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국가의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 비교연구 : 가족정책과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허수연 ( Soo Yeon Hu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의 국가별 차이를 가져오는 제도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OECD 14개국을 대상으로 가족정책, 노동시장 및 사회구조와 Family gap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가족정책을 여성의 노동역할을 지원하는`고용지원 가족정책`과 양육역할을 지원하는`양육지원 가족정책`으로 분류하여 각각이 가지는 정책적 지향에 따라 Family gap에 미치는 영향을 구분하였으며 노동시장 및 사회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변수로 노동시장 성분절 구조, 임금불평등 구조,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상황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먼저 헤크만 2단계추정법 (Heckman`s two stage estimation)을 통해 국가별 Family gap 크기를 측정한 후 퍼지셋분석(FSQCA)을 통해 어떠한 제도적 조합이 낮은 Family gap을 가져오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낮은 Family gap은`고용지원 가족정책`의 발달과`낮은 임금불평등 구조`의 결합 인과관계(conjunctual caus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자녀가 있는 여성`의 양육으로 인한 불리함을 줄이고 상대적인 임금수준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노력으로 여성의 고용지속 및 양육의 사회화를 지원하고 여성과 남성 모두의 일-가족 양립을 지향하는 가족정책의 확충과 함께 낮은 노동지위에 있는 여성의 임금 및 고용조건의 보호가 우선과제가 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policies and family gap using data for 14 OECD countries. As family policies have different assumptions about womens roles and include variant sub-policies, this study identify two distinct family policies: `employment support policy` to support women as employed workers and `caregiving support policy` to support women as caregivers. Meanwhile, women`s wage cannot be determined by the effect of `only` family policy. Therefore, analysis model includes variant macro structure supposed to affect women`s labor status and wage, like labor market structure, wage structure(compression), women`s soci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and examine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mily policies and these labor market and social structures using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The FSQCA result shows that relatively low family gap is associated with the conjunctual causation of developed `employment support policy` and compressed wage structure.

      • KCI등재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비교

        허수연 ( Huh Soo Ye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직무부담과 일-가족갈등,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부담과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4년 5차 년도 여성가족패널을 활용하여 20~50세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을 선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한부모가구 여성 118명, 유배우자 여성 1,14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부모가구 여성과 유배우자 여성 모두에게서 직무부담은 일-가족 갈등을 높이고, 일-가족 갈등은 다시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경로계수 비교를 통해 유배우자 여성에 비해 한부모가구 여성에 있어 직무부담의 일-가족갈등에 대한 영향이 더 큰 결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배우자 여성의 경우 직무부담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결과에 비해 한부모가구 여성에 있어서는 직무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하게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 among job demands, work to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and compare the path differences between single working mothers and non-single working mothers. Using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2014, I chose 118 of single mothers and 1,148 of non-single mothers (ages 20 to 50 and cohabiting dependent children)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examine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 found that work demands increased depression by affecting work to family conflict both in single mothers and non-single mot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 of work demands to work to family conflict. For single mothers, job demands were found to have more negative effect on wort to family conflict than non-single mothers. With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to alleviate work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s of single mot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가구주의 취업형태와 사회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수연 ( Soo Yeon Huh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2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capital of female householders on their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refers to the extent that individuals subjectively feel satisfaction with diverse aspects of their liv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which covered 639 female householders, aged 20 to 64.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lear effects of the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capital of female householders. The findings show that employment statu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householders’ life satisfaction. When female householders are employed as temporary workers or unemployed, they feel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regularly employed. It was also found that female householders’ social capital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have more social capital, they feel a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With these results, I suggest the need for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care services, and cash benefits to help female householders get decent jobs and community-based services and opportunities for thei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허수연 ( Huh Soo Ye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59 No.-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의 삶 만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활용한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2014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이며 이 가운데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자녀로 구성된 한부모가족 117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부모감독 수준은 높아졌으나 부모감독은 자녀의 삶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졌으며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삶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은 자녀의 삶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에 있어 한부모가족의 양육자가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child’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child’s life satisfaction in single mother families. For this purpose, MOGE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Research data of adolescents in 2015’ was used and 117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9 to 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veals that adolescent’s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ough parental time and parental monitoring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ith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to support single mothers’ parental time were proposed.

      • KCI등재

        휴가제도가 여성의 경력단절에 미치는 영향 -사업체 규모를 중심으로-

        허수연 ( Huh Soo Ye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이 여성의 경력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휴가제도의 영향이 여성근로자가 속한 사업체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여성가족 부가 조사한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여 2010년 이후 결혼하였으며 결혼 이전 전일제 임노동자였던 여성 392명을 대상으로 콕스비례위험률모형(Cox Regression Hazard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전후휴가 제도 이용의 용이성은 여성의 경력단절 위험을 낮추었으며 이를 여성근로자가 속한 사업체 규모에 따라 분석한 결과 100인 미만 사업체에 근무하는 경우에만 출산전후휴가 제도 이용의 용이성이 경력단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유지하고 있었다. 둘째, 출산전후휴가제도와 육아휴직제도의 실제 사용은 출산을 경험한 여성근로자의 경력단절 위험을 낮추었으며 휴가제도 사용의 영향은 여성이 속한 사업체 규모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규모 사업체 여성이 휴가제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직장환경의 조성과 사업체 규모와 관계없이 모든 여성이 실질적으로 휴가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on women’s career interruption and whether these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Using M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Survey on Economic Activities of Career-break Women in 2016, 392 women who have married since 2010 and had been employed as full time workers before marriag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Cox regression hazard analysis reveals that when women could use maternity leave easily,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was significantly low. This effect, however, continued only when they were employed in small-medium sized companies. Also, when women actually used maternity leave or parental leave after their child birth,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was significantly low. This effects continued regardless company sizes they belonged. With these results, policies to support women’s leave use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가족정책 확대와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학력별 취업률 추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허수연(Huh, Soo Yeo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0 No.2

        본 연구는 성 평등 수준을 나타내는 핵심지표인 여성 취업률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이 가운데 특히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률과 이들의 교육수준에 따른 취업률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서 최근 급격히 확대되어 온 가족정책의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자료(1998년~2015년)를 활용하여 25세 이상 65세 미만 여성의 취업률, 학력별 취업률,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률, 그리고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학력별 취업률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여성의 취업률은 조금씩 그리고 천천히 상승하고 있으며 학력별 취업률 격차 역시 수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률은 여전히 매우 낮으며 유급휴가정책의 확대와 무상보육정책 시행 이후에도 뚜렷한 개선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사실 역시 나타났다. 또한 미취학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학력별 취업률 격차가 크게 나타나 고학력 여성의 취업률이 중간학력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양상 역시 지속되고 있었다. 한국의 가족정책은 제도적 개선과 예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낮은 휴가정책과 민간 중심의 보육서비스 제공 등의 문제로 인해 어린 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률을 제고하는 데 명백한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하였으며 여성 내부의 계층간 취업률 격차를 개선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omen’s employment rate as a core index of gender equality in the era of expansion of family policies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focuses the employment rate change of women with child under age 6 and employment rate gap within women’s education levels. To analyze the pattern of women’s employment chang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1998 to 2015)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women’s employment rate was arise slightly and slowly and employment gap within women’s education levels became clearly narrow. However, employment rate of women with child under 6 was still very low, and employment gap within education levels in these groups was quite wide. Although family policies-like paid leave and universal ‘free’ child care service- were expanded during last 15 years, women with child under 6 had still problems in participating labor market, and of them with less educated level had more serious problems.

      • KCI등재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실습에 관한 현황 조사

        김미숙(Mi-Sook KIM),허수연(Soo-Yeon HUH)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2

        이 연구는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필수 교과목인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 과정 중 현장에서의 직무능력을 높이기 위해 진행하는 현장실습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현 이수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70명으로 실습 전, 실습 중, 실습 후로 구분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첫째,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수준이 낮아 실습 신청단계에서 실습을 거부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에서의 주 활동은 참관 수준의 실습이나 수업 보조, 스텝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교육이외의 기획, 진행, 분석, 평가 부분에 대한 실습 참여는 사실상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대상자에 대한 교수법이 부족하여 실습 초반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들 대부분은 현장실습이 대상자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이 개선될 경우, 문화예술교육사의 배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finds out problems through surveys on field practices conducted to enhance job ability in the field during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ield,” which is an essential course of preliminar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urrent course. A survey was conducted on 70 preliminary arts and cultural educators for the categories classified a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ield trai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 was that the level of social awareness on arts and cultural educators was low, which resulted in the students being rejected at the stage of applying for training. Second, Most of the time, they play the role of assistants and staffs, and there is almost no practical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process, analysis and evaluation areas other than education. Third, there is a lack of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subjects caused to no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most preliminary arts and cultural educators seemed to have a chance to understand about the subject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It is expected that their emissions will be further activated.

      • KCI등재

        기업의 자원봉사 지원정책의 효과

        강철희(Chul-hee Kang),허수연(Soo-yeon Huh),김영종(Young-Jong Kim)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기업 사회공헌의 주요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직원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율 및 참여시간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재단’의 「기빙코리아 2011 (Giving Korea 2011)」자료를 토대로 사회공헌 전담 인력과 다양한 자원봉사 지원제도(휴가일수 보상, 현금지원, 인사평정 반영, 포상 등의 기타지원, 혼합지원방식)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요인이 직원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및 참여시간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Heckman select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자원봉사 지원정책 가운데 현금지원과 기타지원은 직원 자원봉사 참여율에 정(+)의 방향에서 유의한 관계를 갖고, 휴가일수 보상과 인사평정 반영은 자원봉사 참여시간에 정(+)의 방향에서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에서의 직원 자원봉사 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corporate employees’ volunteering. Corporate employees’ volunteering is regarded as one of effective ways for companies to demonstrat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it benefits companies, employees, and communities. Using the Beautiful Foundation’s Giving Korea 2011 data on Korean companies’ philanthropy, we analyze effects of corporate philanthropy staff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leave compensation, monetary support, consideration in promotion, prize and composite support programs) on corporate employees’ volunteering measured by participation rate and volunteering hours. Our results indicate that monetary support, prize and composite support progra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participation rate and leave compensation and consideration in promo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urs in volunteering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effective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corporate philanthropy.

      • KCI등재후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과정에 대한 연구

        강창현(Kang, Changhyun),허수연(Huh, Soo Yeo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1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서 나타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이행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303개 공공기관의 2008년~2014년까지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에 관한 고용노동부 보고 자료와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성과가 우수한 2기관과 상대적으로 미달된 2기관을 대표로 선정하여 총 4개 공공기관의 인사담당자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는 공공기관의 여성 근로자비율 및 여성 관리자비율의 증가에 일정 정도 긍정적인 기여를 한 동시에 제도적 한계 또한 분명하게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제도적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산업별 고용특성에 따른 기준의 유연한 적용, 기관별 관리 및 지원 체계의 마련,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기본 전제조건으로서 일・가정이 양립될 수 있는 다층적 인프라 확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erformance process of the affirmative action(AA), targeting public corporations in Korea. Using 2008~2013 data of women worker and women manager rate of 303 public corporations and intensive interview with 4 public corporation staffs in charge for Human Resource, we explore main problems of AA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gram.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ffirmative action contributes partly to the growth of women workers and women managers in public corporations, however, it has obvious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criterions considering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es, provision of management system on a per corporation levels, and multi-layered infrastructur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ffirmative action.

      • KCI등재

        저소득 독거 노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 경험자를 중심으로 -

        박현남 ( Park Hyun Nam ),허수연 ( Huh Soo Ye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3 사회보장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저소득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경험과 이들의 여가활동 참여를 가로막는 다양한 장벽 및 여가가 주는 삶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저소득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저소득 독거노인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분석을 통해 10개의 주제 묶음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여가활동을 가로막는 장벽들로 “건강의 문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한 여유 없음”, “여가 프로그램의 부족”, “포기하는 마음”을 확인하였다. 대상자들은 여가활동이 부족한 일상을 “집에만 있는 무료함”과 “속상한 마음”으로 표현하고 있었으며 동시에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싶은 마음”과 “배우고 싶은 마음” 등의 적극적인 욕구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여가활동이 대상자에게 주는 의미는 “생활의 즐거움”과 “사람들과 어울리는 기쁨”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의 장벽을 낮추고 수요자 중심의 적극적인 여가 향유권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low-income elderly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the barriers they face to participating in such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leisure activities to them.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elderly people from low-income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d 10 key topics. The first four topics were identified as barriers to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cluding “health problems,” “financial difficulties,” “lack of available leisure programs,” and “feelings of resignation”. Participants expressed feelings of “boredom” and “disappointment” with their daily lives due to the lack of leisure activities, while also expressing a strong desire to participate and learn new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participants was found to be “the joy of living” and “the pleasure of socializing”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barriers to leisure activities for low-income elderly individuals and to enhance their right to actively enjoy leisur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