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은 시문학 연구의 과제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학에 관련된 연구는 대략 2백여 편에 달한다. 포은학회 창립이후 발표된 논문이 그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문 · 사 · 철(文史哲)의 제한된 연구범주에서 시작한 포은학 연구가 이제 다양한 인접 학문과의 융합으로 범주가 확대되었다. 그만큼 연구 영역이 확대된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시금 강조되는 사항이 ‘텍스트’이다. 포은학의 텍스트인 ≪포은집≫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포은 정몽주의 문집은 초간본인 ≪포은시고≫가 1439년에 간행된 이후 14종의 판본이 간행되었다. 기존의 한적목록을 바탕으로 확인된 ≪포은집≫이 총 281종 691책이지만, 실상은 더 많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자료도 결코 적지 않다. 일본 봉좌문고(蓬佐文庫)에서 발굴된 포은의 <대책문(對策文)>은 더없이 중요한 자료이다. 중국문헌에서 발굴된 시작품도 3편(6수)이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일조시의 시작품 2편을 포함하면 5편(8수)이다. 국내 문헌 가운데 ≪삼봉집(三峰集)≫에서 1편, ≪송은집(松隱集)≫에서 3편의 시작품과 <제포은문(祭圃隱文)>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포은학연구의 기본 자료인 ≪포은집≫은 형태서지의 정보사항만 제기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내용서지 연구와 함께 종합적인 판본조사가 필요하다. 초간본을 비롯하여 14종의 판본에 대한 교감작업도 시급한 상황이다. ≪포은집≫에 수록된 시제(詩題)와 시구(詩句)가 판본에 따라 상이한 곳이 적지 않다. ≪포은집≫이 창작 순서대로 편집하였다고 하나, 중국 사행시의 경우 배열에 오류가 있다. 국내외에서 편찬된 문헌 속의 포은 시작품을 대비한 결과 오류가 더 심하다. 포은 시문학의 연구를 위해서, 더 나아가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포은관련 문헌자료의 발굴과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고에서 제시되지 않은 국내외 도서관에 산재한 자료와 개인 소장본으로 전하는 것이 수없이 많으리라 본다. 이에 대한 관심을 각별히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포은집≫의 증보 · 교감 사업도 더없이 중대하다. 포은의 시문학연구를 위해서 가장 선결 과제가 증보교감본의 간행이다. 이제까지 형태서지학적인 관심만 기울였을 뿐, 내용서지학 측면에서의 연구는 시도 된 바없다. 아울러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 국역은 물론, 영어 · 중국어 번역본의 간행사업도 깊은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There have been about 200 researches on Poeun,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foundation of Association of Poeum Studies. Having begun within the range of humanities,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the research on Poeun has extended its scope of study with the cross discipline with various related studi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extended range of study, the subject of ‘text’ is to draw substantial academic attention. Now it’s time to show a keen interest in Poeunjip, which is a vital text in the field of Poeun research. Since the publication of Anthology of Poeun’s Poems in 1439, 14 woodblock-printed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The list of Poeun’s works shows that 691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in 281 types, but it is widely believed that more books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This paper too proposes a quite a few new references to prove the existence of unexcavated material. Poeun’s “Daechaekmoon(對策文),”discovered in Japan’s “Bongjoamoongo(蓬佐文庫),” has a great significance. Three poems by Poeun have been found in Chinese bibliography, in addition to two other unverified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one poem of Poeun has been discovered in “Sambongjip(三峰集)” and three others in “Songeunjip(松隱集)” including “Chepoeunmoon (祭圃隱文).” Poeunjip has nothing but the record of material bibliography, a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tudy on the woodblock-printed books as well as on the content bibliograph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ach a consensus on the study of 14 kinds of woodblock-printed books. The themes and phrases in Poeunji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version of woodblock-printing. In the case of Chinese four-line verse,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erms of arrangement, especially compared with Poeun’s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The excava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Poeun and the field study are essential to further study on Poeun’s poetry and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It is presumable that there are so many material concerning to Poeun including those offered in this paper, whether in public library or in private collection. The next academic step should be focused on those material that are not available at the moment. Another important thing to be done first is to lead a social consensus on the supplement of Poeunjip. Compared to the material bibliography, the content bibliography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The translation of Poeunjip into English and Chinese as well as modern Korean is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 KCI등재

        『포은시고』 판본에 대한 고찰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After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Poeun’ anthology is added fourteen times until Okssan-edition was published in 1903. It is unusual for one type of works to be published fourteen times. The fact that a collection of Jeong Mongju’s works was published before an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n confusing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meant a lot. Currently, there are 206 types and 481 volumes of Poeun’anthology(圃 隱集) housed in all of th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The most remarkable thing among them is a two-volume book of Poeunsigo(圃隱詩 藁) housed in the Pusan city library. This edition is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assets No. 49. since it is later printing, which is a revised edition in 1439(Sejong21). Even though it has been discussed about Poeun’anthology(圃隱集) , it has not tried to take demonstration of the first edi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in Housa Bunko which is the title of the first volume is marked as Poeunsigo, Singye-edition(新溪本: Garammungobon·釜山市立圖書館 本·晩松文庫本), Gaiseung-edition(開城本), and Hwangju barracks– edition(黃州兵營本).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facts are determined. First of all, the first edition which has been known for being destroyed remains in Housa Bunko(蓬佐文庫)of Japan. Also, Singye-edition and the first edition were expected for the same one, but it turns out that those edition are not identical. Poeunsigo(圃隱詩藁) which is housed in Bongjwa library is a printed book as the first edition. Whereas it is very well preserved, the preface is destroyed and someone touched the end of the first volume and second volume PartⅠand PartⅡ(page4) of the draft of Poeunsigo. Works in the first volume of Poeunsigo and in the second one are 120 and 134 respectively. Lee sack s three works, 〈圃隱齋記〉 〈題圃隱記後〉 〈憶鄭散 騎〉, are added at the end of the second volume and marked as ‘校記’ in pansim(板心). Poeunsigo which is designated as Pusan cultural asset No.46 is not a second volume of the first edition but a second volume of Singye-edition(新溪本). There are seven kinds of Shingye-edition in the country: Garam paperback in Kyujanggak, a paperback of paperback of Korea University and so one. Those were printed at different times. The edition in City library of Pusan is published in 1632(Injo 10) in that the period of publication,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 is engraved in the end of a book. Shingye-edition included 120 poems in the first volume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first edition. The second volume included 135 poems, which is one poem is added in the first edition. 〈圃隱齋記〉 〈題圃隱記 後〉 〈憶鄭散騎〉 which are marked as ‘校記’ in the first volume are contained in 「Japjeo(雜著)」 and added Leesack s 〈書江南紀行詩藁後〉, Yubangseon s 〈訪圃隱先生舊居小賦〉. Ultimately, Shingye-edition added a Poeun s work, a Mokeun s work, and a Yubangseon s work. Gaiseung-edition(開城本) is a wooden printing which is published in 1575 when sungyang seowon received a framed picture from the King. 포은집 은 초간본이 간행된 후, 1903년 옥산본이 간행될 때까지 14차례에 걸쳐 판각이 이루어졌다. 1종의 문집이 14차에 걸쳐 간행된 것은 드문 일이다. 더욱이 임진왜란이나 조선말기의 혼란 시기를 전후하여 포은 정몽주의 문집이 간행된 사실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 전국 36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집은 206종 481책이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부산광역시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시고 2권 1책이다. 이 판본은 1439(세종21)에 개판한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하여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동안 최채기, 양진조, 홍순석 등에 의하여 포은집 판본에 대해여 논의된 바 있으면서도. 초판본에 대한 변증은 시도된 바 없다. 최채기는 실전 되었다고 하였으며, 양진조는 부산시 문화재 49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가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소개하였다. 필자는 일본 봉좌문고본이 초간본이라 고 소개만 하였을 뿐이다. 그동안 포은집 판본에 대한 연구에서 미흡했던 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권수(卷首)의 제목이 ‘포은시고’로 표기된 초간본(봉좌문고본), 신계본(가람문고본·부산시립도서관본·만송문고본), 개성본(장서각본), 황주병영본(국립도서관)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포은시고 판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음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선, 최채기․김기빈 등이 일실된 것으로 간주한 초간본이 일본 봉좌문 고에 현존하고 있으며, 최채기는 신계본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 으나, 초간본과 신계본을 대조해 본 결과 동일한 판본이 아니다. 일본 봉좌 문고에 소장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으로 활자본이다. 현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권채의 서문이 소실되었고, 시고의 권지상 말미와 권지하1~2장(4면)은 누군가가 보필하였다. 시고 권지상에 수록된 작품은 120제, 권지하에는 134제이다. 이색의 작품 〈포은재기〉 〈제포은기후〉 〈억정산기〉 3편을 권지하 말미에 추각하였는데,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였다. 부산문화재 46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의 후쇄본이 아니고 신계 본의 후쇄본이다. 국내에 소장된 신계본은 규장각 소장 가람문고본(가람貴 819.4J464P)과 연세대도서관본(貴237-1, 貴237-2),관, 고려대 만송문고본 (晩貴345) 등 7종이 있으나, 쇄출한 시기는 각각 다르다. 만송문고본은 일휴 당 금응협(琴應莢:1526-1586)의 소장인으로 보아 판각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쇄출한 판본이다. 유부의 중간 발문도 있어 현존 신계본 가운데 주목되는 자료이다. 부산시립도서관본은 권미에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이라는 간 기가 추가로 판각되어 있음을 볼 때 1632년(인조10)에 간행한 판본인 셈이다. 신계본은 권상에는 시 120제를 수록하였는데 초간본과 차이가 없다. 권 하에는 시 135제를 수록하였다. 초간본에다 〈척약재명(惕若齋銘)〉 1편이 추가된 것이다. 초간본에서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여 수록한 〈포은재기(圃 隱齋記)〉 〈제포은기후(題圃隱記後)〉 〈억정산기(憶鄭散騎)〉는 ‘잡저(雜 著)’라는 편목 하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이색의 〈서강남기행시고후(書江南 紀行詩藁後)〉, 유방선의 〈방포은선생구거소부(訪圃隱先生舊居小賦)〉를 추가하였다. 결국 신계본은 초간본에다가 포은의 작품 1편과 목은의 발 문 1편, 유방선의 작품 1편을 추가한 셈이다. 개성본은 1575년 개성의 숭양서원 사액 당시에 간행한 목판본이다. 한호 의 글씨로 판각된 것으로 이전의 판본인 신계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시문 의 표기체계에서 초고본과 신계본에서 쓰인 고자(古字), 이자(異字)를 정자 체(正字體)로 바꿔서 썼으며, 오탈자를 바로 잡았다. 이후의 판본에서는 개 성본의 표기를 그대로 쓰고 있다. 개성본 간행시 증보된 작품은 〈용이공봉 운(用李供奉韻)〉 3수와 〈송송정랑안경상도〉 1수, 〈청물영원사소(請勿迎 元使疏)〉 〈제김득배문(題金得培文)〉이다. 황주병영본은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이후에 간행된 판본임에도 개성본 (1575)을 모본(母本)으로 복각한 때문인지 수록된 내용은 개성본에 가깝다. 개성본에 노수신의 서문이 추가되었으며, 시문은 〈제동포맹사문희도시축점 민자(題東浦孟斯文希道詩軸占民字)〉 〈김해산성기(金海山城記)〉 2편 이 증보되었으며, 그리고 포은화상과 포은유묵이 추가되었다. 포은연보의 기사는 개성본과 같다. 포은시고 판본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서제교역벽상(書諸橋驛壁 上)〉(上005), 〈소금성역회송경제우(小金城驛懷松京諸友)〉(上021), 〈제요동방진무선(題遼東龐鎭撫扇)〉(上048) 등은 이후 간행된 판본에서 시제가 바뀌어 있다.

      • KCI등재

        포은영당의 건립과 변천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포은을 제향하는 곳은 서원(書院), 사(祠), 영당(影堂) 등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는데, ‘영당’이란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은 용인시 모현읍의 포은영당 뿐이다. 지척에 충렬서원이 있는데 별도로 포은영당이 존치되고 있음을 보면, 사우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가묘에 영정을 봉안한 사례인 셈이다. 포은영당의 경우 몇 가지 점에서 이례적이다. 처음 건립 당시에는 종가의 가묘(家廟)와 별도로 영당이 존치되었고, 한때는 종가의 가묘와 혼재된 상태에서 제향을 행하였다. 현재는 한 채의 건물을 3칸으로 구분하여 중앙에 영정을 봉안하고, 좌측 칸에는 신위와 제구를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한다. 우측 칸은 종손의 4대 봉사를 행하는 가묘로 사용한다. 포은영당은 포은종택과 함께 역대 사손(嗣孫)이 관리해 왔던 것 같다. 포은영당은 포은종택과 함께 수차 이건하였다. 포은영당의 건립과 운영 등을 살피기 위해선, 포은종가의 세거지와 종택, 봉사손의 입계(入繼), 영정의 이모(移模) 등이 우선 살펴져야 하는 이유이다. 조선시대의 중종 이후 고종 때까지 역대 임금은 포은선생의 영당과 묘역에 예관(예관)을 보내어 치제(致祭)하였다. 특히 숙종은 여러 관료들과 논의한 끝에 제문(祭文)의 두사(頭辭)를 ‘高麗門下侍中忠義伯鄭公’로 쓰게 하였다. 19세기 이후 포은 종손이 용인에 거주하면서 포은영당을 포은종가 좌측에 별도로 건립하고, 제례를 행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포은영당 초기 건립시 문제되었던 것처럼 종가의 가묘(家廟)와 포은영당이 구분되지 않은, 한 채의 건축물이다. 포은영당을 포은종가의 가묘와 분리해서 독립적 사우(祠宇)로 복원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의 제의(祭儀)도 사시제(四時祭)로 복원하여 묘제(墓祭)가 아닌 묘제(廟祭)로 환원해야 마땅하다. 포은영당의 의례는 우리나라 사대부가(士大夫家) 부조묘(不祧廟)의 의례에 규범이 되어야할 사례라고 생각한다. 향후 독립된 포은영당의 복원과 의례의 규범이 정립되길 기대한다. A place to hold memorial services of Poeun has used name Seowon(書院), shrine(祠), portrait hall(影堂), just Poeun’portrait hall, located in Mohyeon-eup in Yongin si, uses the name ‘portrait hall(影堂)’. Even if Chungnyeol Seowon is located close, Poeun’portrait hall is maintained separately. Poeun’portrait hall is not a case of Sawoo s point of view but a case that the picture of the deceased is preserved in families shrine. Poeun’portrait hall is anomalous in some respects. When it was built first, a shrine hall is maintained separately from families shrine of the head family. Holding memorial services is conducted once in the mixed state of family shrine of the head family. Now, the picture of the deceased is enshrined in the center of a building separated in three. On the left room, deity and ritual utensil is kept while the right room is used as families shrine performing the four-ceremonies of direct descendant of Poeun. Poeun’portrait hall and the head house of Poeun seem to be managed by former direct descendant of Poeun. Poeun’portrait hall and the head house of Poeun moved and rebuilt in several times. In order to examine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oeun’portrait hall, family settlement of Poeun’head family and the head house, inherit of a descendant offering sacrifice to his ancestors, copy of the picture of the deceased should be examined first. Former kings, from Jungjong(中宗) to Gojong(高宗) in Joseon Dynasty, sent Ye-gwan(禮冠) and conducted ceremonies in Poeun’portrait hall and cemetery. Especially, King Sukjong ordered to write a funeral oration of headword as ‘高麗門下侍中忠義伯鄭公’ after debating with several officials. Since the 19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Poeun have been living in Yongin, and the Poeun’portrait hall(圃隱影堂) has been built separately on the left side of the Poeun’royal family(圃隱宗家) to hold ancestral rites. As was the problem with the early construction of Poeun’portrait hall in the Joseon Dynasty, it is a single building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Poeun’portrait hall. It is proposed to separate the Poeun’portrait hall from the Poeun’royal family and restore it as an independent private residence. The present ritual should also be restored to the four seasons system and reduced to a shrine rites (廟祭) rather than graveyard ritual (墓祭).

      • KCI등재
      • KCI등재

        경기 용인지역의 묘제 연구

        홍순석(Hong Soon-Seuk)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용인지역의 묘제는 용인지역의 세거성씨와 유림의 학맥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특히 용인지역은 포은 정몽주ㆍ정암 조광조ㆍ도암 이재의 학문적 맥락을 이어오면서 사림의 귀추를 받던 곳이다. 포은을 제향하고 있는 충렬서원은 기호학파 중에서도 노론계의 정통성을 이어가는 수선지지(首善之地)였다. 기호학파의 종조로 손꼽히는 도암 이재의 학문적 성향은 용인지역 유림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용인지역은 한 때 남인계와 서인계가 공존하였으나, 서인계가 노소론으로 분화되자 노론계에 속한 도암 이재의 영향하에 점차 노론계가 주도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이같은 문화적 환경으로 보아 용인지역의 묘제가 『사례편람』의 제례를 따르고 있음을 당연하다. 용인지역의 묘제에서 나타나는 몇가지 특징적인 사례는 기호학파의 노론계에서 일관되는 예법인 것이다. 가령, 참신과 강신례의 선후 문제는 예서에서도 의견이 분분한데, 용인지역에서는 도암의 예법을 따라 선참후강의 절차로 행한다. 강신의 절차에서도 『사례편람』에서는 분향과 강신 후에 재배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타시군의 문중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용인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문중에서 분향후 재배한다. 그리고, 헌관이 헌작할 때마다 집사자는 젓가락을 세 번 공구른다. 이 역시 기호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절차로서 노론의 특징이다. 용인지역의 묘제에서 특히 주목되는 사례는 영일정씨 포은공파, 해주오씨 추탄공파, 수원백씨 참봉공파, 진주소씨 남강공파의 묘제이다. 영일정씨 포은공파는 포은 정몽주의 위상에 걸맞게 제수, 복식에서부터 의례절차 등이 다른 문중과 구별된다. 그리고 사시제와 묘제를 정통적인 예법에 따라 지금까지 행하고 있다. 해주오씨 추탄공파는 묘역에서 행하지 않고 사당에서 합사(合祀)하되 정통적인 예법을 준수하고 있다. 수원백씨 참봉공파는 묘역에서 합사하는 과정에서 정통적인 예법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묘사(墓祀)에서 위패를 봉안하는 절차는 특이한 사례이다. 진주소씨 남강공파는 납골단을 조성하여 합사하는 형태로, 오늘날의 묘제 실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The memorial services in Yongin are closely related to the scholarly schools of particular landed gentries and the Confucians residing around Yongin. Especially the Confucian scholars had been paying significant attention to Yongin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 region was an important place to carr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rominent scholars such as Mong-ju Chung, Kwang-jo Cho and Jae Lee. Jae Lee, the founder of Kee-ho School, greatly influenced on the Confucian School of Yongin. Accordingly, it is believed evident that most Yongin residents referred to “Sa-Rae-Pyon-Lam” by Jae Lee for their memorial services. In Yongin memorial services we can find the courtesy of No-ron group of the Kee-ho School outstanding. For instance, although the order between spirit greeting and evocation rite is still controversial issues even in “Yae-Seoh”, Yongin residents followed Jae Lee's principles of greeting-evocation order. Jae Lee’s “Sa-Rae-Pyon-Lam” describes bowing twice after incense burning and evocation as essential part of any memorial service, but the residents of other regions did not follow those principles. Yongin residents, however, sincerely followed Jae Lee’s principles. In memorial service drink offerer was supposed to swing his chopsticks three times when offering drink. This is one of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ee-ho area, particularly those of No-ron. Four most important memorial services in Yongin are those of ‘Poeun-gong Branch of Yongil Chung Family,’ ‘Chootan-gong Branch of Haejoo O Family,’ ‘Chambonggong Branch of Suwon Baek Family,’ and ‘Namgang-gong Branch of Chinjoo So Family.’ Chung Family have kept their own unique style of service articles, dress and ornaments, and service procedures. The Chung Family still keep their traditional way of memorial service and ‘Sa-shi Jae.’

      • KCI등재

        포은 이적(異蹟)의 서사와 전승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7 No.-

        포은의 이적은 출생·순절·혈교읍비, 그리고 사후의 다양한 이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본고에서는 포은 순절과 혈교읍비 이적의 서사와 전승을 정리하였다. 포은 순절에 관련한 문헌자료를 살피면, 후대의 기록자에 의해 순절 당시의 정황이 점차 구체적으로 서사되고 있다. 역사적 기록에서는 위정자의 시각에서 기록하고 있음이 뚜렷하다. 야사류에서는 포은과 녹사의 충절을 기리는 시각에서 서사하고 있다. 반면 포은의 후손가에 전승되는 자료에서는 조선 개국 세력의 의도적인 숙청사건임을 부각하고 있다. 포은이 순절하던 당시의 정황에서도 기록자의 의도를 가늠할 수 있다. <선생사략>에서는 포은의 죽음을 구차하게 기록하여 순절의 존엄성을 삭감하려는 위정자 시각의 의도가 내포해 있다. 이에 반해, 후대의 기록에서는순절의 존엄성을 부각하고 있다. 포은을 동반한 인물로 녹사의 실체를 거론하며, 그 역시 주군인 포은을 위해 순절하였음을 표출하고 있다. 이덕무의<서해여언>에서는 포은과 녹사가 조영규의 무리에 의해 타살되고, 3일간 효수하였다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단순한 타살이 아니라 조선개국에 반역한 인물로 각인하려는 위정자들의 행위를 폭로하는 것이다. 이처럼 포은 순절은 기록자의 시각과 의도에 따라 변개되어 나타난다. 포은 순절 이후 조선시대의 많은 문인들이 송도를 탐방하며 선죽교의 혈흔과 읍비에 관심을 기울였다. 혈교읍비의 이적은 기록자나 구비전승자의 감회가 추가될 뿐 서사적 화소의 변이가 없이 전재되는 양상이다. 그리고,서사적 전승보다는 선죽교를 탐방하는 문인들의 시편에서 부단히 전승되고있는 셈이다. <선죽교>라는 시제의 한시가 대부분 그러하다. 일제 침략기의 문인들은 국권이 강탈당한 정황에서 우국의 심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부각하였다. 선죽교의 혈흔은 포은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상징하는 실체이며, 읍비는 주군인 포은에 대한 충절을 상징하는 실체이다. 혈흔과 읍비가 충절의 표상으로 선죽교에 실재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이적은 부단히 전승되어질것이다. Poeun’mysteries divide into birth, sacrifice, a blood bridge(血橋) and a weep monument(泣碑), and various mysteries of after one’s death. In this paper, it is arranged as Poeun’s sacrifice, and description and tradition of the mysteries of blood bridge and a weep monu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of Poeun’s sacrifice, it is narrated more specifically at the time of circumstances of sacrifice by later recorders. It is obvious that it was recorded from administrator’s viewpoint on historical record. In unofficial history, that is narrated from a viewpoint which is to admire loyalty of Poeun and a faithful servant. Whereas, according to the sources which have passed down to descendents of Poeun, it accentuated that event was an intentional purge event which was caused by Joseon’s founding forces. One can make a guess about writer’s intention even at the time of circumstances of sacrifice himself, Poeun. <Sunsengsarock(先生史略)> involve an intention of administrator’s viewpoint which try to discredit Poeun’s sacrifice of dignity by recording his death miserably. By contrast, it highlights sacrifice of dignity in later report. Referring a faithful servant’s true nature as being accompanied Poeun, it shows the faithful servant sacrifices himself for his master, Poeun. In the Lee deok moo(李德懋)’s Seo hai yeu un(西海旅言), it was recorded a story that Poeun and his faithful servant were murdered by a bevy of Jo yeong gyu(趙英珪) and they were hanged on gibbet. It is to expose administrator’s deed trying to imprint them as not just a murder but traitors. Poeun’s sacrifice is changed and construed depending on viewpoints and intentions of recorders. After Poeun’s sacrifice, many writers of Chosun Dynasty paid attention a bloodstain and a weep monument of Sunjoogyok making inquiries Song Do(松都). It is an aspect which is merely added emotion of the blood bridge and weep monument’mysteries of recorder and reprinted without mutation of descriptive motif. And, it has passed down ceaselessly on the side of the writer’s poetry than descriptive tradition. A Chinese poem entitled <Sunjookgyok(善竹橋)> usually do that wa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writers highlight Sunjookgyok as a medium which captures patriotism in the context of national rights extortion. A bloodstain of Sunjookgyok is the true nature which symbolizes Poeun’s loyalty to Goryeo(高麗), a weep monument is the true nature which stands for loyalty to Poeun, master. Mysteries of a bloodstain and a weep monument would be passed down ceaselessly because these exist in Sunjookgyok as a symbol of loyalty.

      • KCI등재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개성의 선죽교를 탐방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을 정리한 것이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선죽교의 혈흔을 목도하고 그때마다 추모의 정을 담거나 비분강개의 뜻을 펼쳤으며, 순절의 의미를 되새겨 살신성인의 도를 후학에게 권려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심경을 시에 담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시를 ‘선죽교시’라 묶고 다양한 형상을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단순히 포은이 격살당한 졸명지(卒命地)의 유적이 아니다. 포은의 충절을 상징하는 표상이며, 유교정치를 표방한 조선시대 강상(綱常)의 근원지이다. 조선후기 우국지사(憂國之士)들에게 선죽교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결연히 충정을 다짐하던 성지(聖地)로 인식된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시에 표출된 시적 형상은 1)회고(懷古), 2)상심(傷心)과 애도(哀悼), 3)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 4)충절(忠節), 5)강상(綱常) 등의 유형으로 구분해 살필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유형은 복합적인 양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내용과 함께 해당하는 시편의 시어(詩語)를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1) 회고의 유형은 주로 조선 초기 문인들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선죽교 주변의 황폐한 들판과 석양을 통해 고려왕조의 시운을 탄식하는 양상이다. 2) 상심과 애도의 유형은 가장 일반적인 양상으로 선죽교와 읍비를 목도한 문인들이 포은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애도의 정회를 표하는 양상이다. 3) 포은의 값진 죽음의 찬미한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려왕조와 함께 천명(天命)을 다한 충신으로 인식하고, 포은의 죽음을 정 명(正名)사상에 근거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4)충절(忠節)의 유형에서는 포은을 고충(孤忠)·의사(義士)·열사(烈士)로 인식하고 주로 백이(伯夷)와 문천상(文天祥)에 비유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5)강상(綱常)의 유형으로 구분한 시편에서는 포은이 시운(時運)을 잘못 만나 순절하였지만 오히려 만고의 강상을 후학에게 끼쳤음을 칭송하고 있다. 포은이 우리나라 성리학의 조종으로 인식된 만큼 조선시대 문인들이 선주교시에서 강상을 주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양상이다. 1)2)의 양상이 일반적이라면 3)4)의 양상은 주로 국난의 위기에 처한 때에 강조되고 있다. 특히 조선말기 우국지사의 시편에서 나타난다. 5)의 양상은 유학자들의 시편에서 강조되고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선죽교는 고려왕조와 포은 정몽주를 연상시키는 유적이다. 정신적으로 충절과 강상을 표상하는 성물(聖物)이다. 특히 선죽교의 혈흔(血痕)은 포은의 죽음을 더욱 신성(神聖)하게 한다. 아울러 선죽교와 함께 읍비는 주군인 포은에 대한 녹사의 충정을 회상케 하는 매체로 형상화되고 있다. 조선시대 말기 혼란한 정황과 국가 존망의 위기가 닥쳤을 때 포은과 함께 선죽교는 더욱 주목 받았다. 이 당시 최익현·송병선·김윤식·조긍섭 등은 충절과 우국충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형상화하는데 적극적이었다. This paper is to organize perception and poetic figuration of Sonjukkyo of Joseon dynasty s writers who visited Sonjukkyo in Gaeseong. Joseon dynasty s writers witnessed blood of Sonjukkyo, mourned, overwhelmed by feelings of grief and encouraged the next generation to bear doctrine of sacrifice in mind. Then they wrote poem with that feelings. These kinds of poems is so called Sonjukkyosi(善竹橋詩) and the various poetic figurations are arranged in this paper. For Joseon dynasty s writers, Sonjukkyo is not simply a historical site of Jolmyeongji(卒命地) where Poeun is knocked to death. The site is a symbol of allegiance and a home for Joseon dynasty s Kangsang(綱常) which is advocated Confucian politics. For patriots(憂國之士), Sonjukkyo is considered a sacred place(聖地) where they promised cordiality decisively in life and death for the nation. The poetic figuration exposed in Sonjukkyosi of Joseon dynasty s writer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1) Remembrance(懷古) 2) Lament(哀悼) 3)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4) Allegiance(忠節) 5) Morality (綱常). That kind of part can be exposed in complex aspects as well. This paper is focusing on poetic words with the contents. 1) The type of remembrance appears mainly on the writer s psalms in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his is the moaning aspect of the Koryo dynasty s fortune through the barren field and sunset around Sonjukkyo. 2) The type of broken heart and mourning is the most common aspect, which is writers who witnessed Sonjukkyo and Euppi(읍비) is expressing sorrow and mourning about Poeun s death. 3) In the type of praise for Poeun s valuable death, Poeun is recognized as a loyal servant who complete his life span with the Koryo dynasty and his death is embodied based on Jeongmyeong(正名) idea. 4) In the type of allegiance, Poeun is regarded as Gochung(孤忠), Euisa((義士), and Yeolsa(烈士) and is embodied comparing baekee(伯夷) and Wen Tianxiang (文天祥). 5) In the type of morality, Poeun is rather praised for affecting the morality of the immortality on the next generation even if he died for the loyalty from having in the wrong century. It is natural aspect that Joseun dynasty s writers know the morality in Sonjukkyosi since Poeun is recognized as an ancestor of Neo-confucianism. 1) and 2) are general aspects and 3) and 4) highlight largely national crisis. It appears on patriot s psalms o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5) is highlighted in the psalms of confucianist. Joseon dynasty writers regard Sonjukkyo as a historial site where it reminds the Koryo dynasty and Poeun Jung Mongju. Sonjukkyo is a sacred treasure which presents allegiance and morality spiritually. The blood of Sonjukkyo makes the Poeun s death more sacred. Euppi is embodied as a medium which recalls Noksa s loyal towards a master Poeun with Sonjukkyo. Sonjukkyo is even more noted when chaotic circumstances and national crisis hit the end of the Josenon dynasty. At that time, Choi Ikhyun, Song Byeongseon, Kim Yunshik, and Jo Geungseop are active in embodying Sonjukkyo as a medium which involve the patriotic spirit.

      • KCI등재

        위험전압 검토에 따른 개선된 접지설비 모델

        홍순석(Soon-Seuk Hong),신복성(Bog-Sung Shi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2 No.4

        국내 접지설계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IEEE Std. 80 위험전압 계산식이나 국내 접지설계 환경의 적정성 여부는 검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Std. 80 접촉전압 계산식의 적용한계를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IEEE Std. 80 접촉전압값과 컴퓨터 모의실험값을 비교하여 접촉전압 계산식의 보정계수 K<SUB>a</SUB>를 유도하였다. 또한, 유도된 모델 중 Logistic 모델 형식의 보정계수를 적용할 경우 최대 오차율이 10[%]미만인 것을 검증함으로써 고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경제적인 접지설계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When we design the grounding grid, dangerous voltage IEEE Std. 80 method has been commonly used in the domestic area. However there is not appropriative examination of ground design environment, So in this paper, we examined of IEEE Std. 80 touch voltage method's marginal utility and we induced corrective factor for those problems by comparison between IEEE Std. 8J touch voltage value and simulation experimentation value. Moreover, Logistic model's corrective factor we proved the maximum accidental error has reduced less than 10[%].

      • KCI등재

        이천지역 민속문화와 문화환경

        홍순석(Hong Soon-Seuk),정연학(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5 비교민속학 Vol.0 No.29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folklore in Icheon and its systematic relation with the cultural environment. The folklore in Iche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rice and the folk belief, and the topographical specialties as well. It is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local residents' temperament that is formed by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e people in Icheon seem to have peculiar abilities to make their common culture the greatest and to form their own special ones. The Icheon brands such as the pottery, the rice and the hot spring are the examples. Those are famous nationally and globally. The center of pottery is Icheon rather than Kwang-ju or Yeo-ju where the pottery was born. The Geobugnori, an agricultural ceremony praying to a turtle, became Icheon Geobugnori. They have differentiated their Idieon Jachae-Nongyo from the general Nongyo, the agricultural songs. And they're trying to make the nationwide Juldarigi, a tug of war, Icheon Juldarigi. It is significant that the trial is made not by an official organization but by the local community on the purpose of succeeding a tradition. Icheon has different elements of folk belief from the other localities. The shamanism is remarkable in most temples in Icheon, Bucheobak-gol, Sogo-ri, Moga-myon in Icheon is the place where all shamans from the nation come to pray. Dang-geori, Ocheon-ri, Majang-myon in Icheon is the home of Dodang-gud Exorcism among the areas of East Kyong-gi Province. Therefore, the people in Icheon are familiar with shamanism in their daily lives. One representative example is Chunhyang-Kagsi-nori which is not observable in the neighboring areas but widely distributed in I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