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김윤경,백목원,정경화,류선옥,황혜린,임영주,권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 연구이다. 10년 이상 경력의 중학교 국어 교사 2명, 고등학교 국어 교사 2명, 총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녹화하면서 참여관찰하였다. 이 수업을 전사, 분석하였다. Saldaña의 1차/2차 주기 코딩 방법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11을 활용하여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수업 대화를 그 목적에 따라 학습 대화와 생활 대화로 나누어 설계하였으며, 학습 대화는 전달-소통의 축으로, 생활 대화는 과업-관계의 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명의 교사 중 2명은 A형(전달-과업 중심), 2명은 B형(소통-과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C형(전달-관계 중심)과 D형(소통-관계 중심)은 나타나지 않았다. A형과 B형 모두 과업 중심의 생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수업 대화가 과업 중심적 대화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있으며 관계 중심적 대화가 현격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사를 매개로 한 학생과 세계와의 인격적 만남이므로, 관계 지향의 교사 대화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교사 대화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in-class conversation methods. A total of 8 classes of 4 Korean language teachers − 2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high school teachers − that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recorded and observed. Their classes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aldaña’s first and second cycle coding,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Nvivo11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conversations during class were divided into learning conversations and living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 learning-related conversations were then analyzed by the delivery–communication axis while the living conversations were analyzed by the task-relationship axis. As a result, 2 out of the 4 teachers were found to be Type A (delivery-task) and 2 were Type B (communication-task). No one belonged to Type C (delivery-relationship) and Type D (communication-relationship). Most of the high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A while the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B. Both Types A and B were found to have living conversations focusing on tasks, and such results prove that conversations during class tend to be task-focused, which conversely evidences a significant lack of relationship-focused conversations in Korea.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 medium. This study thereby argues that teachers should use more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in the classroom. In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action should go hand in hand to improve teachers’ class conver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