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종교저널리즘의 진화 -< 기독신보 > 창간과정과 의의를 중심으로-

        황우선 ( Woo Seon Hwa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언론의 암흑기인 일제강점 초기(1915)에 창간되어 21년여 동안 주간으로 발행된 < 기독신보 >의 창간과정과 의의를 연구하기위한 것이다. < 기독신보 >는 기독교 관련 소식은 물론 일반 사회 관련 문제도 다루었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의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일부 한국교회사 연구자들 외에는 < 기독신보 >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며, 언론학 연구자들의 연구대상이 되지도 못했다. 이 신문의 창간에 관한 체계적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 기독신 보 > 창간의 배경을 비롯해 창간 논의 과정, 창간 준비 및 계획, 창간 후 편집체제와 운영방식, 창간초기의 경영상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창간호와 초창기 발행 신문들을 통해 창간정신, 편집체제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한말 < 죠션크리스도인회보 >와 < 그리스도신문 >의 창간 및 통합, 분리후 재통합을 거친 < 기독신보 >의 창간과 발행은 종교저널리즘이자, 한국저널리즘의 일부로 이해할 수있다. 미국 감리교 선교회와 장로교 선교회의 연합언론활동이 초창기 한국저널리즘의 역사에서 일부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 기독신보 > 창간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저널리즘 역사에서 종교저널리즘의 등장과 진화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looking into both the foundation process and its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of the Christian Messenger issued weekly from 1915 to 1937,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ism. Taking into academic value interwoven with society in general and Korean church in particular, there is little doubt on the importance of the paper. Unfortunately though neither journalism researchers nor church historians has paid adequate level of attention to. Especially research on the foundation process and its significance of this paper has not been visited at all. This paper attempts to unearth the background of the Christian Messenger foundation, main agents of the foundation and process of the arguments, preparations and plans on the one hand. Such factors as foundation spirit, editing forms,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were disclosed on the other hand. Korean journalism owes much to a wide range of activities facilitated by Christian missionary foundations. It is also undeniable that not only main philosophy but normative orientation of those early newspapers had much to do with religious goals. With this study, the author hopes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ic features and the role of Korean church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후보

        초창기 한국교회의 기독교 정체성(Christianity) ― 사회적 약자, 절제, 가정 등에 관한 「기독신보」 사설을 중심으로

        황우선 ( Hwang Woo-se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1 No.-

        「기독신보」는 한국교회사는 물론 한국근대사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신문이다. 한국인에게는 창간 허가를 내주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초기 1915년에 창간되어 1937년까지 장구한 발행기간도 중요하고, 이 신문의 뿌리가 1897년 한국교회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 신문의 전체 사설 1,478건 중 21%인 309건은 사회적 문제를 다루었다. 사회적 문제를 다룬 사설 309건 중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나타내는 사회적 약자 보호, 절제, 가정 등에 관한 사설은 35.6%인 110건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체 사설 중 7.5%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110건 중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사설은 63건으로 57.8%를 차지했고, 절제 21건(19%), 가정(부모, 결혼, 이혼 등) 17건(15%), 기타 9건(8.3%) 등의 순이다. 사회적 약자 보호의 내용으로는 빈곤 및 구제가 필요한 이들 18건(16%), 아동13건(12%), 노동 12건(11%), 여성 11건(10%), 민중 5건(4.5%), 병자4건(3.6%) 순이다. 「기독신보」가 기독교 정체성(Christianity)을 나타낼 수 있는 사설을 게재한 것은 일제강점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유교적 가치관이 지배적이던 당시 시대상황을 감안할 때 적지 않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겠다.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한 사안이었지만, 이러한 사회적 아젠다의 추진 및 실현은 물론 제시할 여건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독신보」의 사설에 나타난 기독교 정체성은 오늘날에도 기독교 저널리즘이 선구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edia is believed to take a critical part in constructing identity known as identify politics. The christianity as a typical collective identity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n churches remains vague though. This paper thus sheds key lights on the Christian Messenger published in 1915 as the only newspaper written in Korean. Method of analysis was to investigate those editorials which attempt to influence church attendants. Such subjects as how to care about social minorities, religious virtues and family norm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With analyzing total number of 110 samples, it turned out the following results. As to social minorities, such figures as the poor and in need, children, working class, female and the diseased were primarily mentioned. Also did the paper put emphasis not only on providing church attendants with logical explanations but possible solutions in way of constructing collective mood and attitude. This paper would be a solid step for making sense of the media's role in religious community.

      • KCI등재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본 언론의 규범적 가치와 실제: 아프간 선교단체 피랍사건 보도에 나타난 편향성을 중심으로

        황우선 ( Woo Seon Hwang ),김성해 ( Sung 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論集 Vol.46 No.1

        Is the religion free from media biases characterized by fairness, balance and objectivity? If biased representation occurs in reporting those issues like religion, nation, race, gender and class, what kinds of harmful impacts come into being? Until now, though, there existed few studies which focus on religious repor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earth the bias of the media reporting on the christianity exposed with kidnapped Afghanistan missionary group. The kidnapped group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given the largest scale of Korean missionary history. Also did relatively hostile and less accurate news about the story make it of valuable research. While acknowledging that media``s unfairness can be identified with frames consisted of a pack of logical statements, it has analyzed total 215 articles from various newspapers. Such frames as price of ministry, good intention, pragmatism, aggressive mission work, religious hostility, religious faith, financial gain, deviant behaviors and justifiable responsibility were employed for this purpose. It turns out that the media applied different frames in accordance with not only public opinion but their own political stance. While most of Korean media showed strong antipathy against the case, there found strong sympathy on Taleban militants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Surprisingly, the Korean media failed to correct false information in way of satisfying public mood. The media have a strong influence on collective memory, collective identity, system of norms and faith in community. Distorted reappearance by the media intensifies specific prejudice and makes negative public opinion.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to examin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ic norms and public mood in time of crisis.

      • KCI등재

        종교공동체를 통해서 본 한국 민주주의 원형: 초기 한국기독교 공회의 공론장 역할을 중심으로

        황우선 ( Woo Seon Hwang ),김성해 ( Sung Hae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3

        한국 민주주의 원형을 어디에서 찾을수 있을까? 민주주의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공론장이 한국사회에는 언제부터 형성되었을까? 이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국내에서 해방 이전까지 공론장이 제대로 형성된 적이 없다는 게 일반적 의견이다. 이론의 여지없이 최초의 공론장 역할로 평가받는 것은 만민공동회 정도이다. 이 만민공동회는 독립협회가 운영하였고, 독립협회의 주요 인물들, 즉 서재필, 이상재, 이승만, 윤치호 등은 모두 기독교공동체의 구성원들이었다. 개화기, 구한말 당시에도 기독교공동체가 다양한 형태의 공회를 통해 민주적으로 운영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들이 자연스럽게 기독교공동체 내에서 민주주의 훈련을 받았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하겠다. 이런 전제에서 기독교공동체의 공론장 형성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북)감리회는 1885년 (북)장로회와 함께 개신교 중 가장먼저 한국에 들어왔다. 1930년 남·북감리회가 조선감리회로 통합된 이후 지금까지 단일교단을 유지하고 있으며 당시부터 지속된 ‘공회’는 공론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감리회가 주도적으로 참여해 발행한 <기독신보>의 창간 과정 또한 그 연장선에서 볼 수 있다. 연구진은 이에 공론장의 구성요건을 ‘평등한 참여, 자유롭고 합리적인 토론, 민주적 합의, 진정성, 지속성’ 등으로 규정한 다음, 이러한 특성이 실제발현되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민주주의 원형의 단초를 발견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The ‘People’s Joint Association’ in 1898 is believed to be a first attempt of democratic politics in Korean society. Not only had the ‘Independence Club’ played a key role in organizing the meeting, interestingly, the majority were come from Christian community. This paper in this regard attempts to identify a prototype of Korean democracy by looking into those Christian assemblies in which all members were able to take an equal part in talking, sharing and making a choice. While borrowing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it divides fundamental components of it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like equal participation, free and reasonable discussion, majority consensus, abiding by communication ethics and institutionalization. The authors hope to shed a light on possible roles done by the Christian community in Korean democracy in way of restoring the Christianity.

      • KCI등재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1933~1937)

        황우선(Hwang, Woo-Seo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기독신보」의 폐간과정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연합 차원의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운영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기독신보」는 한국언론의 암흑기로 표현되는 일제강점 초기인 1915년 초창기 한국 교회의 장?감 교파연합 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 1937년 7월 28일 사령 1129호를 마지막으로 발간한 후 휴간을 거쳐 폐간되고 말았다.「기독신보」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를 제외한 유일의 신문이었고, 특히 한글로 제작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 동포들에게까지 뉴스를 전하는 언론의 역할을 해냈다. 1920년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기존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전환하면서 한글신문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한국언론의 명맥을 유지한 유일의 신문으로서 가치가 크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기독신보」가 한국교회 연합의 매개체로서, 한국인을 위한 언론으로서 공헌을 해냈지만, 한국교회 내 헤게모니 싸움의 한복판에서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기독신보」의 폐간은 한국교회는 물론 한국사회에 커다란 손실로 지적될 만큼 아쉬운 점이 많이 있지만, 바람직한 교회연합 사업의 방향을 찾기 위한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신문의 폐간 과정을 살펴보는 의의가 있다 하겠다. 특히 한국교회연합 신문의 필요성이 절실한 오늘날 한국사회와 한국교회를 위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출현과 준비를 위해서도「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의 역사적 교훈을 반추하는 연구와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한국교회가 해결해야할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최초의 한국인사장으로서 많은 기대를 한몸에 받으며 사장에 취임한 전필순은「기독신보」가 이어온 민주적 경영방식의 전통을 사장 1인 중심체제로 전환하고,「기독신보」의 소유권을 주장 및 행사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와의 돌이킬 수 없는 갈등 상황이 전개되었고, 폐간의 파국으로 끝났던 것이다.「기독신보」의 전통은 한국인과 선교사가 발행인ㆍ편집인ㆍ사장ㆍ주필(주간) 등의 직책을 협력형태로 나누어 맡아 민주적으로 경영해온 것인데, 한국인사장이 등장하자마자 발행인, 편집인을 겸직한데다 곧이어 편집국장까지 겸무하는 CEO의 단독경영으로 돌아선 것이다. 경영권이 한 사람에게 집중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 건물에서「기독신보」짐을 꾸려 이사 가는 행위까지 벌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기독신보」의 발행인이 서양선교사라고 해서 서양선교사 개인의 소유가 아니었던 것처럼, 전필순이 발행인이 되었다고 해서 그의 개인신문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주도로서는 교회연합 신문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한국교회가 민주적으로 함께 참여하여 운영하는 것만이 성공을 위한 최상의 방법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