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서비스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한 의료권위주의 해소를 위한 시사점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서비스의 불만을 해결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의료서비스디자인이 의료내적, 외적요소에서 발생하는 의료권위주의의 해소에 기여한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의료서비스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첫 번째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의료권위주의의 개념을 고찰하고 의료권위주의가 나타나는 의료내적요소와 외적요소의 구성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의료내적요소와 외적요소에 내재되어 있는 의료권위주의를 해소한 국내외 의료서비스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여 핵심 결과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의 핵심 포인트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환자에 대한 존중과 존엄성을 세울 수 있는 환자중심의료문화의 형성, 의료권위주의 해체를 위한 의료진 내부의 인습타파, 의료정보공유를 위한 공정한 소통시스템의 구축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contribution of medical service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has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medical authority, and to draw the implication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As a method of research, first, the concept of medical authority was considered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medical authority were examined. Second, by examining the cases of medical service design, which resolved the medical emphasis inherent i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key points and significance of problem solving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re results. Third, the implications were to form a patient-centered medical culture for respect and dignity for patients, to break up the conventions inside medical staff to dismantle medical authority, and to establish a fair communication system for sharing medical information.

      •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조형화요소 비교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제품디자인 전망에 대한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휴대폰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진화하여 사람들의 생활양식 전반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서 무형의 정보와 지식을 담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제품디자인의 조형화 요소에 대한 분석과 전망은 창의적이고 차별화된 제품디자인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제품디자인의 조형화 요소를 분석하고 현상을 진단하여 근미래 스마트폰 제품디자인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전망을 주요한 연구목표로 삼아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휴대폰과 스마트폰의 조형화 대상과 범위에 대한 기준과 관점을 정립하였다. 두 번째로 분석개체수가 높은 휴대폰 제품디자인의 물리적 조형화 요소를 형태, 구조, 색상, 소재 요소로 나누고 사례분석들을 통하여 그 의미와 분석기준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위 기준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 출시된 9개사 73개의 스마트폰 제품의 물리적 조형화 요소를 분석하여 휴대폰의 조형화요소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제품디자인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The smart phone in modern society became the basic communication tool between human beings. As the machinery and tools to provide inform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is the moulding element of smart phone product design and to diagnose an actual conditio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prospect of the smart phone product desig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oulding element of cellular phone and smart phone. While analyzing the forms, structures, colors. and materials of 73 Smart phone of 9 companies in recently 3-years Korean markets, we can grasp the design changes by different manufactures and mostly applied archetypes, and the form identities of each manufacture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Also, by providing the viewpoint for developing the archetypes which are not applied to design yet, differentiated forms, structures, colors, and materials for new design can be investigat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인식 비교 연구 : 인적 변인과 디자인 전공 특성 변인을 중심으로

        정성모(Chung, Sungm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디자인 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인식을 인지도, 관심도, 기대도 영역으로 나누고 이와 관련된 주요 기술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를 조사 및 분석 하였다. 연구 수행은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첫 번째로 기술 통계를 수행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개념적 인식과 기술적 인식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이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학위 과정, 연령과 같은 인적 특성과 전공 계열, 현업 경험, 교육 및 현업 연차와 같은 전공 특성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t-test와 ANOVA 분석을 통하여 통계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의 인식은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3.78/5)이었다. 집단 간 분석에서 인지도는 성별, 전공 계열, 현업 경험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심도는 성별, 교육 과정, 연령, 전공 계열, 현업 경험, 교육 및 업무 연차 등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관련 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기초 자료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design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earch method, I divided the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o areas of recognition, interest, and expectation,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major technologies related to it and perception paths. As a research analysis, first, I analyzed conceptual and technical perceptio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I established a research hypothesis and conducted statistical verification through t-test and ANOVA analysis to se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gender, degree course, age, major field, field experience, education and field years. As a result, students majoring in design had a slightly higher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3.78/5). In the analysis between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in gender, major field, and field experience, and in interest in gender, degree course, age, major field, field experience, education and field yea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종교정향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성모(Chung,Sungmo)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종교정향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발달장애인 양육 부모의 종교정향과 양육 스트레스의 척도를 측정하여 통계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인 양육 부모의 종교정향이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부요인의 영향 관계를 보면, 종교정향의 내재적 요인은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자녀의 까다로운 특성과 부적의 관계가 있으며, 외재적 요인은 부모의 고통과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부적의 관계를 보였다. 종교정향 이외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교육 수준과 부모의 고통은 정적의 관계이고, 연령과 종교를 가진 기간이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정적의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종교정향의 외재적 요인이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통해서, 내재적 요인이 심리적 기능을 통해서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단체의 복지재단 및 시설의 설립과 운영, 양육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과 함의를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ligious orientation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s parenting stress. A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on religious orientation and parenting stress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igher the religious orientation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ower the parental stress. In particular, the intrinsic component of religious orienta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s ar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external circumstances. Furthermore, education level and parental suffering were positive, while age and religious duration indica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This study’s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of religious organizations, considering that external factors of religious orientation play a role in the social function of religion and intrinsic factors reduce parenting stress through psychological functions.

      •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예술과 디자인융합 프로그램의 시사점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4 No.-

        창의성과 감성은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학술 연구와 창작활동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지식과 창조가 새로운 경제의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현대시대에서 문화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이에 정부·지자체와 민간 부분에서 예술과 디자인 분야와 인문학, 과학, 공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한 융합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이 본격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예술과 디자인융합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설정과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주요선진국을 중심으로 예술과 디자인융합프로그램의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연구의 핵심 키워드인 사회적 가치의 의미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예술과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여 두 개념의 구조적 관계성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국외 예술과 디자인융합연구의 지원기관 및 프로그램을 탐색하여 30개의 사례를 발굴하였다. 2차적으로 효과성, 적용성, 실용성, 독창성과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6개의 사례를 핵심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을 위한 예술과 디자인융합프로그램의 정책방향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경제, 사회, 문화, 지역, 교육의 5개 효과측면으로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The Creativity and sensibility are the source of academic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Also, those take high value in terms of cultural and industrial aspects in the modern era when Knowledge and Creation are emerging paradigm of the new economy. So Development of fusion research and programs that combines a variety of fields among art and design and humanities, science, engineering, education is in earnes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atus of foreign art and design convergence program and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Through those, the formulation of policy options in the right direction to create social value with the support of Korean art and design fusion program could be suggested. First of all, through a conceptual study on the social value and a public nature of art and desig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was examined and established. Primarily, by Navigating to support organizations and programs of the foreign fusion programs based on art and design, The 30 cases were unearthed. Secondarily, through effectiveness, applicability, practicality, originality qualitative evaluation, the six core cas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derivation of implications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d such as economic, social, cultural, geographical, educational side effects of the policy direction and plans.

      • 디자인팀 구성원의 갈등대처유형이 팀 성과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현대 산업에서 디자인이 제품선택의 주요한 요소로 중요해짐에 따라 각 기업마다 디자인팀의 조직과 운영,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팀의 갈등대처유형이 디자인팀작업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갈등의 개념과 갈등대처유형을 정립하여 실증적인 디자인팀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실험 및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는 실험설계 및 실행단계로 개인의 갈등대처유형에 따른 디자인팀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디자인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는 위 실험을 통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 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팀의 갈등대처유형과 디자인과제수행 결과물간의 역동성을 분석한다. 네 번째는 상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기존 조직행동이론과 갈등이론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팀 혹은 조직 속성에 대한 갈등연구이론에 실험결과를 대입하여 검증을 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디자인팀만이 가지는 갈등관계상 팀 특성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In modern industry design become more important as a key element of all product choice. So companies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and manage the design team. In design team work, The role of conflict in work teams i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Conflict is a driving force of change that can result in improved the team results.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ing basic necessity of the project, which is to build system that can help design team to find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design team"s activities and to observe interaction within team activity by conflict management. This research also implements experiments and analysis to actual design teams which can verifies the usefulness of methodology of this experiments. Team activity was set up based on experiments by 4 steps. Firstly, we tested personal conflict management type and define conflict type of the team. Secondly, We scored the final design performance. Thirdly, we analyzed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Finally, We elicited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established the Distinctive factors of conflict management in design team.

      • KCI등재

        디자인팀원 간 갈등관리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디자인 결과물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디자인팀은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팀워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디자인팀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팀원들 간에는 갈등이 발생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한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팀워크에서 갈등관리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떤 양상으로 발생하는지, 디자인 결과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갈등유발 요소인 경쟁이 결과의 창의성에 순기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립한 후, 독립변수인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갈등관리요인이 종속변수인 디자인 결과물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정도를 연구모형 및 가설로 설정하고 실험설계를 하였다. 이에 따라 디자인팀 실험연구를 수행하여 산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통하여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팀의 갈등관리를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일정한 양상을 가지고 디자인팀 결과물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경쟁요인이 디자인팀 결과물의 창의성에 양의 관계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다중회 기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디자인 팀의 과제수행에서 발생하는 팀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실험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검증을 수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수행방법과 결과는 향후 디자인팀 실험연구 및 디자인팀의 조직과 갈등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Background: Teamwork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the design team in order to produce creative results. When a design team performs a project, there is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m members to manage the confl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what kind of social interaction occurs, what effect it has on the design outcome, and whether the competition, which is a conflict inducing factor, acts as a pure function to the creativity of the result. Methods: In this study, After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I set up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s the relationship and degree of the influence of the conflict management fact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interaction, on the creativity of the design resul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design team. Result: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design team has a certain pattern and is confirmed tha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the result of the design team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lso, it was verified through multi-session analysis that competition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design team products.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m members, which occurs in the performance of the empirically recognizable design team, is carried out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another design team research and design team organiz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에 대한 제품디자인적 분류체계 및 개념정립에 대한 연구

        정성모(Chung, Sungm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오늘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비중은 나날이 커져 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시장이 커져감에 따라 그에 따른 주변기기와 액세서리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변기기와 액세서리분야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감성적 선호와 사용상 편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디자인 아이디어가 제품의 핵심으로 제품디자인의 역할이 다른 어떤 제품보다 크다.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상 아이디어 발상의 첫 단계는 제품에 대한 이해이고 이해의 한 방법으로 디자인 할 대상에 대한 분류와 분석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품디자인 관점에서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의 제품군을 분류하고 개념을 정립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 번째로 마케팅 및 산업분류기준으로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를 분류해보고 아이디어 발산과 수렴을 위한 디자인사고 방법중하나인 6하 원칙의 개념으로부터 사용성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품디자인에서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현재 시장의 제품분류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목적에 의해 재분류를 하고 7가지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품 아이디어 도출에 필요한 디자인적 분류체계 및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The importance of using a Smartphone in our daily life is growing. Depending on the increase in Smartphone market its peripherals and accessories market is growing fast. Beyond the level of simply protect or decorate the exterior of the smartphone, They are evolving to use the various features of the smartphone. Because it can lead the users" preferences and convenience and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smart phones product desig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Understanding the product is the first step of the design analysis and idea generation in design process. So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lassification for the concept and types of peripherals and accessories in the view point of industrial design. In this study, To assist in product design, I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market. After re classifying by aim of the usability about it, I elicited the 7 keyword for fundamental notions and establish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eripherals and accessories in Product Design for Smart-phon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