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임(雲林) 예찬(倪瓚)의 사상(思想)과 그의 문인화(文人畵) 경계(境界)

        권윤희,Kwon, Yun He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예찬은 중국 원말 사대가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이민족의 지배를 받은 시대적인 환경하(環境下)에서 자신의 독특헌 예술세계룰 구축하였다. 그의 화론인 흉중일기(胸中逸氣)는 동양 전통사상인 유(儒), 불(佛), 선의(禪) 영향으로 이루어진 정신적인 산물이다. 일기사상(逸氣思想)은 도가적(道家的)인 청담(淸淡)이나 허무(虛無), 무위사상(無爲思想)의 영향으로 문인(文人) 사대부(士大夫) 사이에 일어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다. 이는 세속을 초월하여 일어났으며 남종 문인화(文人畵)의 이론적인 토대가 되었다. 예찬(倪瓚)의 일필(逸筆)은 흉중(胸中)의 일기(逸氣)를 그리는 방법이다. 이는 그가 오랫동안 노력하고 실천한 가운데 얻어진 문인화 경계이다. 예찬(倪瓚)은 생활의 체험 속에서 깨달은 선의(禪) 오경(悟境)으로 시서일체(詩書一體), 시선일치(詩禪一致)의 높은 경지를 실현하였다. 그의 예술정신은 흉중일기로 대변되는 탈속원진(脫俗遠塵), 일소부주의 고답(高踏), 시서일체(詩書一體)의 높은 경지를 표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는 원말(元末) 명초(明初)의 화단에 독창적인 문인화(文人畵) 세계를 구축하였다. Ye-chan(倪瓚) is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Yuan. He built his own unique art world under the rule of the times under the rule of immigrahts. His theory of painting, i-ch'i(逸氣) in the heart, is a spiritual product made up of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oriental thoughts such as Confucian scholar(儒), Buddhism(佛), and Zen Buddhism(禪). The i-ch'i is a new awareness of nature that has arisen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under the influence of freshness(淸淡), emptiness(虛無), non-action(無爲). This is beyond the mundane world and became the theoretical basis for literati painting. The i-pi(逸筆) of Ye-chan is a method of drawing the i-ch'i in the heart. This is the boundary of his literati painting obtained through his long efforts and practice. Ye-chan realized the high ground of unity of poem and calligraphy(詩書一體) and unity of poem and Zen(詩禪一致), which he realized in his daily life.His artistic spirit expressed the high level of staying away from being clean(脫俗遠塵), doing not stay in one place(一所不住), and unity of poem and calligraphy(詩書一体). Through this, he built a unique world of literati painting in the Art World of the late Yuan and early Ming dynasty.

      • KCI등재

        文人畵(문인화)에서 意趣(의취)의 條件(조건)과 그 象徵(상징) -고람 전기의 문인화를 中心(중심)으로-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2 No.-

        본고는 문인화에 있어서 意趣의 개념을 파악하고 意趣의 조건과 그 상징을 古藍 田琦의 문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동양예술을 구현하는 핵심원리는 極工을 통한 熟에 있다. 고람은 독자적인 예술경계를 구축하여 천재 예술가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회화는 ``形``을 그려 작가의 ``意``를 드러내는 예술이다. 특히, 문인화는 작가의 ``意``를 神似의 방법으로 드러낸다. 이는 보통 比德이나 선비정신을 담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흔히 ``意``는 인간의 感情ㆍ感性ㆍ情性ㆍ情感을 내함하고 있다. ``意``的 趣向은 ``意趣``라 한다. ``意趣``는 理趣와 서로 대하는 개념이다. 理趣가 윤리, 인격 수양 등을 도모하는 哲理指向이라 한다면 ``意趣``는 주로 자연과의 對話, 融和, 체화를 통한 蓄藏된 흉중의 내심의 드러냄을 지향한다. 따라서 ``意趣``는 감성지향적이다. 그러므로 ``意趣``는 내면세계를 성찰하고, 몰입하게 되며, 또한 이를 재해석함으로서 自娛의 심미감이 드러나게 된다. 이는 의취가 인간 내면의 감성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과 동화되거나 체화되었을 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본고는 의취가 체현될 수 있는 조건은 다음 두 가지로 보고 있다. 즉, ``情性의 추구``와 ``자연에서 妙韻의 깨달음``이다. 情性의 추구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성찰하게 하게 하여 준다. 그러므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재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自然 妙韻의 깨달음은 자연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자연의 기묘한 운치나 아름다움을 깨닫는 것이다. ``意趣``는 여러 미감으로 드러날 수 있다. 그러나 본고는 逸味와 禪味가 의취를 상징하는 심미범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를 고람에게서 찾는다면 <매화서옥도>, <매화초옥도>와 <계산포무도>라 하겠다. <매화서옥도>, <매화초옥도>는 거문고를 갖고 벗을 찾아가는 정경을 그린 것으로 乘物하여 遊心을 표현한 乘物遊心의 逸味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산포무도>는 주조가 荒凉ㆍ疎疎ㆍ閑寂함으로 心胸이 滌蕩된 禪味로 심미되고 있다. 따라서 고람의 <매화서옥도>, <매화초옥도>와 <계산포무도>에 나타난 逸味와 禪味는 문인화에 있어 의취를 드러낸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즉, <매화서옥도>와 <매화초옥도>는 脫常으로 인한 逸脫의 모습이며, <계산포무도>는 溪山에 苞茂가 되어야 하지만 苞茂는 보이지 않고 가을걷이가 끝난 들판처럼 슬쓸함이 주조를 이룬 荒凉感의 극을 보여주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고람의 <계산포무도>와 <매화서옥도>,<매화초옥도>에 심미되는 禪味와 逸味는 乘物遊心, 滌蕩心胸이어서 인간의 感情ㆍ感性ㆍ情性ㆍ情感을 내함하고 있어 문인화에서 ``意趣``의 상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하겠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condition, and symbol of Yichi (意趣) in the literati painting based on Goram Cheongi``s paintings. The main principle of eastern art is on skill through lots of practice. He shows us an aspect of gifted artist out of realizing unique artworks. Painting means an art that express an artist``s ``mind`` by drawing a ``shape``. especially, a literati painting exposes an artist``s ``mind`` by the method of shinsa. This contains mainly biduk(比德, comparing to the virture) or spirit of literati. Usually, the ``mind`` contains humans feeling, sensibility, emotion. Taste of the ``mind`` is ``Yichi`` ``Yichi`` is the counterpat of ``Lichi (理趣)``. While ``Lichi``tries to be ethical and cultivate his mind, ``Yichi`` tries to show his mind through conversation with nature, harmony with nature. So ``Yichi`` inclines to be emotional. Therefore, ``Yichi`` examines himself and absorbed in himself and shows beauty of enjoying himself. Because ``Yichi`` is shown when it accomplishes harmony with the nature on the basis of human sensibility. so, I think there are two conditions ``Yichi`` can be be embodied. Pursuing of ``jeongseong(情性, a kind of emotioal aspect)`` and realizing of the nature``s subtleness. Pursuing of ``jeongseong`` makes you reflect your inner world. So you can reinterpret the object the artist tries to express. And realizing the subtleness of the nature means that you discover yourself in the nature and realize the beauty and grace of the nature. ``Yichi`` can reveal various beautiful senses. But I consider ``ilmi`` (逸味, the taste for the idle pursuit of pleasure) and ``sunmi``(禪味, the taste for meditation in ZEN buddihism) as the category of ``Yichi``. I think ``mawhaseokdo``(梅花書屋圖, a drawing of a house filled with books covered with plum flowers), ``mawhachokdo````(梅花草屋圖, a drawing of a thatched house in plum flowers) and ``gesanpomudo``(溪山苞茂圖, a drawing of reeds and a mountain) are such paintings that have ``ilmi`` (逸味, a taste for an idle pursuit of pleasure) and ``sunmi``. ``mawhaseokdo`` and ``mawhachokdo`` are drawings that draw a man with ``geomunko``(a kind of korean lute) to see his friend. They reveal ``ilmi`` of ``sungmulusim``(乘物遊心, a mind of an idle pursuit of pleasur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gesanpomudo`` mainly expresses desolateness, being rough and coarse, being tranquil, so you can appreciate it as ``sunmi``(禪味, a taste of meditation in ZEN buddhism) that dirtiness becomes clean. Therefore ``ilmi``(逸味, a taste of an idle pursuit of pleasure) and ``sunmi`` in ``mawhaseokdo``, ``mawhachokdo```` and ``geomunko``(a kind of korean lute) is the symbol of ``Yichi``. therefore ``mawhaseokdo`` and ``mawhachokdo```` are a deviation from everyday routines, and ``gesanpomudo`` shows an extreme sense of desolateness. mountain with a brook should be full of dense reeds, but dense reeds are not seen, The main tendency is desolateness like a field after harvest. In other word, ``ilmi`` and ``sunmi`` in ``mawhaseokdo``, ``mawhachokdo`` and ``geomunko`` is ``sungmulusim``, ``chuktangsimhung``(滌蕩心胸, doing away with dregs out of deep mind) because it contains human``s feeling, sensibility, and emotion. So it typically shows the symbol of ``Yichi``

      • KCI등재
      • KCI등재

        풍죽(風竹) 문인화(文人畵)의 심미지향(審美指向)

        권윤희 ( Kwon Yun H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감성연구 Vol.0 No.13

        풍죽 문인화는 대나무와 바람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문인의 그림이다. 풍(風)은 보이지 않은 가운데 감화 ·교화를 시켜주는 형이상의 심미요소가 있으며, 竹은 유가미학의 상징으로 절개·지조·선비 등을 상징하는 심미요소가 있다. 따라서 풍죽 문인화는 竹이라는 자연물로 된 유가미학의 상징과 풍(風)이라는 형이상적인 심미요소가 결합되어 심미이상을 구현한다. 풍죽 문인화는 일반적으로 상리(常理)의 추구가 담겨 있으며, 중신사(重神似)의 원칙으로 청풍고절(淸風高節)의 정신미(精神美)가 드러나게 된다. 풍죽 문인화에 대한 심미는 다양한 관점과 기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고는 기세(氣勢)와 신채(神采)를 가장 중요한 심미기준으로 본다. 왜냐하면 기세에는 동양예술의 기본원리인 숙(熟)이 담겨있고, 신채에는 풍죽 문인화의 품격을 격상시켜 주는 격조가 함께 있기 때문이다. 즉, 기세는 극공의 숙에 의한 개성이며 천착된 필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기세가 외적인 형태로 드러난다면 신채는 내적인 정신이 드러남이다. 풍죽 문인화의 심미기준으로 신채는 품격을 보여주는 심미요소이다. 신채는 속됨을 없애고 맑음의 드러남을 추구하게 됨으로 가능하게 된다. 풍죽 문인화 미학의 심미이상은 비덕을 통한 유가미학의 구현에 있다. 이는 자연물에 군자와 선비를 의인화하여 가능하게 한다. 또한 풍죽 문인화 미학의 심미이상은 선비정신의 가시화(可視化) 하여 줌에 있다. 이는 청풍고절의 의상(意象)과 문향청기의 의상(意象)을 통하여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풍죽의 문인화가 지향하는 심미지향은 비덕에 의한 유가미학의 구현을 통하여 선비정신을 드러내는 바에 있다. Windy bamboo is literati painting combined with bamboo and wind. The wind can`t be seen but has a metaphysical aesthetic element for influence and enlightenment. The bamboo also has a metaphysical aesthetic element for symbol of fidelity, unworldliness, and literati. Therefore, it is combined with the aesthetic element of bamboo which is a natural object and a symbol of Confucian aesthetics and wind which is the aesthetic element of metaphysics to realize the ideal of aesthetics. It generally has the pursuit of the matter of course(常理) and spiritual beauty of the clear wind and high fidelity(淸風高節) is revealed by the principle of the focused on mentally copied(重神似). The aesthetic about the windy bamboo can be reached at many different viewpoints and standards. I believe gi-se(strong force) and sin-chae (noble & mystic state) are the most important. It is because being mature, the basic principle of eastern art, is in the gise and the sin-chae consists of dignity which improves the level of the windy bamboo. In other words, the gise is individuality by studying hard and deeply and it will be available if there were the excavated power of a brush stroke. So, the gise expresses its personality outward, then the sinchae is its inner mind. They are the aesthetic elements of windy bamboo which show grace. This is available through pursuing revelation of clear and erasing earthliness. The ideal of aesthetics in windy bamboo is to embody confucian aesthetics through metaphor. It is possible by personification of wise man and scholar to natural object. And the aesthetic orientation is in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literati`s visualization. It is feasible through the image of the clear wind and high fidelity(淸風高節) and the image of literati`s fragrance and clear vigor (文香淸氣). Like this, the aim of aesthetics expresses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literati by metaphor through confucian aesthetics.

      • KCI등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경로모형 분석

        권윤희(Kwon, Yun-Hee),곽오계(Kwag, Oh-Gy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 진로정체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 및 임상수행능력 의 관계에 대한 경로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 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해 비판적사고성향, 진로정체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이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비판적사고 성향과 진로정체감이 간접효과가 있었다.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에 대해 비판적사고성향 과 진로정체감이 직접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 고, 적절하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itness of a path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career identity,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581 nursing student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and AMOS programs. Critical thinking, career identity,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showed a direct effec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career ident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career identity showed a direct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We consider the cause which affects th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student nurses and study on the reasonable and effectiv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 KCI등재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권윤희(Kwon, Yun-Hee),송미옥(Song, Mi-Ok),김정남(Kim, Chung-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9년 4월 29일부터 7월 26일까지 D시의 D병원에 입원된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30명, 대 조군 30명을 각각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처치인 원예요법 프로그램은 실내․외 원예활동으로 구성되 었으며, 주 6회 3주간 매일 30분씩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울과 혈청 코티졸 검사를 통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혈청 코티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요법은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완화적 중재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ospice patient in D hospital in D city, thirty hospice patient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thirty hospice patient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9, 2009 to July 26, 2009.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indoor and out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horticulture therapy was conducted 30 minutes, 6 times a week for 3 weeks (a total 18 times). Measures were depression, and stress by serum cortisol cou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SPSS/WIN 17.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Horticulture therap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horticulture therapy is an effective, pallia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depression and stress of hospice patients.

      • KCI등재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활용 소집단 협력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권윤희(Kwon, Yun-Hee),곽오계(Kwag, Oh-Gy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MBTI활용 소집단 협력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학습 프로그램과 연구 참여에 동의한 T대학 간호과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단순무선 배치를 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15주 30시간 MBTI활용 소집단 협력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 다. 연구도구는 MBTI 검사, 대인관계, 진로정체감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MBTI활용 소집단 협력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간호대학생보다 대인관계와 진로정체감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ll group collaboration learning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30 experimental group and 30 control group,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2nd grade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nursing program of T university in Daegu, Korea. The 3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eived small group collaboration learning program through MBTI for 30 hours(2 times in a week for 15 weeks). Measures were MBTI t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7.0 program, chi-square tes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small group collaboration learning program through MBTI will have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chan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선비풍류(風流)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理想鄕) - 풍죽(風竹)의 문인화(文人畵) 경계(境界) -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6 동양예술 Vol.31 No.-

        풍류(風流)는 ‘바람이 정체되거나 막히지 않고 흐르는 것’으로 ‘자유’, ‘자연스러움’, ‘변화’, ‘움직임’, ‘아름다움’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풍류는 자연과인생과 예술이 혼연일체가 된 미적 표현으로 자연·멋·음악·예술·여유·자유분방함·즐거움을 본질로 한다. 또한 풍류는 자연친화적인 것이며 동시에 자연과의 교감이며 나아가서는 자연과의 합일, 자연으로 회귀를 의미한다. 그러나 풍류를 즐기는 방향은 사람마다 그의 개성과 기호에 따라 서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선비의 풍류는 노는 것이지만 정신적인 영역까지 포함하고, 예술적·심미적 요소가 함께하고 있다. 즉, 선비풍류의 본질은 자연 속에서 ‘자연’과 ‘나’를 합치시키는 근원적인 미적 체험이 선비가 지향한 풍류의 본질이다. 선비풍류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은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친화의 추구에 있다. 풍죽은 선비풍류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문인화로서 바람과 맑음의 선비풍류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 즉, 바람과 맑음은 풍죽 문인화가 선비풍류를 문인화라는 장르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자이다. 따라서 바람은 기운생동한 기세의 미학으로, 또한 맑음은 俗除淸至한 신채의 미학으로 심미된다. 이러한 경계의 풍죽 문인화는 강암의 풍죽 등에서 심미하여 볼 수 있다. 특히 강암의 풍죽에는 선비풍류의 본질과 조건이 담겨 있으며 견정의 미감·광일의 미감 등 다양한 미감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문인화 장르 가운데 선비풍류를 대표하는 풍죽의 이상경계이면서 상징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풍죽의 심미경계를 고찰하여 보면 선비풍류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이 풍죽의 문인화에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는 결국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과 함께하는 삶과 철학의 결과에서 나오는 예술경계이며 선비풍류가 빚어낸 이상향의 구현이라 살 수 있다. Pungryu is a kind of taste and wisdom that make people calm and happy with nature. Pungryu means ‘wind or water flows without clogging’ and it involves the concept, ‘freedom, being natural, change, moving, beauty’ But pungryu has very complicated meaning, because it is not the simple flowing wind and water but the nature must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human. So pungryu is a kind of amusement culture based on esthetic cognition, the original of amusement culture, and the original of artistic culture. Pungryu developed as a religion·religious ritual in the thinking world and as a poem·caligraphy ·painting ·go·kayag?m that enjoy culture and art as time goes. Pungryu is nature friendly, and at the same time a mutual response with nature, and further it is a union with nature. Therefore pungryu is a esthetic expression of the state of whole unity with nature, life, and art involving the concept of nature·taste·music·art·free spirit·joy. The spirit of pungryu pursues natural harmony without artificial skill. So pungryu is freedom and ideal thing. But the direction of enjoying pungryu is various depending on human’s individuality or taste. Especially a confucian literati enjoyed pungryu in the groups named, sisa·sigye·gyehyue. writing poem, doing caligraphy, and drawing painting. One of the best among them can be windy bamboo.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symbolizing literati’s spirit and that can express esthetic state when all three of poem, caligraphy, and painting are making harmony. A windy bamboo contains a symbol of literati’s spirit as a metaphor and interaction, flowing, and sympathy. Like this a windy bamboo basically contains characteristics of pungryu.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containing literati’s pungryu esthetics. Therefore it is a utopia and symbol of pungryu that ex presses a noble style and dignity. I studied esthetic state of Gangam’s windy bamboo based on pungryu esthetic side. Gangam’s windy bamboo esthetics showing strongness became incarnation of literati spirit and showed various esthetic state such as stable & solidityi, rush about & deviation. This is ideal state and symbol representing literati’s pungryu. And the pungryu of Gangam’s windy bamboo is ‘sound of pure bamboo- leaves’ So my ‘sond of pure bamboo-leaves’ is another symbol of windy bamboo that is a utopia created by pungryu. Therefore I think joyful windy bamboo esthetic state depends on pursuing one and appreciating one as the utopia created by pungryu became a windy bamboo of ‘sound of pure bamboo-leaves’.

      • KCI등재

        고람(古藍) 매화초옥도(梅花草屋圖)의 심미적(審美的) 이상경계(理想境界) -유(儒), 도가(道家) 미학(美學) 공존(共存)의 이상향(理想鄕) 구현(具顯)-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동양예술은 대부분 유가와 도가예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가와 도가는 크게는 인간과 자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즉, 유가는 인간사회를 중심으로 인위, 교화를 추구하며, 도가는 자연을 중심으로 無爲逍遙隱逸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儒家는 天道와 人道를 人道에 통일하고, 道家는 天道와 人道를 天道에 통일한다. 즉, 유가는 樂을 통한 凝視, 도가는 遊을 통한 超脫의 방법을 취한다. 그러므로 유가는 예술 도덕이 동일시되고, 도가는 현실에서의 초연하게 벗어날 수 있는 초탈을 강조한다. 또한 유가는 심미체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주관에 내재된 존재, 즉 덕을 지향해야 하며 동시에 그것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그러므로 유가 미학은 삶의 즐거움을 통하여 응시함으로 현실의 타개를 도모한다. 또한 도가는 無欲과, 은둔자의 소극적인 태도로 적극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하였다. 儒· 道家가 심미적으로 共存하는 空間이 통상적인 매화서옥도이다. 여기에는 儒· 道家에 美學에 해당되는 심미인자가 같이 존재하고 있다. 매화서옥도는 임포고사에서 유래되었다. <도1>고람의 매화서옥도는 철학적 측면에서 樂을 통한 凝視와 遊를 통한 超脫이 유도가의 철학요소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래 儒· 道家는 待對와 相補의 관계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修身과 安身이다. 그러므로 이는 儒· 道家의 이상향인 大同社會와 無何有之鄕이 매화서옥도에 철학적인 측면에서 구현되었다 볼 수 있다. 또한 미학적인 측면에서도 儒· 道家의 미학이 구현되어 있다. <도1>고람의 매화서옥도에는 유가의 悅樂과 逸脫의 미학요소가 있다. 이는 有朋 方來로 인한 君子三樂의 열락과 거문고를 메고 벗을 찾아가는 것이 각각 일탈의 요소이다. 즉, 거문고를 메고 가는 것은 평상시에는 찾아볼 수 없는 바, 이는 유가의 逸脫의 미학요소로 볼 수 있다. 또한 <도1>고람의 매화서옥도에는 도가의 소요와 자적의 미학요소가가 있다. 이는 서옥안의 벗을 찾아가는 행위가 도가에서의 소요의 요소이며 서옥안의 정좌하고 있는 선비는 自適의 요소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미학적인 측면에서도 유가의 悅樂과 逸脫, 도가의 逍遙와 自適이 각각 천인합일과 정경합일의 경계를 보여준다. 이는 <도1>고람의 매화서옥도에 儒· 道家요소가 철학적 심미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이상향이 구현되어 있다. 美學에서 심미의 共存處를 동양예술의 이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심미된다. Oriental arts are mainly composed with confucianism arts and taoism arts. Confucianism & taoism are unfolded mainly focused on human being and the nature. <Drawing1> of Koram``s ‘mawhaseokdo’(梅花書屋圖, a drawing of a house filled with books covered with plum flowers) coexists confucianism & taoism``s aesthetics appreciatively. There are the elements of appreciationaesthetic``s of confucianism & taoism``s aesthetics. If looked into philosophically and aesthetically, we can come to the fact. In other words, at the philosophical aspect, the ``stare``(凝視) through the pleasure and the ``transcendence``(超脫) through the ``play``(遊) displays the philosophical elements of confucianism & taoism. Originally, confucianism & taoism are counteract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each other. they realize the ideal through the self cultivation and body conservation. And at the aesthetic``s aspect, there are the``pleasure``(樂) and ``deviation``(일탈) for confucianism and & the ``stroll``(逍 遙) and ``self-satisfaction``(自適) for taoism. The pleasure of man of virture``s three happiness through the friend``s visting and the ``deviation`` of visiting the friend with music instrumentcalled gemungo(거문고) is the element of appreciation aesthetic for confucianism. And the ``stroll``(逍遙) searching for the friend situated in house filled with books and ``self-satisfaction``(自適) of friend in house filled with books is the element of appreciation aesthetic for taoism. Like this, <drawing1> of Koram``s ‘mawhaseokdo’(梅花書屋圖, a drawing of a house filled with books covered with plum flowers) coexists the aesthetic``s elements for confucianism & taoism. these show us that they realize the idal land(called ``utopia``) of human-being on aesthetic``s aspect.

      • KCI등재후보

        한국적(韓國的) 진경체현(眞境體現)으로서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의 풍죽미학(風竹美學) 연구(硏究)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7 No.-

        대나무는 의인화된 선비의 모습이며 선비가 지향하여야 할 儒家社會의 比德의 상징이다. 그래서 文人·墨客이 대나무라는 사물을 格物의 소재로 삼아 자신의 性情과 稟性을 陶冶하여 致知에 이르고자 했다. 특히, 風竹은 대나무에 바람이라는 형이상학적인 미학 요소를 더하여 시련을 극복하고, 절개를 상징하는 유가미학이 지향하는 선비를 의인화하고 있다. 그러나 묵죽화의 명인 중 풍죽에서 독특한 審美境界를 이루어 낸 문인 화가들은 흔하지 않았다. 剛菴 宋成鏞(1913-1999)의 풍죽은 다양한 미감을 체현하고 있다. 그는 용묵으로는 농담, 조화와 번짐의 선염법을 이용하여 書·畵가 相調되는 풍죽 미학의 審美境界를 구축하였다. 따라서 강암의 풍죽화는 朝鮮朝 灘隱 李霆이 세운 풍죽 문인화의 典型에 神似化된 筒竹으로 自化의 경계를 이루었다. 이는 선비정신이 內涵된 神似의 풍죽인데, 陽强美를 主潮로 삼아 새로운 차원의 풍죽 문인화 미학을 체현하였다. 곧 풍죽 文人畵史에서 筒竹을 중심으로 한 重神似와 陽剛美가 주조가 된 자신만의 독창적인 풍죽의 審美境界를 구축한 것이다. 강암 풍죽의 문인화 미학은 性靈과 天機에 의한 狂과 怪의 美學思想으로 확대되어 있다. 선고인 裕齋 宋基冕(1882-1956)의 舊體와 新用의 儒家哲學 사상을 바탕으로 朱子의 性理學的 典雅美와, 王陽明의 陽明學的인 狂怪美가 아울러 발현되었으며 外整과 內逸에 의하여 調和美로 구현되었다. 이로 인하여 강암의 풍죽은 풍죽문인화사에서 독창적인 韓國的 眞境을 體現하였다. Bamboo was a personified literati-scholars and the symbol of figuring virtue with things of Confucian society. Therefore many literati and calligraphers tried to build up their character while they drew bamboo as a material of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 especially, windy bamboo painting added metaphysical aesthetics was a personified literati-scholar that symbolize the overcoming the pain, hardship, and integrity. For a long time literati and calligraphers have been drawing bamboo to build up their character. However there has been a few painters who completed high aesthetic world with his windy bamboo. Gamg-am’s windy bamboo paintings have embodied various aesthetic feelings. His windy bamboo paintings based on the beauty of strongness to express the spirit of literati-scholar. He formed his own aesthetic world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rmonize with each other by how to use Chinese ink to express being dark and light, harmony and spreading. Therefore his windy bamboo paintings are the whole bamboo painting based on the windy bamboo painting that Tan-eun, Jeong Lee has established in Josun dynasty. This embodied a new style of windy bamboo painting aesthetics based on the beauty of strongness. His windy bamboo painting embodied the aesthetics of Confucian society and symbolize the personified spirit of literati. He formed his own unique aesthetic world that emphasize the human’s mind and beauty of strongness in the whole bamboo in the windy bamboo painting history. His aesthetics was enlarged to the thought of passion and being strange. This stemmed from the beauty of clearness based on Sung Confucianism (Juja) and the beauty of passion based o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embodied as harmony between being neatly in appearance and being comfortable inside. So Gang-am``s windy bamboo painting has embodied the unique Korean style of literati-scholar``s pa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