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에서 분리된 다당류의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성낙윤,박우용,김이은,조은지,김미환,류기형,변의홍,박윤제,Sung, Nak-Yun,Park, Yoo-Young,Kim, Yi-Eun,Cho, Eun-Ji,Kim, Mi-Hwan,Ryu, Gi-Hyung,Byun, Eui-Hong,Park, Youn-J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3

        본 연구는 전통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CZPS)가 선천 및 적응면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구절초에서 분리한 다당류를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 처리하였을 때, iNOS의 발현을 조절하여 NO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면역활성 물질인 TNF-${\alpha}$, IL-$1{\beta}$ 및 IL-6 등의 cytokine의 분비능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면역활성 매개자인 NO 및 cytokine의 증가의 원인에 관한 정확한 면역세포내 신호전달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CZPS 처리는 MAPKs(ERK, p38)의 인산화를 촉진시키며, 이로 인한 전사인자인 NF-${\kappa}B$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acrophages play a pivotal role in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ZPS) in macrophages. Polysaccharides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were extracted by the ethanol precipitation method.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 was treated with CZPS (4 to $128{\mu}g/mL$),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a dose below $32{\mu}g/mL$. The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6, IL-$1{\beta}$) production in the CZPS treated group ($32{\mu}g/mL$) were $6.5{\pm}0.12{\mu}m$ (NO), $1252.8{\pm}79.85$ (TNF-${\alpha}$), $305.4{\pm}29.41$ (IL-6), and $683.3{\pm}59.71$ (IL-$1{\beta}$), respectively, and the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2{\pm}0.03{\mu}m$ (NO), $452.3{\pm}38.34$ (TNF-${\alpha}$), $31.7{\pm}5.75$ (IL-6), and $184.1{\pm}11.52$ (IL-$1{\beta}$). Additionally,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phosphorylation of MAPKs and NF-${\kappa}B$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CZPS treatment.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CZPS) may have a potential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macrophages through MAPKs and NF-${\kappa}B$ signaling, and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immune enhancing adjuvant materials using a natural ingredient.

      • KCI등재

        압출성형 무청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함량 증가 및 이취 감소

        성낙윤(Nak-Yun Sung),박우용(Woo-Young Park),김이은(Yi-Eun Kim),조은지(Eun-Ji Cho),송하연(Hayeon Song),전형광(Hyeong-Kwang Jun),박재남(Jae-Nam Park),김미환(Mi-Hwan Kim),류기형(Gi-Hyung Ryu),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2

        무청은 무의 지상부 엽채를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건조하여 국이나 나물로 조리하여 이용하였고, 영양학적으로 35% 이상의 식이섬유 및 20% 내외의 단백질, 철분 및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무청의 주요 성분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가공과정 중 발생하는 이취에 주된 원인물질이며, 이러한 이취는 무청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데 제한적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무청 분말의 항산화 활성 및 이취성분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압출성형 독립변수 중 배럴 온도, 스크류 회전속도 및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압출성형 무청 추출물의 추출 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및 이취 성분을 분석하였다.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은 배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최적조건인 배럴 온도(130°C), 스크류 회전속도(250 rpm) 및 수분함량(20%)에서 총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일반 무청 분말보다 약 1.5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황화합물의 함량 변화에 관한 정확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압출성형공정은 무청의 이취물질(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carbon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 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무청의 이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erial parts (leaves and stems) of radish are usually discarded due to the distinct undesirable flavors associated with inappropriate preparations, despite their many health benefi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ole of extrusion process in the removal of off-flavors and elev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and stems. To optimize the extrusion conditions, we changed the barrel temperature (110, 120, and 130°C), screw speed (150, 200, 250, and 300 rpm), and moisture content (20, 25, and 30%).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truded radish leaves and stems (ER) under optimum extrusion conditions (130°C, 250 rpm, and 20%). Under extrusion conditions, we compared off-flavors (as amount of sulfur-containing compound) levels between ER and non-extruded radish leaves and stems (NER) by an electronic nose. A total of six peaks (sulphur-containing compound) were similarly detected in both ER and NER, whereas the ER showed reduced off-flavors. Levels of glucosinolate (μg/g), which can be hydrolyzed into off-flavors during mastication or processin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R. From these results, extrusion processing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and removal of off-flavors in radish leaves and stems.

      • KCI등재

        녹차씨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성낙윤(Nak-Yun Sung),송하연(Hayeon Song),안동현(Dong-Hyun Ahn),유영춘(Yung-Choon Yoo),변의백(Eui-Baek Byun),장범수(Beom-Su Jang),박철환(Chulhwan Park),박원종(Won-Jong Park),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증진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녹차씨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약 1.4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라디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능,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녹차씨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후 H₂O₂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녹차씨껍질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한다면 폐자원인 녹차씨껍질을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seed shell as an industrial byproduct. Green tea seed shell extract (GTSSE) was obtained by ethanol extraction, and the yield was 1.4±0.22%.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1,1-diphenyl-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GTSSE dose-dependently increased. To estim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GTSSE, viability was tested in HT22 mouse hippocampal cells. GTSSE treatment induced cytotoxicity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100 μg/mL but not at a concentration lower than 50 μg/mL. Using this optimal concentration range, GTSS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2O2-treated HT22 cells. Further, GTSSE treatment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decreased the malonaldehyde level,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in HT22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tea seed shell extract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materials and have potential activity to prevent and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 KCI등재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및 취나물(Aster scaber)이 첨가된 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성낙윤(Nak-Yun Sung),안은주(Eun-Ju An),박원종(Won-Jong Park),박우용(Woo-Young Park),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고사리 및 취나물과 같은 산채가 첨가된 된장 및 일반 된장의 면역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세포인 대식세포와 적응면역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비장세포에 각각 산채첨가 된장 추출물(WPDJ) 및 일반 된장(DJ) 추출물을 처리하여 각각의 면역세포의 세포증식률과 사이토카인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WPDJ 및 DJ를 125, 250 및 5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두 추출물 모두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WPDJ 처리구에서 더 높게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마우스 비장에서 유리된 비장세포에 WPDJ 및 DJ를 125, 250 및 5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Th1 type의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γ의 분비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알레르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h2 type의 사이토카인인 IL-4의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채를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은 일반 된장보다 면역 활성을 더 높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munological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Doenjang added with wild plants (Pteridium aquilinum and Aster scaber) on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s and mouse splenocytes. Doenjang (DJ) and wild plant added Doenjang (WPDJ) extracts were treated to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s (BMDM) and splenocytes, and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were measured. Cell proliferation of BMDM and splenocytes was more highly elevated in the WPDJ-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DJ-treated group.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IL-1β, IL-10, and IL-12] production in BMDM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PDJ-treated group. Similarly, in the case of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WPDJ treatment highly increased production of Th 1 type cytokines [interferon (IFN)-γ and IL-2] but did not affect production of Th 2 type cytokines (IL-4). These results suggest that wild plants could improv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Doenjang and may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Doenjang.

      • KCI등재

        Rubus fruticosus leaf extract inhibits vascular dementia-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neuronal loss by attenuating neuroinf lammation

        Nak Song Sung,Sun Ho Uhm,Hyun Bae Kang,이남섭,Young-Gil Jeong,Do Kyung Kim,성낙윤,Dong-Sub Kim,Young Choon Yoo,Seung Yun Han 대한해부학회 2023 Anatomy & Cell Biology Vol.56 No.4

        Vascular dementia (VaD)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memory impairment, which is associated with microglia-mediated neuroinf lammation. Polyphenol-rich natural plants, which possess anti-inf lammatory activities, have attractedscientific interest worldwid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ubus fruticosus leaf extract (RFLE) can attenuate VaD. Sprague–Dawley rats were separated into five groups: SO, sham-operated and treated with vehicle; OP, operated and treatedwith vehicle; RFLE-L, operated and treated with low dose (30 mg/kg) of RFLE; RFLE-M, operated and treated with mediumdose (60 mg/kg) of RFLE; and RFLE-H, operated and treated with high dose (90 mg/kg) of RFLE. Bilateral commoncarotid artery and hypotension were used as a modeling procedure, and the RFLE were intraorally administered for 5 days(preoperative 2 and postoperative 3 days). The rats then underwent memory tests including the novel object recognition,Y-maze, Barnes 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s, and neuronal viability and neuroinf lammation were quantified intheir hippocamp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 group exhibited VaD-associated memory deficits, neuronal death, andmicroglial activation in hippocampi, while the RFLE-treated groups showed significant attenuation in all above parameters. Next, using BV-2 microglial cells challeng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RFLE in dynamics ofproinf lammatory mediators and the upstream signaling pathway. RFLE pre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release of nitric oxide, TNF-α, and IL-6 and upregulation of the MAPKs/NF-κB/iNOS pathway. Collectively, we suggest thatRFLE can attenuate the histologic alterations and memory deficits accompanied by VaD, and these roles are, partly due to theattenuation of microglial activation.

      • KCI등재

        녹차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된 유과의 섭취가 마우스의 혈중지질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성낙윤(Nak-Yun Sung),권석임(Seok-Yim Kweon),박재남(Jae-Nam Park),최종일(Jong-Il Choi),송범석(Beom-Seok Song),김재경(Jae-Kyung Kim),이주운(Ju-Woon Lee),김재훈(Jae-H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녹차가루가 포함된 유과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체중 및 혈중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원산지가 다른 총 5종의 녹차(부초차, 옥로차, 용정차, 우롱차, 홍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사료와 혼합하여 마우스에 섭취시킨 결과 유과 단독 섭취군에 비하여 녹차가 첨가된 유과를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 롤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간조직 및 복부지방의 조직의 검경결과 간세포의 염증 억제, 복부 지방세포의 무게 및 크기 감소 등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유과의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기존 유과가 지닌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Yukwa prepared by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on change of lipid composition and body weight in mouse model. Mice were fed with Yukwa containing the five different types of green tea powders such as Bucho-cha, Okro-cha, Yongjeong-cha, Oolong-cha and Hong-cha with a normal diet. Body weight changes of Yukwa fed mice were measured once in a week for seven weeks. After seven weeks, mice were sacrificed and serum and tissues were collected for the following: adipose tissue weight, liver morphology, adipose tissue size and cholesterol content. The Yukwa combination with green tea fed mice reduced all the parameters compared to Yukwa alone fed mice. In conclusion combination with green tea showed reducing effect of hypocholesterolemia,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green tea as a food ingredient.

      • KCI등재

        커피박 가수분해물의 첨가에 따른 담자균류 균사체의 생육 및 항산화 활성 변화

        오남순(Nam-Soon Oh),성낙윤(Nak-Yun Sung),변의홍(Eui-Hong Byun),김이은(Yi-Eun Kim),조은지(Eun-Ji Cho),오철환(Chul-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커피박 가수분해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담자균 균사체의 생육 및 항산화 활성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커피박 가수분해물의 첨가가 담자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종류의 담자균을 CM배지, CM배지에 포도당을 대신하여 동량의 환원당을 함유한 커피박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CMCW배지, 동량의 환원당을 함유한 커피박 가수분해물만으로 제조한 CW배지 등 3종류의 배지에서 배양된 담자균의 생육은 CW배지< CMCW배지< CM배지의 순으로 생육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배지에서 배양된 담자균 균사체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결과로부터 커피박 가수분해물의 첨가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환원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의 증가는 커피박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담자균의 균사체에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커피박 가수분해물을 활용하여 배양한 담자균 균사체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는 그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ycelial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asidiomycetous strains (Flammulina velutipes, Pleurotus ostreatus, Cordyceps militaris, and Phellinus linteus) added with hydrolysates of spent coffee grounds as a substrate in submerged culture medium. Mycelial growth of basidiomycetous strains was comparatively higher in complete medium (CM) than in medium containing hydrolysates of spent coffee grounds (CMCW) or medium containing exclusively hydrolysates of spent coffee grounds (CW). Howev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ycelia cultivated in CMCW medium compared with mycelia cultivated in CM medium.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hydrolysates of spent coffee grounds can be used as a favorable substrate for mycelial growth with improved antioxidant activities of basidiomycetous strains.

      • KCI등재

        녹차씨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활성

        송하연(Ha-Yeon Song),성낙윤(Nak-Yun Sung),정필문(Pil-Mun Jung),강민수(Min-Soo Kang),박원종(Won-Jong Park),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녹차씨 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건조중량 대비 1.2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미백 효과가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melanoma 세포인 B16BL6에 α-MSH를 처리하여 melanin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melanogenesis 과정을 유도한 후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씨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산업 부산물인 녹차씨 껍질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of green tea seed shell as an industrial byproduct. Green tea seed shell extract (GTSE) was obtained by ethanol extraction, and the yield was 1.24%.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GTSE increased dose-dependently. To estimate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viability was tested in B16BL6 melanoma cells. GTSE treatment induced cytotoxicity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125 μg/mL but did not induce cytoxicity lower than 62.5 μg/mL. Thus, we fixed the optimal concentration at 62.5 μg/mL. Using this optimal concentration,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was measured, and GTS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synthesis induced by α-melanin stimulating hormone.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tea seed shell extracts may have potential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and may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whitening material as a natural ingredient.

      • KCI등재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조제된 스테비아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김재훈(Jae-Hun Kim),성낙윤(Nak-Yun Sung),권선규(Sun-Kyu Kwon),정필문(Pil-Moon Jung),최종일(Jong-il Choi),윤요한(Yohan Yoon),송범석(Beom-Seok Song),윤태영(Tai-Young Yoon),기희진(Hee-Jin Kee),이주운(Ju-Wo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추출처리 방법별 스테비아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열수 (HWE), 발효(FHWE) 및 감압(VE)추출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추출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FRAP) 및 지방산화 억제능을 통하여 알아본 항산화능의 평가는 감압 처리되어 추출된 스테비아 추출물(VE)의 경우 그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3가지 추출물 모두, 동일 농도에서 stevia의 주요한 활성성분인 stevioside와 rebaudioside보다 항산화활성이 월등히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항산화능의 증가에 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감압(VE)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압(VE) 처리 방법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공정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extracts from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ves. Stevia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ion (HWE) at 120℃ for 4 hr, vacuum extraction (VE) at 65℃ for 4 hr under 0.08 ㎫, and fermentation of hot water extract (FHWE) using Lactobacillus buchneri. The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ability,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vacuum extract. Also,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evioside and rebaudioside at the same concentrations, known as the major active components in stevia. To define the antioxidative compound in stevia extracts,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measured, and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in vacuum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extract was due to the phenolic compound components. In addition, vacuum extraction was the proper method to prepare stevia extract with higher antioxidant activit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