를 위해 시각적 요소를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복합상업공간에서의 이용자의 이동행태에 따른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한 시선의 정량적인 정보 취득을 통하여 이동 시 주시하는 공간영역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한 실험연구로 복합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이동행태에 따른 이용자의 주시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자유시야로 인한 시선추적(Eye-Tracking)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용자가 이동 시 목적 과 비목적 이동행태를 구분한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험 대상지를 위한 복합상업공간과 분석기법인 시선추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표적인 복합상업공간 코엑스를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기본적으로 실험에 적합한 시각적으로 결격사유가 없고 눈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미용렌즈, 난시, 색맹등 장애가 없는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의 주시영역을 분석해 본 결과 높은 주시영역을 나타난 영역 순은 공통적으로 중앙부 중앙과 상부 중앙 영역, 중앙부 오른쪽으로 나타났다. 낮은 주시영역은 하단부 왼쪽, 중앙, 오른쪽으로 났다. (결론) 이동행태에 따른 주시하는 공간영역을 분석한 결과 목적이동과 자유이동에 따른 주시영역은 유사한 것을 나타났다. 중앙중앙과 상부중앙에 높은 집중·주목이 일어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유이동과 목적이동은 목적은 다르지만 공간이용자 이동하는 행태에서 공간을 인지하지 위해 시각적 탐색을 하는 영역은 유사한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를 통해 이용자 시선의 익숙하고 집중되는 주시영역을 밝힐 수 있었으며, 높은 영역으로 도출된 공간영역에 이용자의 집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공간구성 및 중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할 때 중요한 영역으로 작용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has been developing rapidly since the mid- to late 2000s.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urban malls, large-scale commercial spaces have been created and combined into various forms.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is made up of a large and extensive spac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its users to easily grasp the overall spatial shape. The Complex Space Plan and a variety of visual information exposed to space users also cause confusion. Users can widely accept other visual information if the visual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communicate the purpos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pace smartly. Th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pace zones observed when moving by obtain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f the eyes by using eye-tracking techniques based on users’ mobile behavior in complex commercial spaces.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eye-tracking techniques to derive characteristics that catch the user's attention according to their mobile behavior in complex commercial spaces. The user understood free movement and purpose movement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purpose and non-purpose movement when moving, and considered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for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and the prospect-tracking method. The researchers selected COEX, a representative complex commercial space, as the site for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selected and were to perform without beauty lenses, astigmatism, or color blindness to track the eye movement without visually disqualifying reasons. (Result) Analysis of the main areas of the natural movement and navigational movement showed that the order of the areas with high visibility was common to the central and upper central areas, and to the right of the center. The low-maintenance area rose to the left, center, and bottom right. (Conclusion) An analysis of the area that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behavior showed that the area of the eye was similar to that of the navigational and natural movement. The results of high concentration and attention in the center and upper center were derived. Although natural and navigational movement have different purposes, visual search for space can be interpreted as a similar area in user mobility behavior.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al study revealed familiar and focused areas of the user's gaze, and they will act as important areas in space composition, while important design elements will be placed in areas where user concentration takes place.

      • KCI등재

        기술사회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문보경 ( Bokyung Moon ),김주연 ( Joo Yun Kim ),안진근 ( Jinkeun Ahn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주거 공간은 사회, 문화, 환경, 기술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진화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궤를 같이하여 왔다. 현대의 주거는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종합적 공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지고 기술은 공간의 다양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이고 능동적으로 기능하는 새로운 스마트 주거 공간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거주와 그 주거공간의 형태적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은 공간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서 형성되고 변해가는 스마트 주거공간을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기반으로 특징과 주거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산업화 이후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주거생활과 어떠한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기술 발전에 따라 변해온 주거형태를 이해하고 현재에 이르러 성립된 스마트주거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스마트주거의 특징을 바탕으로 공간디자인 취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 틀을 구축하고 이를 관점으로 스마트 주거 환경을 구현한 선행사례를 조사하고 대입하여 분석한다. (결과) 스마트 주거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자연소재와 스마트기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주는 심미적 친환경 주거를 제공한다. 기존 물리적 공간에 콘텐츠의 유입으로 정보접근성이 용이해지고 자유롭게 정보공유를 통해 장소의 이동 없이 주거 공간 내의 환경을 니즈에 따라 해결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앞으로 스마트주거환경의 편의성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스마트주거환경이 기술의 관점에서 발전되어 온 만큼 현재는 기술기반의 접근형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이 보다 보편화되고 세련되어 지면서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요구가 늘어날 것임은 분명하다. (결론)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공간과 기술의 결합이 아닌 인간,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간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며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공간에 인간행태가 묻어나는 재현방식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스마트주거 공간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사례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 주거공간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evolving continuously as a result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changes, and human lifestyles have been in sync with these changes. Thanks to advancements in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idential spaces in the modern age are structures characteristic of a complex spatial system that facilitates human interaction and delivers new experiences. Thus, technology blurs the various boundaries of space. Accordingly, a new and smart residential space that functions actively and independently has emerged. Prediction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and their formative changes have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typ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that are form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in the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The directionality in design strategies for such spac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Method)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o understand lifestyl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industrialization, their interactions with residential spaces, and modern people’s residential awareness. Second,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residential forms that have accompanied technological advancement; contemporary types and featur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were also examined. Third, a strategic framework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residences; further,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cases regarding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erformed. (Results) Smart residential spaces form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patterns of residents. An aesthetic and eco-friendly residence comes from a harmonious combination of natural materials and smart technologies. Additions to preexisting physical spaces ensure various information accessibilities; further,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and environments reflect the need for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that does not require moving to a different location.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the conveniences of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s a stronger technology-based approach. However, as technology becomes generalized and polished, emotional prerequisites associated with designs will definitely increase. (Conclusions) The primary concerns underlying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s are huma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humans and spaces-not the combination of spaces and technologies. Thus,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human consciousness as a representational method that reflects humans’ behaviors as they pertain to spaces. This study involved the exploration of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however, its findings may promp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mart residential space design.

      • 기존 ViRE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Use Case 지향 요구공학

        박보경 ( Bokyung Park ),문소영 ( Soyoung Moon ),김기두 ( Kidu Kim ),김보연 ( Boyeon Kim ),김영철 ( R. Youngchu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초기 요구사항을 정확히 판단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B.Boehm은 가치혁신 요구공학을 제안하지만, 이는 기존의 개발 방법 기반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치혁신 요구공학 개선을 위해, 유스케이스 기반의 요구공학 방법을 제시와, 요구사항과 유스케이스의 우선순위 도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어려운 시스템 요소(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기본 단위인 유스케이스 요소와, 유스케이스 점수(Use Case Point) 개념을 적용하여 유스케이스 중요도를 도출한다. 그 기본 단위 내의 분석을 통해 쉽게 요구사항 추출 및 우선순위화를 한다. 이는 테스트 단계에서 우선순위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적용이 가능한다고 본다.

      • Highly porous carbon-coated silicon nanoparticles with canyon-like surfaces as a high-performance anode material for Li-ion batteries

        Kim, Bokyung,Ahn, Jihoon,Oh, Yunjung,Tan, Jeiwan,Lee, Daehee,Lee, Jin-Kyu,Moon, Jooho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8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Vol.6 No.7

        <P>This paper reports unique highly porous carbon-coated Si nanoparticles with canyon-like surfaces (cpSi@C) prepared by pseudomorphic transformation of wrinkled silica nanoparticles (WSNs)<I>via</I>magnesiothermic reduction and subsequent pyrolytic deposition of carbon. The pseudomorphic transformation of soft-template-based WSNs with large pore dimensions provides Si nanoparticles with additional porosity owing to their unique canyon-like surface structure. This degree of porosity is not achievable using conventional soft-template-derived porous SiO2materials owing to their smaller pore dimensions. The free volume space in the cpSi@C particles is 419% of their Si volume, which is sufficient to fully accommodate Si volume expansion during cycling. Furthermore, the conformal carbon coating allows cpSi@C to enhance its electrical conductivity. cpSi@C exhibits a high specific charge capacity of 822 mA h g<SUP>−1</SUP>after 200 cycles at a current density of 0.5 A g<SUP>−1</SUP>, which is 59.1% of the initial charge capacity. A comparative study with respect to other porous Si-based materials clearly revealed that the unique canyon-like structure synthesized in this study, with its additional pore volume and smaller Si dimensions, exhibits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P>

      • SCOPUSKCI등재

        전처리 조건에 따른 여주(Momordica charantia L.) 초절임의 쓴맛 감소와 품질평가

        박효순(HyoSun Park),문보경(BoKyung Moon),김선아(Suna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 의 강한 쓴맛으로 인해 음식재료로서의 활용이 제한적인 어려움이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여주초절임을 제조한 후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L-아스코브산, 유리아미노산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산화방지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을 측정하고, 색도, 텍스처, 관능검사를 수행하여 여주초절임의 쓴맛 저감효과와 품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여주 초절임의 유효성분 변화 중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는 5%-1분군이 가장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L-아스코브산 함량은 대조군이 높아 전처리 시행 시 L-아스코브산 손실이 있었다. 대조군과 5%-3분군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분석은 대조군에 비해 5%-3분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아르지닌과 글루탐산은 다른 유리아미노산들에 비해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산화방지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활성 모두 5%-1분군이 가장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소금물 침지 및 데치기의 복합 전처리가 초절임 제조 후 산화방지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색도 측정 결과 L값(lightness)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전처리를 시행할수록 또 데치는 시간이 길수록 a값이 높아져 여주의 녹색이 퇴색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b값은 황색이 낮게 나타났다. 경도 측정 결과 침지를 시행한 소금물의 농도와 데치는 시간 모두 경도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5%-3분군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색상을 제외한 조직감, 쓴맛 강도, 쓴맛 선호도,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에서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초절임제조 전 소금물의 농도(1%, 5%)와 상관없이 20분간 침지한 후 데치기를 시행한 전처리 과정이 대조군보다 쓴맛은 감소하고 선호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관능검사와 색도와 텍스처 측정을 통해 소금물의 농도와 상관없이 20분 침지 후 데치기를 시행하는 것이 쓴맛 저감 효과가 있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여주초절임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의 결과가 5%-1분이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능검사에서 쓴맛 저감 효과가 있고 여주초절임의 유효성분과 산화방지 활성,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 결과가 높은 5%-1분 조건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주의 쓴맛으로 인해 음식재료로서의 사용에 한계가 있었으나 위와 같이 쓴맛을 낮추는 전처리 조리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음식재료로서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쓴맛의 감소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파괴가 적은 여주 초절임 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가공식품으로의 개발 역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in bitter tast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by pretreatments (brining; 1, 5% and blanching; 1, 3 min) in pickled bitter melon, respectively. We prepared picked bitter melon samples at 1%-1 min, 1%-3 min, 5%-1 min, 5%-3 min.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5%-1 min at 14.23±0.40 mg CE/g (dry) and 4.46±0.10 mg RE/g (dry), respectively. L-ascorbic acid level was the highest in control samples. Arginine and glutamic acid were increased by brining and blanching.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t 43.60±0.40 and 44.88±0.20% at 5%-1 min, respectivel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at 5%-1 min. The a value was statistically different, whereas L and b values were similar among different pretreatments. Hardness in pretreated samples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mong sensory evaluations, ‘color’ did not indicate any statistical difference, while ‘texture’, ‘bitterness preference’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with pretreatments, and ‘bitter intensity’ decreased.

      • SCOPUSKCI등재

        생여주의 산화방지,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저해 활성 및 여주초절임의 카란틴과 루테인 함량 변화

        박효순(HyoSun Park),문보경(BoKyung Moon),김선아(Suna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여주의 산화방지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저해 활성을 측정하고 총폴리페놀, L-아스코브산, 카란틴, 루테인 등 유효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초절임조건에서 카란틴과 루테인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여주는 카란틴 777.92±27.59 mg/100 g, 루테인 16.87±2.07 mg/100 g, L-아스코브산 94.78±0.61 mg/100 g, 총폴리페놀 22.07±0.74 mg CE/g으로 나타났다. 여주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0.5 mg/mL에서 55.60±1.34%, 1 mg/mL에서 80.40± 0.87%로 측정되었다.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은 여주추출물 5 mg/mL에서 31.76±0.42%, 10 mg/mL 61.98±0.27%였고,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은 여주추출물 5 mg/mL에서 56.19±2.39%, 10 mg/mL에서 89.51±0.25%로 측정되었다. 여주초절임의 전처리조건별 카란틴과 루테인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여주초절임의 카란틴 함량은 PBM11 205.47±29.91 mg/100 g, PBM13 281.66±4.45 mg/100 g, PBM51 292.01±18.20 mg/100 g, PBM53 375.63±9.03 mg/100 g로 대조군 74.32±9.57 mg/100 g과 비교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고. 여주초절임의 루테인 함량은 PBM111.57±0.13 mg/100 g, PBM13 1.99±0.28 mg/100 g, PBM51 3.18±0.52 mg/100 g, PBM53 4.07±0.40 mg/100 g이며 대조군은 0.70±0.07 mg/100 g보다 모두 높았다. 이는 여주초절임을 제조할 때 소금물침지와 데치기 단계가 여주에 함유된 카란틴과 루테인과 같은 유용성분의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5%소금물 침지와 3분 데치기를 한 PBM53군이 여주초절임의 루테인과 카란틴을 보존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rantin and lutein from fresh bitter melon (FBM) for their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 subsequently compared our results with charantin and lutein content of pickled bitter melon (PBM11, PBM13, PBM51, and PBM53), obtained by brining (1 and 5% salt) and blanching (1 and 3 min). Charantin, lutein, L-ascorbic acid,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 in FBM were 777.92±27.59, 16.87±2.07, 94.78±0.61, and 22.07±0.74 mg catechin equivalents/g on dry basis,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5 mg/L FBM extract was 31.76±0.42% in ABTS assay and 56.19±2.39% in DPPH assa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0.5 mg/L FBM extract was 55.60±1.34%. Charantin and lutein content of all PBM samples were higher than control without brining and blanching treatments, those in PBM53 being 375.63±9.03 and 4.07±0.40 mg/100 g, respectively. These showed that brining and blanching in pickling process were very effective in retaining charantin and lutein in bitter mel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